顆粒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好酸性 顆粒球

顆粒球 (顆粒球, 英語 : granulocyte )는 細胞質 顆粒 이 있는 白血球 이다. [1] 顆粒 白血球 (顆粒白血球), 顆粒性 白血球 (顆粒性白血球)라고도 한다. 模樣이 다양하기 때문에 多形核白血球 ( polymorphonuclear leukocyte , PMN, PML, PMNL)라고도 부른다. 核은 大槪 세 葉으로 나뉘며, 核이 한 덩어리인 無顆粒區 와 區分된다. 一般的으로 多形核白血球라 하면 顆粒球 中 가장 많은 數를 차지하는 好中性 顆粒球 를 가리킨다. [2] 다른 顆粒球( 好酸性 顆粒球 , 好鹽基性 顆粒球 , 肥滿 細胞 )의 數는 적다. 顆粒球는 骨髓 에서 顆粒球形成 過程을 통하여 生産된다.

種類 [ 編輯 ]

顆粒球는 라이트 染色 으로 觀察할 수 있는 外樣에 따라 크게 세 種類가 있다.

各 顆粒球의 이름은 染色 에서 나타나는 特性에서 由來하였다. 例를 들어, 가장 많은 顆粒球人 好中性 顆粒球 는 細胞質에 中性으로 染色되는 顆粒을 가지고 있다.

好中性 顆粒球 [ 編輯 ]

分節 核이 있는 好中性 顆粒球(가운데 赤血球 로 둘러싸인 細胞). 細胞質에 顆粒이 보인다.( 김자 染色 )

好中性 顆粒球 或은 好中球 血流 에서 가장 흔하게 發見되는 食細胞로, 血管을 따라 循環하는 白血球의 50 - 60%를 차지한다. [3] 사람 血液 1리터에 約 50億 個(5 * 10 9 )의 [4] 好中球가 있고, 지름은 12 - 15 μm, [5] 壽命은 約 6日이다. [5] 好中球가 適切한 信號를 받으면 30分 以內에 血管을 떠나 感染 이 發生한 곳에 到着한다. [6] 好中球는 血液으로 돌아가지 않고 고름 細胞가 되어 죽는다. [6] 成熟한 好中球는 單核球 보다 작고, 2 - 5個의 分節로 된 核을 가지고 있다. 各 核 分節은 染色質 微細纖維로 連結된다. 好中球는 正常的으로 成熟할 때까지 骨髓를 빠져나가지 않지만, 感染이 있는 境遇에 好中球 前驅體인 骨髓細胞 前骨髓細胞 ( promyelocyte )가 放出된다. [7]

好中球는 세 가지 方法으로 直接 微生物 을 攻擊한다. 微生物을 攝取하는 食細胞作用 , 水溶性 抗美生物劑(顆粒 蛋白質이 包含된다) 放出, 好中球 細胞外덫(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 , NET) 生産 等이 그것이다. [8] 好中球는 基本的으로 飽食細胞 이다. [9] [10] 體內로 侵入하여 抗體 補體 로 둘러싸인 對象과 損傷된 細胞 또는 細胞 殘骸를 빠르게 먹어치운다. 사람의 好中球에 있는 細胞內 顆粒은 蛋白質을 分解하고 殺菌 能力을 가진다. [11] 好中球는 單核球와 大食細胞 를 刺戟하는 物質을 分泌한다. 이를 通해 食細胞作用 이 活潑해지고 活性酸素種 이 生成되어 對象 細胞를 破壞한다. [12]

