恐慌障礙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恐慌 障礙 에서 넘어옴)

恐慌障礙
診療科 精神健康醫學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恐慌障礙 (恐慌障碍, 英語 : panic disorder )는 不安障礙 의 一種으로, 恐慌發作 을 豫測할 수 없이 反復的으로 일으키는 疾患이다. [1] 뚜렷한 根據나 理由 없이 갑자기 極甚한 恐怖와 不安을 느끼는 恐慌 發作이 反復되는 것으로, 心悸亢進 , 땀, 몸떨림, 呼吸困難 , 痲痹, 不安 따위를 同伴할 수 있다. 主로 政治人 들에게 많이 생기는 疾病 中 하나로 心理的 安定에 對한 副作用이다.

恐慌障礙는 한 달 以上의 行動的 特性이 나타나며, 以後의 또다른 恐慌發作에 對한 두려움을 誘發하는데 이를 豫期不安이라고 한다. 많은 恐慌障礙가 廣場恐怖症 (agoraphobia)을 誘發하지만, 恐慌障礙 自體가 廣場恐怖症은 아니다. 恐慌障礙의 明確한 原因은 不明이나, 吸煙 을 包含한 藥물 使用, 心理的 스트레스 , 兒童虐待 의 經驗 等이 人者가 될 수 있다. [2] 恐慌障礙를 가진 사람들 中 約 70%가 恐慌發作이 始作되기 前부터 汎不安障礙 (汎不安障碍,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를 가지고 있었다는 硏究結果가 있으며, 첫 恐慌發作은 對人關係 葛藤, 疾病, 離別, 破産과 같은 社會的 스트레스 狀況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境遇가 많다.

一般的으로 相談 治療와 함께 抗憂鬱劑 項不安劑 를 利用한 藥물 治療가 竝行된다. 흔히 벤조디아제핀 이나 베타 遮斷劑 가 恐慌 治療를 위한 藥물로 使用된다.

事例 [ 編輯 ]

每事에 잔걱정이 많은 會社員 K氏는 요즘 自身의 身體的 健康에 對한 過度한 걱정으로 業務에 到底히 集中할 수가 없었다. 3個月 前 그는 上司와 甚한 말다툼을 한 뒤 暴飮을 하고 잠자리에 든 적이 있었는데, 그 때 自身의 心臟이 平素와 달리 不規則的으로 뛰고 있음을 自覺하였다. 그가 心臟 搏動에 注意를 기울이자 心臟은 더 剛하고 不規則하게 뛰었으며, 가슴에 痛症까지 느껴졌다. 極度로 不安해진 K氏는 救急車를 불러 病院으로 갔으나 身體 檢査 結果 특별한 異常을 發見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 後로 거의 每日 밤 心臟搏動이 異常하게 느껴지고, 며칠 前에는 집에 돌아가는 버스 안에서 呼吸困難과 함께 心臟의 痛症을 느끼면서, 이러다 죽는 것이 아닌가 하는 極甚한 不安感에 휩싸이게 되었다. [3]

診斷 [ 編輯 ]

恐慌障礙에 對한 2000年版 精神疾患 診斷 및 統計 便覽 (DSM-IV-TR) 診斷基準은, 豫測하지 못하는 恐慌發作(panic attack)李 反復的으로 나타나야 하며, 最小 1個月間 有意味하고 聯關된 行動變化(behavior change), 向後 發生할 發作에 對한 持續的인 憂慮, 或은 發作의 影響에 對한 憂慮를 最小 하나의 境遇 異常 隨伴된다. 廣場恐怖症 (agoraphobia)李 隨伴되거나 隨伴되지 않는 境遇로 나뉜다. 藥物이나 疾病에 因한 發作, 或은 다른 精神障礙로 發生한 것으로 보이는 恐慌發作은 恐慌障礙 診斷에서 除外된다.

ICD-10에서 提示하는 診斷基準의 核心 特徵은, 深刻한 不安(恐慌)으로 因한 發作이 反復的으로 나타나며, 特定 狀況이나 環境에 局限되지 않기에 豫測 不可한 것이다.

主要症狀은 다음과 같다.

  • 心悸亢進(palpitation)의 突發
  • 胸痛
  • 숨막히는 氣分
  • 眩氣症 或은 아찔한 氣分
  • 非現實感( 離人症 或은 非現實化derealization)
  • 죽음, 統制力 喪失, 미칠 것 같은 것에 對한 副次的 恐怖

發作이 始作될 때에 憂鬱障礙가 있는 境遇, 恐慌障礙는 主要 診斷 疾病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 境遇, 恐慌發作은 憂鬱症에 副次的인 것이 된다.

