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京城高等演藝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京城高等演藝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京城高等演藝館 (京城高等演藝館)은 1910年 2月 18日 에 開館한 朝鮮 最初의 常設映畫館이다.

1910,京城高等演藝館 傳單紙

位置 및 內部施設 [ 編輯 ]

1910年 2月 18日 , 京城高等演藝官은 活動寫眞 常設館으로는 朝鮮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졌다. 位置는 現在의 을지로2街 外換銀行 本店 옆 자리인 황금정 63通 7號에 자리 잡고 있었다. 1911年 8月頃 황금정 道路擴張으로 建物이 헐리게 되자 황금정 3番地로 場所를 옮겨 다시 新築되었다. 京城高等演藝管을 所有하고 있던 人物은 映畫配給社였던 K다이아몬드社와 關聯 있던 가네하라 긴調(金原金藏)였다. [1] 內部는 이른바 ‘奇石’(奇席)이라는 日本式이었고, 2層은 다다미 , 아래層 客席은 긴 椅子로 配置하였다. 收容人員은 4~5百名 程度였고, 建物의 外觀이나 內部 設備를 現代的으로 具備하였다. 또한 ‘要視者와(吉澤)상점’에서 活動하고 있던 日本 映寫技士를 映畫上映을 위해 固定配置 하였고, 프랑스 ‘ 파테會社 ’의 領事裝備를 갖추고 있었다. [2]

位相 [ 編輯 ]

現代的 施設을 갖춘 탓에 京城高等演藝館의 入場料는 以前의 다른 劇場들에 비해 큰 幅으로 引上되었는데 特等席은 1원을 받았다. 이 料金은 劇場 入場料로서는 가장 비싼 것이었다. 그러나 이같이 비싼 入場料에도 不拘하고 京城高等演藝館의 映畫上映은 相當한 人氣를 얻었다. 京城高等演藝館의 大衆的 人氣가 높아지고 社會的으로 關心거리가 되자 高宗皇帝 가 이들을 宮內로 招待해 政府官吏와 皇室 人士들과 함께 映畫를 觀覽하고, 劇場主 와다나베에게 下賜金 을 주어 激勵하기도 했다. 皇帝가 一般劇場의 領事施設을 宮內로 불러들여 映畫를 觀覽하고 劇場 主人에게 下賜金까지 주었다는 것은 대단히 異例的인 일이었다. 그만큼 京城高等演藝官은 當時 서울에서 社會的 關心의 對象으로 浮刻되고 있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3] 1912年 7月에는 『 每日申報 』의 平壤支局開設을 記念하는 映畫上映會를 平壤 에서 열기도 했는데, 이 行事 亦是 相當한 人氣를 모았다는 事實이 當時의 記錄으로 確認되고 있다. 이 같은 人氣를 바탕으로 京城高等演藝館 側은 地方巡廻上映을 試圖함으로써 營業의 範圍를 넓혀나가기 始作했지만 그 같은 巡廻上映은 1912年 8月의 메이지 天皇 (明治天皇) 死亡을 契機로 곧 中斷되었다. [4]

沒落 [ 編輯 ]

京城高等演藝館의 存續期間은 그리 길지 않았다. 1911年 8月頃에 서울에서 映畫裝備의 販賣와 映畫製作, 劇場運營 等의 事業을 始作한 禁苑上廻 (金原商會)가 京城高等演藝管을 買入함으로써 京城高等演藝官은 禁苑商會의 ‘ 演藝館 ’에 吸收되었다. 營業狀態가 良好하던 劇場이 왜 買入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禁苑上廻’로 所有權이 넘어간 後에도 繼續해서 映畫上映劇場으로 運營되다가, 1912年 7月 末頃에 구리개 一帶의 道路擴張 工事가 進行되면서 建物 一部가 헐리게 되자 이를 契機로 建物을 헐어버리고, 그 자리에 새로운 建物을 지었다. 이에 따라 이 劇場은 1913年 1月 1日부터 새로 開館하고 營業을 繼續했으나 이듬해인 1914年에는 運營權이 다시 ‘ 臺鼎冠 ’(大正館)으로 넘어갔다. [5] 京城高等演藝管을 사들인 ‘ 臺鼎冠 ’은 이를 ‘ 第2臺鼎冠 ’으로 이름을 變更함으로써 ‘京城高等演藝館’은 없어지고 말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第2臺鼎冠’은 朝鮮人을 相對로 運營되었으나, ‘ 臺鼎冠 ’과 ‘ 우미관 ’(優美館) 劇場主들 사이에 事業的 協商이 맺어짐에 따라 ‘第2臺鼎冠’은 다시 ‘ 世界觀 (世界館)’이란 이름으로 바꾸고 營業對象도 日本人을 主로 相對하는 劇場으로 전환시켰다.

意義 [ 編輯 ]

映畫劇場私的 側面에서 본다면 京城高等演藝官은 存續期間은 비록 짧았지만 本格的인 映畫專門劇場으로는 첫 章을 열었으며 存續期間동안에는 商業的인 興行의 中心地 役割을 함으로써 朝鮮에 映畫가 普及되는 過程에서 重要한 役割을 했다. 그러나 劇場의 所有主가 日本人이며, 日本 資本에 依해 세워졌다는 事實은 日本人이 朝鮮의 映畫市場을 本格的으로 掌握하기 始作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며 ‘京城高等演藝館’은 그것의 具體的인 境遇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5]

우미관(優美館)과의 關係 [ 編輯 ]

우미관 (優美館)의 設立에 對해 大部分의 硏究者들이 잘못된 主張을 되풀이하고 있다. 김종원은 "1915年 京城高等演藝管을 이어 받아 종로구 관철동에 甓돌 2層으로 開場한 우미관은..."(김지현 責任編輯, 위의 冊(韓國映畫史-開化期에서 開化期까지에서), 27쪽)이라고 記述하고 있으며, 李榮一은 "高等演藝官은 1916年에 우미관으로 改名했다." (이영일, 위의 冊(韓國映畫戰士), 48쪽)고 記述했다. 그러나 우미관 1912年 12月 設立이 確認되고 있기에 위 硏究者들의 主張은 事實과 다르다. [6]

各州 [ 編輯 ]

  1. 한상언, 《活動寫眞時期 朝鮮映畫産業 硏究》, 한양대 大學院 博士學位 論文, 2010, p67
    旣存 硏究에서는 高等演藝館의 冠註를 와타나베로 보고 있었는데, 最近 여러 資料들을 통해 가네하라가 세워 運營했음을 確認되었다.
    (한상언,'1910年代 鏡城의 日本映畫人 硏究', <映畫硏究>40號, 韓國映畫學會, 2009, 244쪽)
  2. 編輯部 지음,《한국영화사연구 內 이용남,解放 前 조선극장社 硏究》, 새미 出版, 2003, p120
  3. 編輯部 지음,《한국영화사연구 內 이용남,解放 前 조선극장社 硏究》, 새미 出版, 2003, p120-121
  4. 조희문,《草創期 韓國映畵史 硏究》,中央大 博士學位 論文,1992,(《韓國映畫史硏究》에서 再引用)
  5. 조희문, 위의 論文, 1992, p106-107 (《韓國映畫史硏究》에서 再引用)
  6. 한상언, 위의 論文, 2010, p70의 196番 主席 參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