都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朝鮮 時代 漢陽都城 수도 漢城府 都心 地域을 둘러싼 都城 이었다.

都城 (都城)은 東아시아 卷에서 수도 (首都)를 둘러싼 (城)을 일컫는 말이다.

韓國 [ 編輯 ]

標準國語大辭典 은 '都城'이라는 單語 그 自體가 前近代에 수도 에 位置한 性을 일컫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1] 따라서 國語學的으로 都城이라는 單語에서 '道(都)'라 함은 王都(王都) 乃至는 都邑地(都邑地)로서 한 나라의 수도 (首都)를 일컫는 意味이고, 現代의 地理學的 槪念으로서 ' 都市 '(都市)를 뜻하는 意味가 아님에 留意할 必要가 있다. 韓國에서 首都 서울이 아닌 地方의 고을에 지어진 城郭의 境遇, 平地에 지어진 것은 邑城 (邑城), 山地에 지어진 것은 酸性 (山城)이라고 불리었다. [2] :5-6

韓國의 都城은 三國時代 에 主로 軍事的·實用的 機能이 强調되었으나, 高麗 朝鮮時代 에 들어서는 軍事的 機能보다 王權을 나타내는 象徵的 機能이 强調되었다. 이에 따라 高麗·朝鮮時代에는 外敵이 수도 가까이에 쳐들어오더라도 都城에서 防禦戰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都城을 비우고 避難을 가는 境遇가 大部分이었다. 現在에 남아 있는 遺跡으로서 韓國 文明에서 都城에 該當하는 것은 三國時代 백제의 都城인 風納土城 , 몽촌토성과 朝鮮의 都城인 漢陽都城 等을 들 수 있다. [2] :6-9

中國에서의 道聖諦 原理와 韓國에의 影響 [ 編輯 ]

中國의 古代 道聖諦는 主禮 (周禮) 考工記에 依해 確立된 것으로 傳해진다. 主禮 考工記가 提示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都城 築造의 重要한 原則 中 하나는 王宮의 왼便에 宗廟, 오른便에 社稷을 두고, 앞에는 調整을, 뒤에는 市場을 두도록 하는 "座조우사 면조後市(左祖右社 面朝後市)"였다. [3] :3-4 이 原則은 朝鮮時代에 首都 漢城 都心部 를 築造함에 있어 部分的으로 反映이 되었는데, 例를 들어 法宮人 景福宮 東쪽(왼쪽)에 宗廟 , 西쪽(오른쪽)에 社稷壇 , 南쪽(앞쪽)에 六曹 가 位置한 것은 '座조우사'와 '면조'의 原則을 遵守한 것이다. 그러나 한便으로 景福宮은 北岳山 을 主山으로 뒤에 두고 있어 市場을 마련할 空間을 宮闕의 뒤便에서 마련하기 어려웠으므로, 朝鮮은 15世紀에 時前 을 現在의 鐘閣 近處에 建設함으로써 '後市'의 原則에 例外를 두었다. [4] :96?10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 都城4(都城) " . 《stdict.korean.go.kr》. 國立國語院 . 2024年 3月 8日에 確認함 .  
  2. 나, 恪循 (2012). “서울 漢陽都城의 機能과 防衛體制” . 《서울과 歷史(鄕土서울)》 ( 서울歷史編纂員 ) (80). doi : 10.22827/seoul.2012..80.001 . 2024年 3月 8日에 確認함 .  
  3. 지, 星雲 (2016年 9月). “方向性 네트워크를 利用한 統合도 및 피統合度 分析方法에 對한 硏究: 中國 道聖諦 變遷을 事例로” . 《國土硏究》 ( 國土硏究院 ) (90). doi : 10.15793/kspr.2016.90..001 . 2024年 3月 8日에 確認함 .  
  4. 金, 記號; 金, 雄豪; 廉, 복규; 金, 영심; 金, 도연; 有, 繩戱; 朴, 준형 (2021年 11月 30日). 《서울都市計劃社 1 現代 以前의 都市計劃 (서울歷史叢書 12)》 . 서울: 서울歷史編纂員 . ISBN   9791160711301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