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기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기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기난
Ginan
남십자자리 성도(星圖). 기난은 엡실론(ε)이다.
南十字자리 聖徒(星圖). 기난은 엡실론(ε)이다.
名稱
바이어 命名法 南十字자리 엡실론, ε Cru
밝은 별 目錄 HR 4700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107446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251862
히파르코스 目錄 HIP 60260
다른 이름 CD ?59° 4221, FK5 2989, NSV 5568.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0 )
별자리 南十字자리
敵境 (α) 12 h  21 m  21.60936 s [1]
赤緯 (δ) -60° 24′ 04.1291″ [1]
絶對等級 (M) ?0.63 ± 0.09 [2]
位置天文學
視線速度 ?4.60 km/s [3]
敵境 固有運動 ?170.93 mas/年 [1]
赤緯 固有運動 91.67 mas/年 [1]
性質
광도 302 L [3]
나이 21億 7千萬 年 [3]
分光型 K3 III [4]
U-B 色指數 +1.63 [5]
B-V 色指數 +1.42 [5]
變光星 分類 變光星 疑心 天體 [6]
追加 事項
質量 1.52 M ? [3]
半지름 28.41 R [3]
表面溫度 4294 K [3]
表面 重力 (log g) 1.91 [3]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기난 [7] (Ginan) 또는 南十字자리 엡실론 (ε Cru)은 南十字자리 方向에 있는 恒星 으로 單獨性이며 [8] 오렌지色 으로 빛난다. 히파르코스 衛星 이 測定한 資料에 따르면 기난의 年間 時差 는 14.19 밀리秒角 으로 [1] 이 값으로부터 計算한 별까지의 距離는 約 230 光年 이다. 겉보기 等級은 3.58로 맨눈으로 볼 수 있다. [5] 視線速度는 秒當 ?4.60 킬로미터로 地球에 가까워지고 있다. [3]

기난의 分光型은 K3 III로 K型 巨星 이다. [4] 分光型 으로 미루어 보아 기난은 中心核에 있던 水素 를 모두 태워 主系列 을 離脫한 狀態임을 알 수 있다. 나이는 約 20億 年, 質量은 太陽의 1.5 倍, 半지름은 太陽의 約 28 倍, 表面溫度는 4294 켈빈이다. 有效溫度 는 太陽보다 낮지만 별이 크게 부풀어 있기 때문에 全體 光度는 太陽의 約 302 倍에 이른다. [3]

名稱 [ 編輯 ]

南十字자리 엡실론 (ε Crucis)은 바이어 命名法 으로 表記한 이름이다.

固有名稱 기난 (Ginan)은 오스트레일리아 北部에 居住하는 와다滿足 이 부르는 이름이다. [9] 2016年 國際天文聯盟 은 항성名稱審議委員會(WGSN)를 構成하여 [10] 恒星들의 固有名稱을 公式 登載하는 作業에 着手했다. 기난은 2017年 11月 19日 發表한 公告文에 包含되었으며 現在 國際天文聯盟 公式 恒星目錄에 登載되어 있다. [7]

포르투갈語 로 인트로메치다 Intrometida (參見하기 좋아하는 것)로 불리기도 한다. [11]

文化 [ 編輯 ]

기난은 南十字星 을 象徵物로 쓰는 여러 國旗나 團體 旗발에 登場한다.(다만 나머지 네 별만 表示하고 기난을 빼는 境遇도 있다.)

왼쪽: 寫眞 中央部에서 오른쪽에 푸른色으로 밝게 빛나는 별이 기난이다. 色彩는 赤外線 中 特定領域을 標示하며 푸른色은 3.4~4.6 마이크로미터 臺(帶)에 該當된다. 오른쪽: 센타우루스자리 一部(座하단, 왼쪽이 알파 이고 오른쪽이 베타 )와 南十字자리(偶像團). 태즈메이니아 호바트 에서 撮影.

各州 [ 編輯 ]

  1. van Leeuwen, F.; 外.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2. da Silva, L.; 外. (November 2006), “Basic physical parameters of a selected sample of evolved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8 (2): 609?623, arXiv : astro-ph/0608160 , Bibcode : 2006A&A...458..609D , doi : 10.1051/0004-6361:20065105  
  3. Jofre, E; Petrucci, R; Saffe, C; Saker, L; de la Villarmois, E. Artur; Chavero, C; Gomez, M; Mauas, P. J. D (2015). “Stellar parameters and chemical abundances of 223 evolved stars with and without planets”. 《Astronomy & Astrophysics》 574 : A50. arXiv : 1410.6422 . Bibcode : 2015A&A...574A..50J . doi : 10.1051/0004-6361/201424474 .  
  4.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 245. Bibcode : 1989ApJS...71..245K . doi : 10.1086/191373 .  
  5. Mermilliod, J.-C (1986).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Catalogue of Eggen's UBV data》. Bibcode : 1986EgUBV........0M .  
  6. Samus, N. N.; Durlevich, O. V.; 外.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 Bibcode : 2009yCat....102025S .  
  7. “Naming Stars” . IAU.org . 2017年 12月 16日에 確認함 .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 : 0806.2878 , Bibcode : 2008MNRAS.389..869E , doi : 10.1111/j.1365-2966.2008.13596.x .  
  9. “IAU Approves 86 New Star Names From Around the World” (報道 資料). IAU.org. 2017年 12月 11日.  
  10.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 2016年 5月 22日에 確認함 .  
  11. da Silva Oliveira, R.,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Archived 2013年 12月 6日 - 웨이백 머신 , Artigos: Planetario Movel Inflavel AsterDomus.
  12.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座標 : 하늘 지도 12 h 21 m 21.6 s , ?60° 24′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