恐慌障礙 深刻度 尺度(Panic Disorder Severity Scale, PDSS)는 恐慌障礙의 深刻度를 測定하는 設問이다.

1. 豫測하지 못한 恐慌發作이 反復된다.
2. 적어도 한番 以上의 發作 後에, 한 달 넘게 다음 中 하나 以上이 該當해야 한다.

  • 恐慌發作이 다시 올 것에 對한 持續的인 걱정 或은 恐慌發作의 影響이나 結果에 對한 걱정 (예: 統制力 喪失, 心臟痲痹, 미쳐버리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
  • 恐慌發作과 關聯한 顯著한 不適合한 行動의 變化가 있어야 한다. (예: 恐慌障礙를 避하기 위해서 하는 行動들: 運動을 하지 않거나 낯선 場所를 避하는 等의 行動)

3. 恐慌發作이 藥물이나 甲狀腺 機能障礙와 같은 生理的 影響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니어야 한다.
4. 恐慌發作이 恐怖症이나 强迫障礙, 甚한 스트레스 障礙 때문에 생긴 境遇가 아니어야 한다.

廣場恐怖症 이 있는 恐慌障礙 [ 編輯 ]

DSM-5의 變更된 診斷 基準에 따라 恐慌障礙가 있어야만 廣場恐怖症이 있는 것은 아니다.

  1. 豫測하지 못한 恐慌發作이 反復되고, 脫出이 不可能하거나 도움을 請하기 어려운 場所를 두려워하거나, 그에 對한 不安을 가지고 있음.
  2. 적어도 한番 以上 發作을 經驗한 後 다음 한 달 넘게 不安을 느끼는 狀況을 避하거나, 相當한 苦痛을 느끼며 견디거나, 或은 恐慌發作이 닥치는 것을 不安해하며 견디거나, 同伴者가 옆에 있어야 버틸 수 있는 境遇.
  3. 또다시 恐慌發作이 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 但, 이런 不安이나 回避行動이 다른 障礙로 더 잘 說明될 때는 廣場恐怖症이라 붙이지 않는다.

合倂症 [ 編輯 ]

恐慌障礙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疾病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 憂鬱症 - 恐慌障礙를 가진 사람들 中 30% ~ 70%가 憂鬱症을 經驗한다고 한다. 그러나 憂鬱症 自體가 恐慌障礙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恐慌障礙를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憂鬱症은 恐慌障礙가 持續됨에 따라 二次的으로 생기는 境遇가 많음을 볼 수 있다.
  • 알코올 中毒 - 廣場 恐怖症이 있는 恐慌障礙 患者들 中 24%가 알콜 中毒이라는 硏究 結果가 있으며, 女性의 境遇 알코올 依存性을 보이는 比率이 4.4%인데 비해, 恐慌障礙 女性 中 알코올 依存度는 19%나 된다. [4] . 알코올은 GABA 에 作用하여 一時的으로 不安을 緩和시키지만, 依存性이 생길 수 있다.
  • 恐慌 發作으로 인해 疾病 恐怖症이 생길 수 있다.
  • 性格 變化 - 回避的 特性, 依存的 性格 및 演劇性 性格障礙 의 性向이 두드러진다.

治療 [ 編輯 ]

恐慌障礙는 深刻한 精神 健康上의 問題이지만, 治療가 成功할 可能性은 적지 않다. 그러나 現在까지 알려진 效果的인 治療法은 없다. 最大限肯定的 反應을 가져오면서도 再發을 最少化하는 治療法을 찾는 것이 必要하다. [5] 認知 行動 治療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와 恐慌 狀態에 맞춰진 肯定的 自己 對話(positive self-talk) [6] 는 恐慌障礙의 優先的 治療(treatment of choice)이다. 一部 硏究에서 依하면 認知 行動 治療로 完治된 患者 85~90%는 12週 內로 完璧하게 回復된다고 한다. [7] 認知 行動 治療 外에도 化學療法(pharmacotherapy)이 있다. 選擇的 세로토닌 再吸收 抑制劑 (selective serotonine reuptake inhibitor, SSRI)는 日次 化學 治療 옵션(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option)이다. [8] [9] [10]

