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文學의 映畫化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文學의 映畫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脚色家 에서 넘어옴)

文學의 映畫化 라는 것은 小說 이나 電氣 따위의 文學作品 映畫 로 만드는 것을 뜻한다.

槪要 [ 編輯 ]

文學 텍스트와 映畫 텍스트 사이의 가장 一般的이며 頻繁한 相互交流를 우리는 各色 이라고 한다. 各色 , 戱曲 , 小說 活字 로 이루어진 文學作品 이 視覺的 이미지로 轉化되어 映像化 되는 것을 말한다. [1] 이는 單純히 읽을거리를 볼거리로 전환시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2]

文學作品 플롯 鑄物 이라고 한다면 各色 鑄型틀 을 利用해서 새로운 鑄型 을 만드는 作業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롭게 製作된 鑄型 原州물 과 內容物이 같지만 形態가 다르듯이 文學을 映像化 한 作品도 플롯 의 構成物이 같더라도 形態面에서 差異가 나는 것이다. 各色 된 作品은 原作 의 感動을 傳達하는 한便, 原作 과는 다른 意味와 示唆點을 만들어낸다. [3]

조지 블루스턴 (J.Bluestone)은 槪念에 對해서 일찍부터 韓國的으로 探索했다. 그는 小說이 觀念的인 形態라면, 映畫는 知覺的, 再現的인 形態의 藝術라고 서로의 差異를 對照했었다. 또한 映畫가 小說을 아무리 充實하게 各色 한다고 해도 根本的으로 創作 인 것이기 때문에, 시나리오 作家는 言語的 感覺에만 制限되어 있는 小說 原作 을 主觀的으로 解釋해서 알기 쉽게 解說하기에 創作 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4] 小說 映畫 各色 하는 것에는 單純한 視覺的인 再現에만 滿足할 수 없기에 그 어려움이 따른다. 小說 映畫 的인 言語로 再創造해야 한다는 原則과 當爲性이 얼마만큼 충족시켜주어야 하느냐에 따라 各色 의 成敗 與否가 갈린다. [2]

文學 映畫 媒體 特性 [ 編輯 ]

文學 映畫 의 共通點 [ 編輯 ]

文學 이란 쉽게 말해 言語藝術 이라고 할 수 있다. 卽 넒은 意味로 보면, 말로 된 것이든 글로 表現된 것이든 言語藝術 이면 모두 다 文學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각해보면 映畫 文學 에 包含되는 것이며, 따라서 서로 많이 닮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이 아닌 映像 을 통해 實現되지만, 基本的인 構成要素가 言語 이며, 藝術 의 한 樣相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繼續 論議되고 있는 文學 各色 對象 이 되는 것으로서, 광의 文學 이라기보다는 좁은 意味의 文學 을 의미한다. [5]

그런데, 이렇게 文學 을 좁게 규정지어 보면, 映畫 는 그 以前에 넓은 意味에서 가질 수 있었던 文學 과의 共通的 性質을 잃는 것처럼 보인다. 로 表現 되었다는 條件을 잃기 때문이다. 그러나 映畫 를 만들기 위한 必須 作業이자, 映畫 의 根幹이 되는 시나리오 에 對해 생각해본다면, 映畫 文學 사이의 關係는 다시 한 番 緊密해진다. 시나리오 를 통해 映畫 는 ‘텍스트性을 가진 敍事’라는 要素를 確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좁은 意味의 文學’과의 交集合 을 形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特性上의 共有는 映畫 事件 展開 小說 이나 戱曲 에서의 事件 展開 와 아주 비슷한 樣相을 가지게 되는 데까지 나아가게 만든다. [5]

小說 이나 戱曲 에서의 事件 展開 를 簡單하게 나타내는 用語가 프라이타크(Freytag)의 三角形 이다. 卽, 事件의 展開를 發端 , 上昇 , 危機 或은 絶頂 , 下降, 破局 의 다섯 段階로 진전시키는 것이다. 發端 上昇 段階 사이에는 刺戟的 契機를 만들어서 보는 이들의 關心을 집중시키고, 最高潮 에 이른 事件을 破局 으로 끌어내리기 위해서는 悲劇的 契機를 만들어 事件의 흐름을 危機나 絶頂 에서 끌어내어 매듭을 짓는다. 바로 이러한 事件 展開 方式을 基本으로 시나리오 事件 展開 도 이루어지게 된다. [6]