好中球에는 두 種類의 顆粒이 있다. 어린 細胞에 있는 日次 顆粒 은 아주르親和性이고, 더 成熟한 細胞에는 特異 顆粒 이 있다. 日次 顆粒에는 細菌을 죽이는데 쓰이는 양이온性 蛋白質과 디펜新 , 細菌의 蛋白質을 分解하기 위한 蛋白質 加水分解酵素 카텝신 G , 細菌의 細胞壁 을 깨기 위한 라이소자임 , 細菌을 죽이는 毒性 物質을 生産하는 骨髓細胞型過酸化酵素 ( myeloperoxidase )가 있다. [13] 日次 顆粒에서 分泌되는 物質은 IgG 抗體로 둘러싸인 細菌을 잡아먹도록 刺戟한다. [14] 二次 顆粒에는 毒性이 있는 酸素 化合物, 라이소자임, 락토페린 (細菌에서 必須 을 얻는 데에 使用하는 物質)을 生産하는 物質이 들어있다. [13] 好中球 細胞外덫(NET)은 染色質 細鱗 蛋白質分解酵素 로 이루어진 纖維網으로 微生物을 細胞外에서 잡아 죽인다. 好中球가 病原體에 壓倒될 때 DNA를 噴出하는 現象이다. 最後의 手段이지만, 癌細胞를 意圖치 않게 옮기기 때문에 癌을 퍼트릴 수 있다. 敗血症 患者는 細菌을 잡는 것이 特히 重要하므로 血管에 好中球 細胞外덫이 形成된다. [15]

好酸性 顆粒球 [ 編輯 ]

好酸球

好酸性 顆粒球 或은 好酸球 에는 신장 처럼 생긴 엽 2 - 4個로 이루어진 核이 있다. 好酸球가 血流를 循環하면서 顆粒을 放出( 脫顆粒 )하기 때문에 顆粒 數는 크게 差異가 난다. [16] 好酸球는 寄生蟲 (창자에 있는 船蟲 等)을 죽이는 役割을 한다. 好酸球의 顆粒에는 特異的인 毒性 鹽基性 蛋白質과 양이온性 蛋白質( 카텝신 [13] )이 들어 있다. [17] IgE 에 結合하는 受容體가 好酸球를 돕는다. [18] 好酸球는 制限的으로 食細胞作用 에 參與하고, [19] 補助 T細胞 , 樹枝狀細胞 , B細胞 , 肥滿 細胞 , 好中球 , 好鹽基球 等 다른 免疫細胞 機能을 調節한다. [20] 好酸球는 또한 抗原제시細胞 이며, 腫瘍 細胞를 破壞하는데 關與하고, [16] 損傷된 組織이 復舊되도록 促進한다. [21] 好鹽基球가 生産하는 인터류킨 -5는 好酸球와 相互作用하여 好酸球가 增殖하고 分化하도록 한다. [17]

好鹽基性 顆粒球 [ 編輯 ]

葉이 있는 核을 가진 好鹽基球

好鹽基性 顆粒球 或은 好鹽基球 骨髓 血液 에 가장 적은 細胞로 全體 細胞 中 2% 未滿을 차지한다. 好中球나 好酸球와 마찬가지로 好鹽基球는 葉이 있는 核을 가지고 있다. 다만 葉이 2個뿐이고 各 葉을 連結하는 染色質 이 잘 보이지 않는다. 好鹽基球는 IgE , IgG , 補體 , 히스타민 이 結合하는 受容體를 가지고 있다. 好鹽基球의 細胞質에는 다양한 羊의 顆粒이 들어있고, 大槪는 部分的으로 核을 가릴 程度로 많다. 好鹽基球 顆粒에는 히스타민 , 헤파린 , 黃酸 콘드로이틴 , 퍼옥시데이스 , 血小板 活性因子 및 其他 物質이 豐富하다.