心理 治療 [ 編輯 ]

恐慌障礙는 恐怖症(phobic symptom)과 다르지만, 恐怖症은 흔히 恐慌障礙에서 由來한다. [11] 認知 行動 治療와 精神力動 心理治療 (psychodynamic psychotherapy)의 試驗 形態는 廣場恐怖症 (agoraphobia)를 同伴하거나 同伴하지 않는 恐慌障礙 治療에 있어 모두 效果를 보여 왔다. [12] [13] [14] 無作爲 臨床實驗에서는 認知 行動 治療가 治療 以後 2年 間 患者 70~90%에게서 恐慌發作이 나타나지 않는 狀態를 보이게 되었다는 것을 보였다. [7]

2009年 코크란 리뷰 (Cochrane review)는 心理 治療에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 投藥을 함께하는 것이 效果가 있다는 證據가 거의 없다고 보고 推薦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15]

症狀 誘導(symptom induction)는 1分間 發生하며 다음을 包含한다.

  • 意圖的 過呼吸(intentional hyperventilation) : 輕微한 어지러움(lightheadedness), 이인감 (derealization), 視野 흐려짐(blurred vision), 眩氣症 (dizziness) 誘導
  • 椅子에 앉아서 돌기(spinning in a chair) : 眩氣症, 方向感覺 喪失(disorientation) 誘導
  • 빨대 呼吸(straw breathing) : 呼吸困難 (dyspnea), 祈禱 壓迫(airway constriction) 誘導
  • 숨참기(breath holding) : 숨가쁜 느낌 誘導
  • 제자리 뛰기(running in place) : 심박수 增加, 呼吸 增加, 땀 增加 誘導
  • 身體 緊張(body tensing) : 緊張感과 警戒心 誘導

臨床大棗實驗에서 效果를 보인 다른 心理 治療로는 恐慌 集中 精神力動心理治療로, 恐慌障礙를 일으키는데 있어 依存(dependency), 分離不安(separation anxiety), 憤怒의 役割에 焦點을 둔다. 理論의 基盤은 生化學的 脆弱性, 幼年期 트라우마 經驗, 或은 이 둘 다로 인하여, 恐慌障礙 患者는 安全感을 위한 相當한 依存性이 있으며, 이러한 依存性은 分離不安과 防禦的 憤怒(defensive anger)를 惹起한다는 것이다. 治療에는 스트레스 要因을 探索하고, 恐慌障礙가 基底에 깔人 葛藤에 關한 精神力動과 恐慌發作을 일으키는 防禦機制 (defense mechanism)를 探索하면서도, 治療師-患者 關係에 있는 前이(transference)와 分離不安 問題에도 集中한다. [16]

比較臨床硏究에서는 筋肉 弛緩(muscle relaxation)과 呼吸 運動(breathing exercise)李 恐慌發作 減少에 效果가 없다고 한다. 實際로 呼吸運動은 再發 可能性을 높인다. [17]

熟鍊된 專門家의 適切한 治療는 恐慌障礙를 막거나 深刻度와 頻度를 相當히 감소시킬 수 있어, 患者의 70-90%에게 有意味한 安定을 가져다 준다. [18] 再發하더라도 첫 恐慌 揷畵(panic episode)처럼 治療 效果가 있다.

밴아펠돈(vanApeldoorn, F.J.) 等의 2011年 硏究에서, 認知 行動 治療에 選擇的세로토닌再吸收抑制劑 投藥을 竝行하는 治療에 加重値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9] 글로스터(Gloster) 等의 2011年 硏究에서는 認知行動治療 治療師 役割을 硏究하였다. 이들은 患者를 두 集團으로 無作爲로 나눴다. 한 集團은 治療師가 同伴하는 認知行動治療를 통해 治療받은 境遇, 다른 한 集團은 治療師 없이 指示를 통해서만 認知行動治療를 遂行한 境遇였다. 前者의 境遇가 더 反應率이 높지만 두 集團 모두 恐慌 症狀 低下에 큰 效果가 있었다. 이는 金錢的 地理的인 理由로 治療惠澤을 잗지 못하는 患者에게 認知行動治療를 行하는 것이 信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 코시츠키(Koszycky) 等의 2011面 硏究에서는 治療師와 接觸하지 못하는 患者들에게 自己管理 認知行動治療(self-administered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SCBT)의 效果에 對하여 論議하였다. 이는 選擇的세로토닌再吸收抑制劑 投藥과 竝行하는 自己管理 認知行動治療는 選擇的세로토닌再吸收抑制劑를 竝行하는 治療師가 介入된 認知行動治療만큼 效果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各 硏究마다 사람들이 쉽게 接近할 수 있는 治療法을 考案해내는 새 硏究房안에 貢獻한다. [21]

