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버르토크 벨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버르토크 벨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벨러 버르토크 에서 넘어옴)

이 文書에서 說明하는 사람의 이름은 性-이름 順序로 되어 있는 헝가리 이름 으로 姓은 '버르토크', 이름은 '벨러'입니다.
버르토크 벨러 (1927年)

버르토크 벨러 빅토르 야노詩 ( 헝가리語 : Bartok Bela Viktor Janos , 1881年 3月 25日 ~ 1945年 9月 26日 )는 헝가리 作曲家 利子 피아니스트 로, 中央유럽 의 民謠를 蒐集해서 整理한 音樂學者 이다.

生涯 [ 編輯 ]

初期 [ 編輯 ]

버르토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對(大)헝가리 地域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너지센트미클로시(Nagyszentmiklos)는 現在 루마니아 의 슨니콜라禹 마레(Sannicolau Mare)이다.

그는 부다페스트 王立音樂學院에서 音樂을 工夫했고 코다이 졸탄 을 만나 같이 民謠를 蒐集했다. 이는 그의 音樂스타일에 크게 作用했다. 예전의 그는 헝가리 民謠에 對해서 프란츠 리스트 의 曲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집시 멜로디로 생각했었고 1848年 헝가리 革命의 英雄 코슈트 러요시 (Kossuth Lajos)를 기리기 위한 交響詩 《코슈트》에서도 그런 旋律을 使用했었다. 집시 멜로디가 아닌 마자르人 農夫들의 民謠를 接하고 나서 그는 이를 眞짜 헝가리 民謠라고 생각하고 民謠的인 色彩가 드러나도록 그의 作品을 쓰기 始作했다.

1902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의 交響詩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의 부다페스트 初演을 들었을 때 이는 버르토크의 音樂에 큰 影響을 주었다.

經歷 및 結婚 生活 [ 編輯 ]

그는 피아니스트로 活動하다가 1907年 王立音樂學院에서 피아노 敎授職을 맡으면서 定着하게 되었고 트란실바니아 一帶의 民謠를 蒐集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그의 音樂은 民謠의 影響을 받게 되었고 코다이가 클로드 드뷔시 를 파리에서 데려오면서 그와도 交流했다. 그는 當代의 요하네스 브람스 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같은 大編成의 管絃樂曲들을 써왔지만 그의 피아노 小品은 民謠의 影響을 받은 것이다. 아마도 民謠의 影響을 크게 받은 最初의 作品은 絃樂 四重奏 第1番 (1908)을 들 수 있을 것이다.

1909年 치글레르 마르터(Ziegler Marta)와 結婚하여 1910年에 버르토크 벨러 주니어를 낳았다. 1911年에 버르토크는 그의 唯一한 오페라 푸른 鬚髥의 姓 》을 그의 아내 마르터(Marta)에게 獻呈하였다. 이를 Hungarian Fine Arts Commission 主催의 콩쿠르에 出品했지만 연주할 수 없다며 拒否했다. 그는 이 오페라를 公演하려 했지만 헝가리 政府는 오페라의 作詞者 벌라주 벨러 (Balazs Bela)의 政治的 性向 때문에 프로그램에서 그의 이름을 지우라는 壓力을 주었다. 버르토크는 拒否했고 結局 오페라는 1918年까지 공연될 수 없었다. 以後 그는 헝가리 政府와 機關에 反感을 갖게 되었다. 콩쿠르의 일이 있고 나서 2~3年 程度만 曲을 쓰고 그 後엔 中央 유럽과 발칸 半島, 터키 一帶의 民謠를 蒐集하여 整理했다. 하지만 第1次 世界大戰 이 터지면서 民謠 蒐集이 힘들게 되자 그는 다시 作曲을 始作했다. 발레曲 《 허수아비 王子 》(1914~6)는 그에게 國際的인 名聲을 가져다 주었다.

버르토크는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아르놀트 쇤베르크 의 影響을 받은 또다른 발레曲 《中國의 異常한 管理》와 두 個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썼다. 바이올린 소나타는 그의 作品 中 火星的으로나 構造的으로나 가장 複雜한 作品이다. 《中國의 異常한 管理》는 主題 때문에 1926年까지 공연되지 않았다.

1923年 버르토크는 마르터(Marta)와 離婚하고 그에게 피아노를 배운 파스토리 디터(Pasztory Ditta)와 再婚하여 다음해인 1924年에 두 番째 아들 페테르(Peter)를 낳았다. 1924年은 아르놀트 쇤베르크 12音技法 을 完成한 해이기도 하다. 버르토크는 以後 曲을 쓰지 않다가 아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기 위한 여섯 卷 分量의 피아노 練習曲 《 미크로코스모스 》(1926~37)를 썼다. 이는 現在에도 피아노 敎材로 쓰이고 있다. 以後에 쓴 絃樂 四重奏 第6番 (1939)는 그가 유럽에서 쓴 마지막 曲이 된다.

