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結成鄕校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結成鄕校

結成鄕校
(結城鄕校)
대한민국 忠淸南道 記念物
種目 記念物 第134號
( 1997年 12月 17日 指定)
面積 2,644m 2
位置
결성향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결성향교
結成鄕校
結成鄕校(大韓民國)
住所 忠淸南道 洪城郡 결성면 읍내리 586
座標 北緯 36° 31′ 43.71″ 東經 126° 32′ 33.82″  /  北緯 36.5288083° 東京 126.5427278°  / 36.5288083; 126.5427278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結成鄕校大成殿
(結城鄕校大成殿)
대한민국 忠淸南道 文化財資料 (解止)
種目 文化財資料 第158號
( 1984年 5月 17日 指定)
( 1997年 12月 23日 解止)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結成鄕校 (結城鄕校)는 大韓民國 忠淸南道 洪城郡 결성면 읍내리에 있는 鄕校이다. 1997年 12月 17日 忠淸南道의 記念物 第134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鄕校는 孔子 等 聖賢들에게 祭祀를 지내고 地方民의 敎育과 敎化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敎育機關이다.

結成鄕校의 언제 지었는지 正確히는 알 수 없으나, 高麗 顯宗 1年(1010)에 세웠다고 傳한다. 朝鮮 仁祖 1年(1623)과 顯宗 15年(1674), 純祖 8年(1808)에 修理하였고 1923年에 크게 補修하여 只今의 모습을 갖추었다.

建物 配置는 外三門 없이 바로 敎育 空間인 明倫堂이 있고, 그 뒤에 祭祀 空間인 大成殿이 있는 轉學後妙의 形式을 따르고 있다.

大成殿은 앞面 3칸·옆面 3칸 規模로, 지붕은 옆面에서 볼 때 사람 人(人)字 模樣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孔子를 비롯하여 中國과 우리나라 聖賢의 位牌를 모시고 있다. 以外에 學生들의 寄宿舍인 東齋와 書齋, 祭器庫, 紅살門, 內三門들이 있다.

朝鮮時代에는 나라에서 土地와 奴婢·冊 等을 支援받아 學生들을 가르쳤으나, 只今은 敎育 機能은 없어지고 祭祀 機能만 남아 있다.

現地 案內文 [ 編輯 ]

鄕校는 朝鮮時代 官立敎育機關으로 고을마다 세워졌다. [1]

이 鄕校는 1010年(高麗 顯宗 元年)에 처음으로 建立하여졌다 하며 금곡리 신금성에 있던 舊 邑治가 結成邑城으로 옮기게 됨에 따라 1406年頃 이곳으로 新築移轉하게 되었다고 한다. [1]

朝鮮朝에 와서 1623年(仁祖 元年)과 1674年(玄宗 15年)과 1808年(純祖 8年)에 各各 修理한 記錄이 있고 1923年에 고쳐지었다. [1]

丘陵地에 位置하고 있으며 內三門이 있고 明倫堂을 두고 그 뒤에 大聖殿을 두었다. 大成殿에는 韓國의 18絃을 제향하고 있다. 2003年에 外三門을 세우고 大成殿은 正面 4칸, 側面 2칸이다. 그 外에 境內에는 儒生의 寄宿舍인 東齋와 書齋 그리고 器物 保管 倉庫인 祭器庫 等의 建物과 化粧室이 있다. [1]

各州 [ 編輯 ]

  1. 現地 案內文 認容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