認知 行動 治療 [ 編輯 ]

認知 行動 治療 (Cognitive behavioral therapy)는 不安 (anxiety)을 誘導하는 觸發要因(trigger)를 患者가 直面하도록 한다. 問題가 發生하는 非合理的인 恐怖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治療는 于先 呼吸을 진정시키는 것부터 始作하여, 不安이 몸에 나타나자마자 느끼는 身體感覺의 變化에 注目한다. 患者들은 日記를 作成할 것을 勸告받는다. 治療師가 不安感을 誘導하여서 恐怖의 根源을 찾기도 한다. [22]

同伴星 臨床 憂鬱(Comorbid clinical depression), 人格障礙 (personality disorder), 알코올 濫用 (alcohol abuse)은 治療 失敗의 危險 要因으로 날려져 있다. [23]

다른 障礙와 마찬가지로, 症狀을 理解해주는 家族이나 親舊의 支持가 治療率을 높인다. 發作이 일어나는 境遇, 非合理的이고 卽刻的인 恐怖가 發生하더라도 症狀을 아는 知人들로 인해 恐怖를 떨쳐버릴 수 있는 境遇가 드물지 않다. 더욱 深刻하거나 活潑한 治療에 있어 障礙를 理解하고 對處할 수 있는 不安 患者들을 위한 支持集團度 있다.

最新 治療 가이드라인에 있어, 美國精神醫學協會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와 美國醫師協會 (American Medical Association)는 認知行動治療나 心理化學的 介入 둘 中 하나를 治療에 活用한다. 이 둘을 混合한 治療法의 優秀性이 證明되기도 하였다. [12] [24] [25]

認知 行動 治療에 根據한 自救策도 있다. [26] 冊이나 웹사이트를 통하여 治療에 使用되는 運動을 할 수도 있지만, 治療師에게 이메일이나 電話로 連絡을 取할 뿐 運動 自體는 혼자서 한다. [27] 이런 自救策을 檢査하는 體系的 實驗 分析은 認知行動治療에 基盤한 웹사이트, 冊 , 其他 等이 一部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發見하였다. [26] 硏究가 活潑히 되어 온 症狀은 恐慌障礙와 社會恐怖症(social phobia)이다. [26]

刺戟感應露出 [ 編輯 ]

刺戟感應露出 (Interoceptive exposure)李 恐慌障礙에 使用되기도 한다. 不安에 關한 刺戟感覺的 觸發要因은 刺戟感應露出 隨行 以前에 하나하나 評價된다. 가벼운 運動을 통하여 心悸亢進(palpitation) 敏感度를 測定하는 것이 있다. [28] 臨床的 效果가 있음에도 治療師의 12-20%만이 活用하고 있다고 報告되고 있다. 活用度機 낮은 理由는 訓鍊 場所의 不足, 一般的인 治療 會期보다 期間이 길다는 點, 治療所 外에서의 治療 行爲 禁止, 非倫理的이라거나 견디지 못한다거나 몸에 해롭다는 等의 治療에 對한 不信이 있다. [28]

藥物 治療 [ 編輯 ]

適切한 藥물 治療는 效果가 있다. 耐性, 依存性, 濫用의 問題로, 一線治療法로는 벤조디아제핀보다는 選擇的세로토닌再吸收抑制제가 손꼽힌다. [29] 藥물治療가 恐怖症을 直接的으로 바꿀 수 있다는 證據는 적지만 이에 對한 硏究 自體가 적으며, 藥物 治療는 治療를 수월하게 한다. 유럽에서는 患者 8%만이 治療를 받는다고 한다. [30]

