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계남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계남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계남면
溪南面
로마字 表記 Gyenam-myeon
行政
國家 大韓民國
地域 全北特別自治道   長水郡
行政 區域 26個 , 46個
법정리 8個
官廳 所在地 계남면 將帥로 3071
지리
面積 50.28km 2
人文
人口 2,131名(2022年 3月)
世代 1,035世代
人口 密度 42.38名/km 2
地域 富豪
웹사이트 계남면 住民自治센터

계남면 (Gyenam-myeon, 溪南面)은 大韓民國 全北特別自治道 長水郡 의 面 單位 行政區域 中 하나이다.

沿革 [ 編輯 ]

계남면은 三國時代 에는 百濟 의 領域으로 백해군의 管轄 區域에 있었으며, 統一新羅 以後, 757年 景德王 16年에 郡, 縣의 名稱을 孤枕에 따라 백해군을 碧溪軍으로 改稱했으며, 계남면은 碧溪君의 管轄 區域에 屬했다. 高麗 太祖 23年에 碧溪軍이 碧溪縣으로 바뀌고, 高麗 成宗 14年에는 碧溪賢異 장계현으로 改稱되었다.

朝鮮 太宗 14年에는 장계현이 장수현에 倂合되고, 高宗 32年에는 장수현이 長水郡으로 名稱이 바뀌기도 했지만 계남면은 現在까지 그 管轄 區域에 있다. [1]

  • 三國時代  : 백해군
  • 南北國時代  : 碧溪群
  • 高麗時代  : 940年 碧溪縣으로 格下 995年 장계현으로 改稱
  • 朝鮮時代 : 1413年 장계현과 장수현을 倂合하여 장수현으로, 장수현 任南面으로 改稱했으며, 朝鮮 末期에 임남방으로 불렸고 1895年 全國 地方管制 改正에 따라 房을 面으로 고치면서 任南面이라고 했다.
  • 韓日倂合 以後 : 1917年 政府地方管制 改正에 따라 계남면으로 改稱

지리 [ 編輯 ]

계남면의 地形은 닭이 알을 품은 것과 같은 金鷄抱卵의 形局을 하고 있다. 蘆嶺山脈 의 宗山이라고 부르는 장안산 이 母系로 比喩한다면 법화산 백화산 은 兩쪽 날개로 比喩된다. 그 속에 面民 1000餘 家口가 안겨 놓은 달걀처럼 포근하게 幸福한 生을 누리고 있다.

장안산과 싸리재에서 發源한 유천은 桂男들의 복판을 흐르면서 젖줄 役割을 하고 있다. 19番 國道는 계남면 南北(長壽와 狀啓)으로 貫通하면서 動脈 役割을 한다. 계남면은 長水郡 內에서는 唯一하게 他郡ㆍ도와 接하지 않은 內陸面이다. 東쪽은 장안산 넘어로 번암면 장계면 一部에 隣接해 있고, 南쪽은 싸리재와 境界를 이루어 장수읍 과 隣接했으며, 西쪽은 법화산 이 境界가 되어 천천면과 隣接했고, 北쪽은 동평들을 흐르는 실개川이 장계면과 境界를 이루고 있다. [1]

行政 區域 [ 編輯 ]

  • 침곡리
  • 화양리
  • 신전리
  • 호덕리
  • 화음리
  • 가곡리
  • 궁양리
  • 장안리

敎育 [ 編輯 ]

各州 [ 編輯 ]

  1. 계남면의 地名 由來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2011年 8月 6日 確認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