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臺激怒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臺激怒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臺激怒 ( 핀란드어 : isoviha , 스웨덴語 : den stora ofreden )란 핀란드의 歷史 에서 對北方 戰爭 當時 스웨덴 帝國 의 領土였던 핀란드 地方을 러시아 帝國 이 侵攻하여 1714年부터 뉘스타드 條約 이 締結된 1721年까지 軍事 占領한 期間을 일컫는 用語다. 오늘날 資料에서는 러시아 支配機 ( 핀란드어 : venalaisen ylivallan aika )라는 用語를 使用하기도 한다.

背景 [ 編輯 ]

1709年 폴타바 戰鬪 에서 스웨덴이 敗北한 以後, 핀란드는 스스로 스스로 防禦해야 할 處地에 놓였다. 러시아軍은 1710年 非푸리 를 占領하였고, 1712年에는 핀란드를 占領할 첫 軍事作戰을 펼쳤지만 失敗하였다. [1] 러시아는 1713年 헬싱키 를 占領하고 海岸地方을 防禦하고 있는 스웨덴군을 擊退하기 위한 더욱 組織된 軍事作戰을 實施하였다. [2] 핀란드의 스웨덴군은 1714年 이소퀴뢰 에서 벌어진 나푸에 戰鬪 ( 英語版 ) 에서 慘敗하였고, [3] 항코 沿岸 航路를 封鎖하여 러시아의 進軍을 막으려는 試圖 또한 江구트 海戰 敗北로 失敗하였다. 1714年 末 보트니아灣 의 制海權은 러시아 갤리선이 掌握하였으며, 이로 因해 스웨덴군 兵士와 船舶은 핀란드에 발이 묶였다. [4] 러시아軍은 이에 그치지 않고 보트니아灣 西쪽의 스웨덴 本土 海岸까지 掠奪하였다. 代表的으로 1714年 9月 18日 러시아軍은 우메오 를 放火하였으며, 1720年, 1721年, 1722年에도 다시 破壞하였다.

러시아의 핀란드 支配 [ 編輯 ]

나푸에 戰鬪 勝利 以後 러시아는 미하일 골리친 ( 英語版 ) 을 핀란드 總督으로 임명하였다. 핀人들은 러시아軍을 파르티잔 戰術로 對抗하였다. 러시아는 이에 對한 報復으로 핀란드 農民에게 아주 많은 軍勢(軍稅)를 賦課하였다. 掠奪과 强姦은 蔓延하였으며, 特히 포흐얀마 地域의 主要 道路 隣近 마을에서 主로 일어났다. 敎會는 약탈당하고 異所퀴罍는 全燒되었다. 러시아軍은 스웨덴의 逆攻을 막기 위해 핀란드 數百 킬로미터에 達하는 地域을 焦土化하였다. 핀인 5000名이 死亡하고 1萬名이 奴隸로 끌려가 數千名만이 돌아온 것으로 秋晴되며, [5] 最近 硏究 結果에 따르면 總 死傷者는 2萬名에 達하는 것으로 推定된다. [6] 또한 다른 硏究에서는 奴隸로 끌려간 女性과 兒童이 3萬名에 達한다고 推定하기도 한다. [7] 1714年 9月 29日 카자크 는 하룻밤 사이에 河一루오토섬 의 住民 800餘名을 도끼로 虐殺하였다. [8] 官僚들을 中心으로 한 數千名은 스웨덴의 保護 下에 逃避하였지만, 貧農들은 러시아軍의 掠奪과 强制 徵兵을 避해 숲 속으로 逃亡갔다. [9] 러시아의 殘惡 行爲는 스웨덴의 스코틀랜드系 伯爵 구스타프 오토 더글러스 ( 英語版 ) 가 러시아 側으로 轉向한 後 占領地 管理를 맡은 1714年부터 1717年 사이 最惡의 狀態에 다다랐다.

러시아가 핀란드를 占領하기 前부터, 핀란드를 비롯한 발트海 隣近 地域에는 페스트 가 流行하고 있었다. 이 페스트로 因해 헬싱키에서는 人口 2分의 3人 1,185名이 死亡하였으며 스웨덴의 핀란드 支配力이 弱化되었다. [9]

結果 [ 編輯 ]

臺激怒로 因한 핀란드 人口와 經濟가 回復될때까지는 數十年이 걸렸다. 또한 핀란드는 1741年부터 1743年 사이 일어난 러시아-스웨덴 戰爭 (1741年~1743年) 으로 인해 1742年부터 1743年까지 러시아軍에게 다시 占領과 焦土化를 當하는데, 이는 小激怒 (Pikkuviha)라고 부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attila 1983 , 27?33쪽.
  2. Mattila 1983 , 33?35쪽.
  3. Mattila 1983 , 35쪽.
  4. Mattila 1983 , 38?46쪽.
  5. Suomen historian pikkujattilainen . ISBN   978-951-0-14253-0 . Page 265.
  6. "Helsingin Sanomat Kuukausiliite 7/2009, s. 28?33
  7. "Uusi Suomi 23.10.2015 "Historioitsija: Synkkyyden Suomi karsi orjuudesta jopa enemman kuin mikaan Afrikan maa"
  8. Kaitasuo, Pia (2015年 8月 15日). “Pietari Suuren synkka tuhon kylvo”. 《Kaleva》 (핀란드어). 221號 (Oulu: Kaleva Oy). 34?35쪽. ISSN   0356-1356 .  
  9. Uppslagsverket Finland,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