藥物 治療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抗憂鬱劑 (Antidepressant) : 選擇的세로토닌再吸收抑制劑(SSRI), 모노아민 酸化 酵素 抑制劑 (Monoamine oxidase inhibitor, MAOI), 三桓系 抗憂鬱劑 (tricyclic antidepressant), 노르에피네프린 再吸收 抑制劑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 項不安劑 (Antianxiety agent) (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 : 벤조디아제핀 使用은 論爭이 있다. 美國精神科協會(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는 벤조디아제핀이 恐慌障礙 治療에 效果가 있으며, 벤조디아제핀과 抗憂鬱劑 中 무엇을 使用할지에 對한 選擇은 患者 個人의 來歷과 性格에 따라 決定돼야 한다고 勸告한다. [31] 一部 專門家들은 藥物耐性 (Drug tolerance)과 依存性 (physical dependence)의 發達 危險 때문에 벤조디아제핀 使用을 禁한다. [32] 世界生理精神科協會聯合(The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은 벤조디아제핀이 一線治療法으로는 안되나 治療抵抗性(treatment-resistant) 事例에서는 使用可能하다고 말한다. [33] 不安 治療에 있어 適切하다고 評價되는 抗憂鬱劑 等의 使用이 增加하고 있음에도, 벤조디아제핀은 恐慌障礙 治療藥으로 如前히 흔히 使用되고 있다. [34] [35] 世界生理精神과협회연합의 報告에 依하면, 한 가지 治療法만을 使用하는 것에 對한 證據가 不充分하다. 美國精神科協會는 벤조디아제핀이 藥劑 作用이 빠르다는 長點이 있지만, 벤조디아제핀 依存 (benzodiazepine dependence) 發病 危險性이 있다는 短點이 있다고 밝혔다. [36] 英國國立臨床硏究所 (National Institute of Clinical Excellence)는 藥물治療 效用性을 評價하는 非對照群 臨床實驗 使用의 問題를 指摘하면서, 胃弱 對照群 硏究(placebo-controlled research)를 基盤으로 벤조디아제핀은 長期間 效果가 없으며 4週 以上 使用하지 말라는 結論을 내렸다. 미국국립연구소 臨床 가이드라인(NICE clinical guideline)은 大體 藥물治療나 精神治療를 推薦한다. [37] 胃弱과 比較하여, 벤조디아제핀은 短期間 卓越性을 보잊만 臨床에서 適用하는데 있어서는 制限的이다. [38]

其他 治療法 [ 編輯 ]

一部 境遇 카페인(caffeine) 遮斷으로 不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39] 不安은 카페인 中間期間 동안 一時的으로 增加할 수 있다. [40] [41] [42]

各州 [ 編輯 ]