한便, 文學 映畫 의 媒體的 共通點은 이렇게 같은 要素의 共有에서도 나오지만, 다른 要素의 類似性에서도 發見할 수 있다. 그 例로 映畫의 몽타주 技法을 들 수 있는데 몽타주 란, 프랑스語로 ‘monter(組立하다)’와 ‘narratage(解說하다)’의 結合語이며, '時間이나 事件의 經過를 나타낼 때 使用하는 映像의 編輯된 場面 轉換'을 말한다. 映畫의 場面과 場面을 連結시키는 技法이라고 할 수 있으며, 編輯 과 同義語로 쓰이기도 한다. [7] 한便, 이러한 몽타주 에 對應하는 英語單語 'compostion'은 文學의 '構成'에 對應하는 槪念이며, 敍事學에서 몽타주 의 配列 原理는 플롯 에 對應된다. [8] 이렇게 볼 때, 映畫의 技法으로서의 몽타주 文學 에서는 '構成'의 役割을 하고, 몽타주 의 配列 原理는 敍事文學 에서의 플롯 과 같은 役割을 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例로는 미장센 을 들 수 있다. 미장센 이란 한 畵面 속에 담기는 이미지의 모든 構成要素들과, 이를 통해 主題를 드러내도록 하는 監督의 作業을 가리킨다. [9] 이는 小說文學 에서의 指紋 , 戱曲文學 에서의 指示文 의 役割과 對應된다고 할 수 있다. 小說 指紋 이나 戱曲 指示文 이, 讀者의 머릿속에 一種의 이미지 를 形成 하고, 그 構成要素들 은 主題와 緊密한 聯關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映畫 文學 은 같은 要素를 共有한다는 點에서 그리고 다른 要素지만 같은 役割을 遂行한다는 點에서 媒體的 特性上의 共通點을 가진다. [5]

文學 映畫 의 差異點 [ 編輯 ]

이 둘의 差異點은 둘의 共通點의 障壁을 單番에 무너뜨린다. 먼저 戱曲 시나리오 를 比較해보면, 戱曲 은 그 自體로 文學 의 한 장르 가 된다. 구태여 演劇化 되지 않아도 作品 을 鑑賞하는 것이 可能한 것이다. 그리고 이 때 가장 重要한 役割을 하는 要素는 言語的 要素인 大使 이다. 하지만. 시나리 오는 戱曲 과 달리 獨自的인 文學 의 장르로서 存在하기보다는 映畫 를 찍기 위한 手段의 役割이 더 優先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映畫 의 感動은 大使 한마디의 文學性에서 오기보다는 畵面에 나타난 이미지 에 많은 程度 依存한다. 極端的으로 말해서 映畫 大使 가 없이도 存在할 수 있는 것이다. [5] 根本的인 次元에서, 文學 , 特히 小說 이나 戱曲 과 같은 敍事文學 은 읽는 媒體이므로, 讀者들은 文字 로 드러나는 事件들을 읽으면서 이를 連續된 場面으로 再認識해야한다. 反面, 映畫 는 보이는 媒體이므로 鑑賞者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된다. 結局 映畫 이미지 를 一次的인 疏通手段으로 삼고 있다면, 文學 은 二次的인 手段으로 이미지 를 利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모든 藝術 은 그 存在의 第1目的이 鑑賞 의 對象이 되는 것이다. 卽, 鑑賞 되기 위해 藝術 이 存在한다. 이를 通해 文學 映畫 라는 두 장르 는 모든 共通點을 相殺하고도 남을 만큼의 큰 差異點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5]

映畫 의 發展에 對한 文學 專門家들의 立場 [ 編輯 ]

映畫 의 暴發的인 底邊의 擴大에 對해 文學 專門家들의 立場은 둘로 나뉜다. ‘ 文學 의 危機’로 보는 立場과 ‘ 文學 의 擴大’로 보는 立場이다. 危機로 보는 立場은 映像媒體는 斷片的, 感覺的, 卽物的인 特徵에 商業的 特徵까지 結合되어 있는 것에 따라서 文學 作品 을 읽지 않는 世態에 憂慮를 표한다. 擴大로 보는 立場은 映畫 文學 을 가르는 代身에 이 둘의 相互疏通을 認定해서 映畫 를 現代的으로 變容된 文學 享有方式으로 解釋한다. 어떤 觀點을 取하든지 現代에 文學 映畫 가 相互 共存하는 現象을 無視할 수 없다. [10]