美國으로 移住 [ 編輯 ]

1940年 第2次 世界 大戰 이 勃發하자 유럽의 政治 狀況이 惡化되고 그는 헝가리를 떠나기로 決心했다. 그는 나치에게 反感을 가지고 있어서 그가 獨逸에서 有名해졌을 때에도 獨逸에서의 콘서트를 拒否했고 獨逸 出版社와도 契約하지 않았을 程度였다. 그리고 그의 自由奔放한 世界觀은 헝가리의 右翼 勢力의 反感을 샀다. 그는 夫人과 함께 마지못해 美國 으로 떠났다. 페테르는 1942年 美國으로 가서 後에 美 海軍에 入隊한다. 벨러 주니어는 헝가리에 남았다. 그러나 美國에서 그의 生活은 便하지 않았다. 그는 美國에서 有名하지 않았고 그의 音樂에 關心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는 繼續 유고슬라비아 民謠를 整理했지만 그의 財政 狀況과 健康은 나빠졌다.

그는 絃樂 四重奏 第6番 (1939)을 끝으로 作曲을 그만 두려 했지만, 指揮者 세르게이 쿠세비츠키 의 委託으로 《 管絃樂을 위한 協奏曲 》(1943~5)를 作曲했다. 예후디 메누힌 의 委託을 받아 《無伴奏 바이올린 소나타》를 作曲하기도 했다. 그 後 그는 피아노 協奏曲 第3番을 作曲했고 비올라 協奏曲에 着手했다.

1945年 버르토크는 뉴욕 市에서 白血病 으로 死亡했다. 未完成의 비올라 協奏曲은 그의 弟子 Tibor Serly가 完成했다. 버르토크의 遺骸는 뉴욕州 Hartsdale에 있는 Ferncliff Cemetery에 安葬되었다. 後에 소비에트 聯邦 이 崩壞되고 나서 1988年 7月 7日에 부다페스트의 Farkasreti Cemetery로 安葬되었다.

主要 作品 [ 編輯 ]

오페라 [ 編輯 ]

발레 [ 編輯 ]

  • 허수아비 王子(1914~6)
  • 異常한 中國의 官吏(1919)

管絃樂 [ 編輯 ]

  • 交響曲 내림마장조 DD 68, BB 25 (1902)
  • 交響詩 코슈트(1903)
  • 모음曲 1番 作品番號 3 Sz.31 BB39(1905)
  • 모음曲 2番 作品番號 4 Sz.34 BB40(1905~7, 1943年 改正)
  • 2個의 映像 作品番號 10 Sz.46(1910)
  • 춤 모음曲 (1923)
  • 玄을 위한 디베르티멘토(1939)
  • 絃樂器, 打樂器와 첼레스타를 위한 音樂(1936)
  • 管絃樂을 위한 協奏曲 (1942~3, 1945 改作)

協奏曲 [ 編輯 ]

  • 피아노 狂詩曲 作品番號 1(1905)
  • 바이올린 協奏曲 1番(1907~8)
  • 피아노 協奏曲 1番(1926)
  • 피아노 協奏曲 2番 사長調(1930~1)
  • 바이올린 協奏曲 2番(1937~8)
  • 피아노 協奏曲 3番 마長調(1945)
  • 비올라 協奏曲(1945, 未完成)

室內樂 [ 編輯 ]

  • 바이올린 소나타 마短調(1903)
  • 피아노 5重奏 다長調 (1903~4)
  • 6個의 絃樂 四重奏들 (1908~39)
  • 바이올린 소나타 1番 (1921)
  • 바이올린 소나타 2番 (1922)
  • 두 臺의 피아노와 打樂器를 위한 소나타 (1937)
  • 對備(對比)(1938)(클라리넷 3重奏)
  • 無伴奏 바이올린 소나타(1944)

피아노 [ 編輯 ]

  • 14個의 바가텔 作品番號 6(1908)
  • 어린이를 위하여 Sz42 BB53(1908~9)
  • 알레그로 바르바로 Sz.49 BB.63(1911)
  • 루마니아 民俗 춤曲 Sz.56 BB.68(1915)
  • 모음曲 作品番號 14(1916)
  • 세 個의 헝가리 民俗 가락 Sz.66 BB.80b (1914~18)
  • 피아노 소나타(1926)
  • 門 밖에서 Sz.81(1926)
  • 미크로코스모스 (1926, 32~9)

歌曲 [ 編輯 ]

  • 3個의 노래 Sz10 BB15(1898)
  • 4個의 노래 Sz15 BB24(1902, 러요시 褒姒의 텍스트를 基礎로 했다.)
  • 5個의 노래 作品番號 15 Sz61 BB71 (1916)
  • 5個의 노래 作品番號 16 Sz63 BB72 (1916)

合唱 [ 編輯 ]

  • 世俗 칸타타 Sz.94(1930)

音樂 듣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Antokoletz, Elliott (1984). The Music of Bela Bartok: A Study of Tonality and Progression in Twentieth-Century Music.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Karpati, Janos (1975). Bartok's String Quartets. Translated by Fred MacNicol. Budapest: Corvina Press.
  • Lendvai, Ern? (1971). Bela Bartok: An Analysis of His Music. London: Kahn and Averill.
  • Maus, Fred (2004). "Sexual and Musical Categories", The Pleasure of Modernist Music. ISBN   1-58046-143-3 .
  • Wilson, Paul (1992). The Music of Bela Bartok. ISBN   0-300-05111-5 .
  • Gillies, Malcolm. "Bela Bartok", Grove Music Online, ed. L. Macy (Accessed May 23, 2006), (subscription access)
  • 스티븐 존슨, 《버르토크, 그 삶과 音樂》(이석호 驛, 포노, 2014). ISBN 978-89-93818-62-8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