  1. “Anxiety Disorders” . 《NIMH》. March 2016. 29 September 2016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 October 2016에 確認함 .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8?217, 938쪽, ISBN   0890425558  
  3. “서울大學校 臨床ㆍ相談 心理學 硏究室” . 2020年 8月 6日에 確認함 .  
  4. McNally, R. J. 1994, Panic Disorder: A Critical Analysis, NY : Guilford Press
  5. Salvador-Carulla L, Segui J, Fernandez-Cano P, Canet J (April 1995). “Costs and offset effect in panic disorder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Supplement》 166 (27): 23?8. doi : 10.1192/S0007125000293367 . PMID   7794590 .  
  6. Ellis R, Ryan JA (2005).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ist Tools for Training/Coaching Clients to Move Beyond Emotional Relief”. 《Annals of the American Psychotherapy Assn》 8 (3): 42?43.  
  7. Nolen-Hoeksema, Susan (2013年 12月 2日). 《Abnormal Psychology》. McGraw-Hill. 132쪽. ISBN   978-0078035388 .  
  8. Cloos JM (January 2005).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18 (1): 45?50. PMID   16639183 . 4 April 2011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9. Foldes-Busque G, Marchand A, Landry P (October 2007).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update]” . 《Canadian Family Physician》 53 (10): 1686?93. PMC   2231433 . PMID   17934032 .  
  10. Rathgeb-Fuetsch M, Kempter G, Feil A, Pollmacher T, Schuld A (September 2011). “Short- and long- term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SM-IV panic disorder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evere psychiatric comorbidity”.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5 (9): 1264?8. doi : 10.1016/j.jpsychires.2011.03.018 . PMID   21536308 .  
  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text revision ( DSM-IV-TR )判. ISBN   0-89042-025-4 .  
  12. Marks, Isaac M.; Swinson, Richard P.; Ba?o?lu, Metin; Kuch, Klaus; Noshirvani, Homa; O'Sullivan, Geraldine; Lelliott, Paul T.; Kirby, Marlene; McNamee, Gary; Sengun, Seda; Wickwire, Kim (June 1993). “Alprazolam and Exposure Alone and Combined in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Controlled Study in London and Toronto”.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2 (6): 776?787. doi : 10.1192/bjp.162.6.776 . PMID   8101126 . S2CID   25233822 .  
  13. Milrod BL, Leon AC, Barber JP, Markowitz JC, Graf E (June 2007). “Do comorbid personality disorders moderate panic-focused psychotherapy?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actice guidelin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8 (6): 885?91. doi : 10.4088/JCP.v68n0610 . PMID   17592913 .  
  14. Barlow DH, Gorman JM, Shear MK, Woods SW (May 2000).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JAMA》 283 (19): 2529?36. doi : 10.1001/jama.283.19.2529 . PMID   10815116 .  
  15. Watanabe, Norio; Churchill, Rachel; Furukawa, Toshi A (2009年 1月 21日). “Combined psychotherapy plus benzodiazepines for panic disord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5335. doi : 10.1002/14651858.CD005335.pub2 . PMID   19160253 .  
  16. Busch, Fredric N.; Milrod, Barbara L. (2008年 2月 1日). “Panic-Focused Psychodynamic Psychotherapy” . 《Psychiatric Times》 25 (2).  
  17. Schmidt, Norman B.; Woolaway-Bickel, Kelly; Trakowski, Jack; Santiago, Helen; Storey, Julie; Koselka, Margaret; Cook, Jeff (2000). “Dismantling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Questioning the utility of breathing retraining.”.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 (3): 417?424. CiteSeerX   10.1.1.561.9948 . doi : 10.1037//0022-006x.68.3.417 . PMID   10883558 .  
  18. “Panic Disorder”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06年 4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5月 12日에 確認함 .  
  19. van Apeldoorn, F. J.; van Hout, W. J. P. J.; Mersch, P. P. A.; Huisman, M.; Slaap, B. R.; Hale, W. W.; Visser, S.; van Dyck, R.; den Boer, J. A. (April 2008). “Is a combined therapy more effective than either CBT or SSRI alone? Results of a multicenter trial on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7 (4): 260?270. doi : 10.1111/j.1600-0447.2008.01157.x . hdl : 1874/385414 . PMID   18307586 . S2CID   23376651 .  
  20. Gloster, Andrew T.; Wittchen, Hans-Ulrich; Einsle, Franziska; Lang, Thomas; Helbig-Lang, Sylvia; Fydrich, Thomas; Fehm, Lydia; Hamm, Alfons O.; Richter, Jan; Alpers, Georg W.; Gerlach, Alexander L.; Strohle, Andreas; Kircher, Tilo; Deckert, Jurgen; Zwanzger, Peter; Hofler, Michael; Arolt, Volker (2011). “Psychological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role of therapist-guided exposure in situ in CB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9 (3): 406?420. doi : 10.1037/a0023584 . PMID   21534651 .  
  21. Koszycki, D.; Taljaard, M.; Segal, Z.; Bradwejn, J. (February 2011). “A randomized trial of sertraline, self-administer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Psychological Medicine》 41 (2): 373?383. doi : 10.1017/S0033291710000930 . PMID   20462466 . S2CID   36613894 .  
  22. Nolen-Hoeksema, Susan (2014年 1月 1日). 《Abnormal Psychology》. McGraw-Hill Education ? Europe. ISBN   978-1-259-06072-4 .  