歷史 [ 編輯 ]

文學 映像化 의 側面에서 各色 의 歷史를 살펴보면, 文學作品 을 통해 映畫 를 만드는 것은 映畫 自體의 歷史만큼이나 오래되었으며, 그에 對한 世間의 關心도 相當했다. 映畫社 에서 最初의 映畫 上映은 프랑스 뤼미에르 兄弟 가 파리의 한 살롱에서 시네마토그래프로 필름을 上映했던 1895年이었다. [11] 그리고 最初의 脚色映畫 또한 뤼미에르 兄弟 가 선보였는데, 첫 映畫 를 上映한 2年 뒤인 1897年의 일이었다. 두 兄弟는 基督敎 聖書를 내러티브 의 素材로 삼아 13個의 場面들로 이루어진 脚色映畫 를 선보였다. 1910年代에 이르러서는 많은 映畫 製作者들이 大衆에게 잘 알려진 古典的 영미小說 들을 映畫 로 脚色하기 始作하였다. 이 無聲映畫 時期의 代表的 脚色映畫 로는 [[<로빈슨 크루소 漂流記>]](Robinson Crusoe, 1902), [[<걸리버 旅行記>]](Gulliver’s Travel, 1902), [[<톰 아저씨의 오두幕>]](Uncle Tom's Cabin, 1902),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1905) 等이 있다. 小說 映畫 媒體 사이의 交流는 如前히 活潑하게 이어져 오고 있는 것에 따라서 100年 以上이 지난 오늘날 商業的인 目的으로 만들어진 모든 映畫 의 折半 以上이 文學作品 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戱曲 을 비롯한 다양한 文學 장르 로부터 各色 된 많은 映畫 들이 있지만 그 中에서도 小說 은 特히 映畫 歷史上 가장 人氣 있는 내러티브 의 源泉이 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批評家 패트리샤 홀트 (patricia Holt)의 調査에 依하면 映畫 의 平均 30% 程度가 小說 을 바탕으로 各色 된 作品이라고 하고, 베스트셀러 名單에 오른 小說 은 거의 80% 程度가 各色 되어 映畫 로 上映된다고 한다. [1]

各色의 패러다임 [ 編輯 ]

個別的 映畫理論家들이 提示하는 脚色의 種類 [ 編輯 ]

文學作品 으로부터 各色 映畫 에 對해서는 종잡을 수 없는 評價의 差異가 存在한다. 같은 映畫 에 對해서 批評家 들은 서로 相反되는 劇團의 評을 내리곤 한다. 그런 評價 의 差異는 批評家 個個人의 主觀的인 性向에 依한 것이기보다는 根本的으로 批評家 들이 저마다 서로 다른 理論的 패러다임 을 基準으로 各 映畫 를 判斷하고 批評 하기 때문이다. [1]

지프리 와그너 (Geoffrey Wagner) [ 編輯 ]

各色의 세 가지 範疇를 “轉換(transposition)”, “論評(commentary)”, “類似(analogy)”로 나누고 있다. [12]

  • 轉換은 “눈에 띄는 두드러진 干涉 없이 原作小說 을 그대로 直接 映畫 로 옮기는 各色 方式을 뜻한다” [12]
  • 論評은 “ 原作 을 中心으로 따르지만 意圖的으로는 또는 無心코 어떤 部分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原作 에 對한 背信이나 徹底한 違反이라기보다는 製作社 側에서 다른 意圖를 가질 때 생긴다고 할 수 있다” [12]
  • 類似란 “全혀 다른 藝術作品 을 만들어 내기 위해 原作 으로부터 相當히 많은 離脫을 包含하는 것” [12] 으로 原作 과 거의 닮은 點이 없는 各色 이다.

마이클 클라인 (Michael Klein)과 길리안 파커 (Gillian Parker) [ 編輯 ]

批評家 는 主張하는 小說 에서 映畫 로 옮겨지는 各色 過程에 對한 세 가지 主要 接近法으로는 “原作그대로의 脚色(literal adaptation)” “批判的 脚色(critical adaptation)” “自由 脚色(free adaptation)”이다. [13]

