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런 렝스 符號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런 렝스 符號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런 렝스 符號化 (Run-length encoding, RLE) 또는 런 길이 符號化 는 매우 簡單한 非損失 壓縮 方法으로, 데이터에서 같은 값이 連續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個數와 反復되는 값만으로 表現하는 方法이다. 이 方法은 아이콘 等의 簡單한 이미지와 같이 連續된 값이 많이 있는 데이터에 效果的이다. 런 렝스 符號化는 漫畫나 애니메이션 等과 같이 背景의 變化가 없는 映像에 적합한 方式이다. [1] 그러나 實際的으로 잘 適用되지 못한다. 이 方式은 3番 以上 反復되는 文字들에 對해 利用되기 때문에 英語 文章에서는 잘 遂行되기 어렵다. [1]

예제 [ 編輯 ]

例를 들어서, 흰 바탕에 검은 글字가 나오는 스크린을 생각하면 이 스크린에는 連續된 흰 픽셀이 많이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의 한 스캔 라인 이 다음과 같다고 假定하자. (흰 픽셀을 W로 標示하고 검은 픽셀을 B로 標示한다.)

WWWWWWWWWWWWBWWWWWWWWWWWWBBBWWWWWWWWWWWWWWWWWWWWWWWWBWWWWWWWWWWWWWW

위의 데이터를 簡單한 反復 길이 符號를 使用해서 壓縮하면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을 수 있다.

12WB12W3B24WB14W

이는 '12個의 W, (한 個의) B, 12個의 W, 3個의 B, 24個의 W, (한 個의) B, 14個의 W'로 解釋한다. 위의 예제의 境遇, 壓縮 前에는 67글字였으나 壓縮 後에는 團地 16글字만으로 表現할 수 있다. 勿論 實際로 이러한 이미지는 바이너里 포맷으로 貯藏되며 反復되는 길이를 貯藏하는 方法도 다양하지만, 基本的인 槪念은 同一하다. 이때 데이터의 크기는 67바이트에서 16바이트로 줄었으므로 壓縮率은 約 4.18이다.

活用 [ 編輯 ]

反復 길이 符號化를 使用하는 代表的인 파일 形式으로 PCX , BMP , ILBM 等이 있다.

反復 길이 符號化는 BWWBWWBWWBWW와 같이 데이터가 일정한 패턴을 따르는 境遇를 處理할 수 없으며, 이런 境遇 LZ77 이나 LZ78 系列 알고리즘들이 유리하다. 또한 이 方法은 連續된 色調로 이루어진 이미지에도 그리 잘 使用되지 않으며, 이런 用途로는 別途의 變換과 量子化 를 使用하는 JPEG 와 같은 方法이 使用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조재수 外, 《멀티미디어 信號處理》, 사이텍미디어, 2006, p.112 ~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