  23. Segui J, Marquez M, Canet J, Garcia L (1999). “Causas de fracaso en el tratamiento psicofarmacologico del trastorno por angustia” [Causes of failure in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 《Actas Espanolas de Psiquiatria》 (스페인語) 27 (4): 250?258. PMID   10469946 .  
  24. Barlow, David H.; Gorman, Jack M.; Shear, M. Katherine; Woods, Scott W. (2000年 5月 17日).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3 (19): 2529?36. doi : 10.1001/jama.283.19.2529 . PMID   10815116 .  
  25. Wiborg, Ida M.; Dahl, AA (1996年 8月 1日). “Does Brief Dynamic Psychotherapy Reduce the Relapse Rate of Panic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3 (8): 689?94. doi : 10.1001/archpsyc.1996.01830080041008 . PMID   8694682 .  
  26. Lewis, Catrin; Pearce, Jennifer; Bisson, Jonathan I. (January 2012). “Efficacy, cost-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self-help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s: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 (1): 15?21. doi : 10.1192/bjp.bp.110.084756 . PMID   22215865 .  
  27. Lewis, Catrin; Pearce, Jennifer; Bisson, Jonathan I. (January 2012). “Efficacy, cost-effectiveness and acceptability of self-help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s: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 (1): 15?21. doi : 10.1192/bjp.bp.110.084756 . PMID   22215865 .  
  28. Khalsa, Sahib S.; Lapidus, Rachel C. (2016). “Can Interoception Improve the Pragmatic Search for Biomarkers in Psychiatry?” . 《Frontiers in Psychiatry》 7 : 121. doi : 10.3389/fpsyt.2016.00121 . PMC   4958623 . PMID   27504098 .  
  29. Moylan, Steven; Giorlando, Francesco; Nordfjærn, Trond; Berk, Michael (March 2012). “The role of alprazolam for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in Australia”.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6 (3): 212?224. doi : 10.1177/0004867411432074 . PMID   22391278 . S2CID   11006795 .  
  30. Goodwin, R.D.; Faravelli, C.; Rosi, S.; Cosci, F.; Truglia, E.; de Graaf, R.; Wittchen, H.U. (August 2005). “The epidemiology of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Europe” .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15 (4): 435?443. doi : 10.1016/j.euroneuro.2005.04.006 . PMID   15925492 . S2CID   14905286 .  
  31. “Clinical guidelines and evidence review for panic disorder and generalised anxiety disorder” (PDF) .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2004. 19 February 2009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16 June 2009에 確認함 .  
  32. Damsa, Cristian; Lazignac, Coralie; Iancu, Ruxandra; Niquille, Marc; Miller, Nick; Mihai, Adriana; Virgillito, Salvatore; Adam, Eric (2008). “Troubles paniques : du diagnostic differentiel vers une prise en charge urgente” [Panic disorders: differential diagnosis and care in emergencies] . 《Revue Medicale Suisse》 (프랑스語) 4 (144): 404?409. PMID   18320769 .  
  33. Bandelow B, Zohar J, Hollander E, Kasper S, Moller HJ (October 2002).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anxiety, obsessive-compulsiv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The World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3 (4): 171?99. doi : 10.3109/15622970209150621 . PMID   12516310 .  
  34. Bruce SE, Vasile RG, Goisman RM, Salzman C, Spencer M, Machan JT, Keller MB (August 2003). “Are benzodiazepines still the medication of choice for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 (8): 1432?8. doi : 10.1176/appi.ajp.160.8.1432 . PMID   12900305 .  
  35. Stevens JC, Pollack MH (2005). “Benzodiazepines in clinical practice: consideration of their long-term use and alternative agent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6. 66 Suppl 2: 21?7. PMID   15762816 .  
  36. Work Group on Panic Disorder (January 2009). “APA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Second Edition” (PDF) . 2009年 7月 12日에 確認함 .  
  37. School Of Health Related Research (Scharr), University of Sheffield (2004). 《Clinic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nxiety: Management of Anxiety》 .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Guidance.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Primary Care. OCLC   708544131 . PMID   20945576 .  
  38. Breilmann J, Girlanda F, Guaiana G, Barbui C, Cipriani A, Castellazzi M, 外. (March 2019). “Benzodiazepines versus placebo for panic disorder in adults” .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 CD010677. doi : 10.1002/14651858.CD010677.pub2 . PMC   6438660 . PMID   30921478 .  
  39. Bruce MS, Lader M (February 1989). “Caffeine abstention in the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19 (1): 211?4. doi : 10.1017/S003329170001117X . PMID   2727208 .  
  40. Prasad, Chandan (2005). 《Nutritional Neuroscience》 . CRC Press . 351쪽. ISBN   978-0415315999 . 2012年 10月 7日에 確認함 .  
  41. Nehlig, Astrid (2004). 《Coffee, Tea, Chocolate, and the Brain》 . CRC Press. 136쪽. ISBN   978-0415306911 . 2012年 10月 7日에 確認함 .  
  42. Juliano, Laura M.; Griffiths, Roland R. (2004年 10月 1日). “A critical review of caffeine withdrawal: empirical validation of symptoms and signs, incidence, severity, and associated features”. 《Psychopharmacology》 176 (1): 1?29. doi : 10.1007/s00213-004-2000-x . PMID   15448977 . S2CID   5572188 .  

參考 資料 [ 編輯 ]

  • 박현순(2000). 《恐慌障礙(異常心理學 5)》. 학지사. ISBN   89-7548-425-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