感染이 일어나면 成熟한 好鹽基球는 骨髓에서 放出되어 感染된 곳으로 移動한다. [22] 好鹽基球가 損傷되면 히스타민을 放出하여 侵入한 微生物에 對抗하는 炎症 反應 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은 그 好鹽基球 近處의 毛細血管 을 擴張하고 透過性을 높인다. 損傷된 好鹽基球와 기타 白血球 프로스타글란딘 을 放出하여 感染 部位로 血液이 많이 移動하게 한다. 以上의 두 期作은 血液 凝固 物質을 感染 部位로 이동시키고 微生物 이 몸의 다른 部分으로 移動하지 않도록 막으면서 回復 過程을 始作한다. 炎症이 일어난 組織에서 透過性이 增加하면 飽食細胞 가 移動하기 쉬워지고 微生物이 除去된다. [19]

肥滿 細胞 [ 編輯 ]

顆粒球形成 [ 編輯 ]

顆粒球는 骨髓 에 있는 줄기細胞에서 由來한다. 顆粒球形成( Granulopoiesis )은 萬能( pluripotent ) 造血모줄기細胞 가 共通 骨髓性 電球細胞, 骨髓細胞를 거쳐 顆粒球로 噴火 하는 過程이다.

關聯 毒性 物質 [ 編輯 ]

顆粒球가 生産하거나 脫顆粒 을 통하여 放出하는 毒性 物質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이 毒性物質은 微生物을 攝取하거나 除去하는데 쓰인다.

病理學 [ 編輯 ]

顆粒球減少症은 血液에 顆粒球가 非正常的으로 적게 있는 狀態를 말한다. 이 狀態에서는 身體가 感染에 對抗하는 能力이 減少한다. 類似한 狀態로 無顆粒口證 [週 1] 好中球減少症 이 있다. 顆粒球는 脾臟 에서 4日, 血流에서 하루나 이틀 程度 生存하기 때문에 輸血 을 통하여 顆粒球를 供給하는 治療法은 매우 짧은 期間만 有效하다. 그 밖에 輸血과 聯關된 問題도 많다.

인슐린 依存性 糖尿 를 앓는 사람은 顆粒球의 化學酒性 에 缺陷이 있는 境遇가 많다.

追加 그림 資料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內容主 [ 編輯 ]

  1. 語源的으로는 顆粒球가 全혀 없는 것을 의미하지만, 臨床的으로는 顆粒球 比率이 頂上의 5% 以下인 境遇를 말한다.

參照週 [ 編輯 ]

