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덕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박덕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박덕준
朴德濬
身上情報
出生 1970年 8月 22日 ( 1970-08-22 ) (53歲)
性別 男性
國籍 大韓民國
職業 大學 敎授 , 著述家
學歷 美國 웨스트민스터 神學校
宗敎 改新敎 ( 藝場合神 )
活動 情報
分野 舊約神學 , 선지서 , 神學, 著述
活動 期間 2010年 ~ 現在

박덕준 (朴德濬, 1970年 8月 22日~)은 大韓民國의 神學者 이며 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에서 舊約神學을 가르치는 敎授이다. [1] 美國의 有名한 出版社 Baker의 Ilustrated Bible Dictionary에 寄稿하였으며 [2] 이사야 를 비롯한 선지서 解釋의 專門學者로 評價받는다. [3] 敎會 正義 와 公義의 實踐을 聖靈의 使役으로 그리스도 와 聯合을 통하여 穩全히 實行할 수 있다고 主張한다. 舊約의 拘束私的 解釋을 强調하고 現在 聖經歷史地理硏究所 所長으로 있다. [4]

현창학 博士, 성주진 博士, 박덕준 博士, 合同神學大學院 大學校 舊約學 敎授들, 2018年 4月

學歷 [ 編輯 ]

經歷 [ 編輯 ]

舊約의 拘束私的 解釋 [ 編輯 ]

그는 救贖史 란 하나님께서 이루시는 救援의 歷史라고 한다. 하나님 께서 어떻게 墮落한 人類를 救援하는지를 보여주는 觀點에서 聖經과 歷史를 보라고 한다. 萬若 舊約聖經을 읽을 때에 拘束私的 脈絡을 無視한 채 읽는 일은 큰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 하나하나를 살피는 것과 같다고 한다. 舊約은 우리 人類를 救援하시기 爲해서 救援者 예수 그리스도 를 보내어주시겠다는 約束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新約은 그 救援者가 正말로 이 世上에 오셔서 우리를 救援하셨으며, 이제 우리들로 하여금 그 救援의 歷史에 同參시키시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큰 그림 속에서 舊約과 新約의 洗米한 部分들을 살펴보아야 제대로 聖經을 읽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聖經을 默想할 때, 拘束私的 脈絡에서 聖經을 읽는 것은 必須的이다. 하나님의 救援의 이야기(救贖史)는 創造와 墮落, 이스라엘과의 言約을 맺음, 言約 百姓의 配役과 審判, 言約 百姓의 回復과 새 言約의 約束, 예수 그리스도를 通한 回復의 成就와 새 言約의 設立, 敎會를 통한 새言約의 成就, 再臨을 통한 새言約의 完成의 이야기로 連結된다고 한다. [5] [6] [7] 아모스에 나타난 正義과 公義에 對한 解釋에서도 救贖史를 念頭에 두고 註解와 說敎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한다. 舊約의 言約 百姓과 新藥의 새言約 百姓에게 똑같이 正義와 公義의 實踐이 要求되지만, 律法主義가 갖는 危險性을 內包한다고 한다. 아모스의 메시지를 一般化하여 聖徒들에게 直接 適用하는 것은 聖徒들 自身의 能力과 議題에 맡김으로써, 스스로 優越感에 빠지게 하거나, 自身의 無能에 絶望하는 聖徒들 만드는 愚를 犯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中心的 또는 拘束私的 解釋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이미 그의 公生涯와 十字架를 통해 正義와 公義의 要求를 成就하셨고, 聖徒들은 그리스도와 聯合한 가운데 이미 成就된 正義와 公義를 經驗하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한다. 來駐하시는 聖靈께서 聖徒들로 하여금 正義와 公義를 實踐할 수 있는 能力과 意志를 주신다고 한다. [8]

學位論文 [ 編輯 ]

  • YWHW IS A GARDENER AND ZION HIS GARDEN : A STUDY OF THE GARDEN METAPHOR IN THE BOOK OF ISAIAH,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여호와는 農夫 시온은 그의 農園 : 이사야서의 農園隱喩 硏究)

著書 [ 編輯 ]

  • Park, Young Sun. Sermons on Job: Encountering God in a Clueless Place. Suwon: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Press, 2018.
  • Contributor to Baker Ilustrated Bible Dictionary. Edited by Peter Enns, Tremper Longman, and Mark Strauss. Grand Rapids: Baker, 2013.
  • "이사야서에 나타난 終末的 舊怨: 民族的 유대人을 위한 特別한 攝理," 『가난하나 富饒케: 조병수 博士 隱退記念論叢』 隱退記念論叢 出版委員會 篇(서울: 가르침, 2020), 271-292.

論文 [ 編輯 ]

  • “칼빈의 이사야 註釋에 나타나는 拘束私的 解釋: 社 61:1-3을 中心으로,” 「舊約論集」 13 (2018.6): 134-161;
  • “아모스에 나타난 正義와 共의,” 「敎會와 文化」 42 (2019): 38-73.
  • "이사야의 하나님 主權 思想," 「신학정론」 37/2(2019): 53-111;
  • "'여호와는 牧者, 이스라엘은 그의 量이라': 미가서의 牧羊 隱喩 硏究," 「舊約論集」 19 (2021.3): 132-71;
  • "느헤미야서의 '言約의 回復': 느헤미야 8-10張을 中心으로," 「敎會와 文化」 45 (2021.3): 13-4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