  • Delves, P.J., Martin, S. J., Burton, D. R. and Roit I.M. Roitt's Essential Immunology (11th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2006, ISBN   978-1-4051-3603-7 .
  1. “Definition of Granulocyte” . 2012年 3月 19日. 2014年 12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1月 18日에 確認함 .  
  2. “Definition of Neutrophil” . 2012年 3月 19日. 2014年 12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1月 18日에 確認함 .  
  3. Stvrtinova, Viera; Jan Jakubovsky and Ivan Hulin (1995). 〈Neutrophils, central cells in acute inflammation〉. 《Inflammation and Fever from Pathophysiology: Principles of Disease》 . Computing Centre, Slovak Academy of Sciences: Academic Electronic Press. ISBN   80-967366-1-2 . 2010年 12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3月 28日에 確認함 .  
  4. Hoffbrand, A.V., Pettit, J.E., Moss, P.A.H. (2005). 《Essential Haematology》 4板. Blackwell Science. 331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0-632-05153-1 ’ ( 도움말 )
  5. Abbas,Chapter 12, 5° Edition
  6. Sompayrac, L. (2008). 《How the Immune System Works》 3板. Blackwell Publishing. 18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978-1-4051-6221-0 ’ ( 도움말 )
  7. Linderkamp O, Ruef P, Brenner B, Gulbins E, Lang F (December 1998). “Passive deformability of mature, immature, and active neutrophils in healthy and septicemic neonates” . 《Pediatr. Res.》 44 (6): 946?50. doi : 10.1203/00006450-199812000-00021 . PMID   9853933 . 2012年 4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4月 6日에 確認함 .  
  8. Hickey, MJ; Kubes P (2009). “Intravascular immunity: the host?pathogen encounter in blood vessels”. 《Nature Reviews Immunology》 (Nature Publishing Group) 9 ((5)): 364?75. doi : 10.1038/nri2532 . PMID   19390567 .  
  9. Robinson J.P., Babcock G. F. ed (1998). 《Phagocyte Function -A guide for research and clinical evaluation》. Wiley?Liss. 187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0-471-12364-1 ’ ( 도움말 )
  10. Ernst J. D. Stendahl O. ed (2006). 《Phagocytosis of Bacteria and Bacterial Pathogenici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0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0-521-84569-6 ’ ( 도움말 )
  11. Paoletti R., Notario A. Ricevuti G. ed (1997). 《Phagocytes: Biology, Physiology, Pathology, and Pharmacotherapeutics》.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2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1-57331-102-2 ’ ( 도움말 )
  12. Soehnlein O, Kenne E, Rotzius P, Eriksson EE, Lindbom L (January 2008). “Neutrophil secretion products regulate anti-bacterial activity in monocytes and macrophages” . 《Clin. Exp. Immunol.》 151 (1): 139?45. doi : 10.1111/j.1365-2249.2007.03532.x . PMC   2276935 . PMID   17991288 . 2012年 12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3月 29日에 確認함 .  
  13. Mayer, Gene (2006). “Immunology ? Chapter One: Innate (non-specific) Immunity” . 《Microbiology and Immunology On-Line Textbook》. USC School of Medicine . 2008年 11月 12日에 確認함 .  
  14. Soehnlein O, Kai-Larsen Y, Frithiof R; 外. (2008年 10月). “Neutrophil primary granule proteins HBP and HNP1-3 boost bacterial phagocytosis by human and murine macrophages” . 《J. Clin. Invest.》 118 (10): 3491?502. doi : 10.1172/JCI35740 . PMC   2532980 . PMID   18787642 .  
  15. Clark SR, Ma AC, Tavener AS, McDonald B, Goodarzi Z, Kelly MM, Patel KD, Chakrabarti S, McAvoy E, Sinclair GD, Keys EM, Allen-Vercoe E, DeVinney R, Doig CJ, Green FHY and Kubes P (2007年 4月). “Platelet Toll-Like Receptor-4 Activates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s to Ensnare Bacteria in Endotoxemic and Septic Blood” (PDF) . 《Nature Medicine》 (Nature Publishing Group) 13 ((4)): 463?9. doi : 10.1038/nm1565 . ISSN   1078-8956 . PMID   17384648 .  
  16. Hess, Charles E. “Segmented Eosinophil” . University of Virginia Health System. 2009年 8月 1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4月 10日에 確認함 .  
  17. Baron, Samuel (editor) (1996). 《Medical Microbiology》 4板. EditionThe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ISBN   0-9631172-1-1 .  
  18. Gleich GJ, Adolphson CR (1986). “The eosinophilic leukocyte: structure and function”. 《Advances in Immunology》. Advances in Immunology 39 : 177?253. doi : 10.1016/S0065-2776(08)60351-X . ISBN   9780120224395 . PMID   3538819 .  
  19. Campbell, Neil A., Reece Jane B., (2002). 《Biology》 6板. Pearson Education. 903쪽.   다음 글字 無視됨: ‘ ISBN   0-8053-6624-5 ’ ( 도움말 )
  20. Akuthota P, Wang HB, Spencer LA, Weller PF (August 2008). “Immunoregulatory roles of eosinophils: a new look at a familiar cell” .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38 (8): 1254?63. doi : 10.1111/j.1365-2222.2008.03037.x . PMC   2735457 . PMID   18727793 .  
  21. Kariyawasam HH, Robinson DS (April 2006). “The eosinophil: the cell and its weapons, the cytokines, its locations”.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7 (2): 117?27. doi : 10.1055/s-2006-939514 . PMID   16612762 .  
  22. Hess, Charles E. “Mature Basophil” . University of Virginia Health System. 2009年 8月 1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4月 10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