  • 原作그대로의 脚色 [13]
《傲慢과 偏見》(Pride and Prejudice, 1940年 映畫) , 《크리스마스 캐롤》(Christmas Carol, 1959年 映畫) , 《人間의 굴레》(Of Human Bondage, 1964年 映畫) , 《아들과 戀人들》(Sons and Lovers, 1960年 映畫)
原作小說 의 核心的인 내러티브 構造를 나름대로 維持하면서도 原作 텍스트에 對한 獨創的인 再解釋이나 解體的 顚覆을 試圖하는 것을 指稱한다. 主로 自身만의 獨特한 視角으로 旣存의 文學 敵 素材를 새롭게 接近하는 作家主義 監督들의 作品에서 두드러진다.
루이스 不累엘(Luis Bunuel)李 脚色한 다니엘 디포(Daniel Dofoe) 原作의 《로빈슨 크루소》(Robinson Crousoe, 1954年 映畫) ,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 監督이 윌리암 새커리(William Thackery) 의 19世紀 小說을 直接 各色 , 製作 , 演出 하여 話題가 된 《베리 린든》(Barry Lyndon, 1975年 映畫) , 조셉 스트릭(Joseph Strick)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 의 小說을 脚色한 《젊은 藝術家의 肖像》(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1979年 映畫)
原作小說 의 忠實한 再演에는 別 關心이 없고 오로지 原作 을 基本 素材로만 利用하여 새로운 作品을 만들어내는 데에 集中하는 것이다.
19世紀 末에 發表된 브램 스토커(Bram Stoker) 의 고딕小說 《드라큘라》(Dracula, 1897) 를 原作에 相關없이 自由롭게 脚色한 워너 허조그(Werner Herzog) 《吸血鬼 노스페라土》(Nosferato the Vampyre 1979年 映畫) , 英國 小說이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 《어둠의 核心》(Heart of Darkness, 1902) 을 베트남 戰爭을 背景으로 各色 한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Francis Ford Coppola) 監督의 《地獄의 默示錄》(Apocalypse Now, 1979年 映畫) 等이 있다.

더들리 앤드루 (Dudley Andrew) [ 編輯 ]

著名한 映畫理論家 더들리 앤드루 (Dudley Andrew)는 各色 의 基本樣相을 “車用,” “交叉,” 그리고 “變形” 세 가지로 區分 지어 提示하고 있다. [14]

  • 借用(borrowing)이란 “藝術家가 一般的으로 成功을 거둔 移轉 텍스트의 素材, 아이디어 또는 形式을 多少 廣範圍하게 使用하는 것” [14] 을 指稱한다. 여기에서 重要한 關心의 對象이 되는 것은 藝術的 獨創性이지, 原作 에 對한 充實性은 아니다.
  • 交叉(intersecting)는 各色 에 同化되지 않고 原作 텍스트 固有의 獨特性이 어느 程度 그대로 保存된 各色 形態이다. [14]
  • 變形(transformation)은 “ 各色 에 關한 論議 中 가장 흔하고도 지루한 것” [14] 으로 “ 各色 이 해야 할 일은 原作 에 關한 어떤 本質的인 것을 映畫 속에 再生産 하는 것” [14] 을 主張하는 理論으로 原作 의 忠實한 再演 을 强調하는 것으로 理解될 수 있다.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etti) [ 編輯 ]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大學 의 英文科 敎授이며 國內에서도 잘 알려진 映畫理論家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etti) 原作小說 에 對한 充實度를 基準으로 세 가지 種類의 脚色을 提示하고 있다. [15]

  • 느슨한 脚色(the Loose adaptation) [15]
文學 텍스트로부터 但只 어떠한 아이디어나 狀況 또는 登場人物을 選擇한 後에 그 다음부터는 原作 과 相關없이 獨自的으로 自由롭게 映畫 를 進行시켜 나가는 것이다. 자네티는 日本 映畫 의 巨匠 구로사와 아키라(Kurosawa Akira) 監督이 셰익스피어 《멕베스》(Macbeth) 《리어 王》(King Lear) 을 各各 再解釋한 映畫 《거미집의 性》(The Throne of Blood, 1957年 映畫) 《亂》(Ran, 1985年 映畫) 을 이의 代表的인 實例로 들고 있다. 구로사와 監督의 脚色映畫 들과 셰익스피어의 悲劇 들과의 關係는 事實 皮相的이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뛰어난 各色 으로 評價받고 있다. 特히 《거미집의 性》 은 原作의 充實한 再現을 美德으로 삼던 旣存의 셰익스피어 戱曲 의 脚色 傳統을 果敢히 脫皮하고 《멕베스》 의 臺詞를 거의 直譯하지 않고 오직 映畫的 이미지로 視覺化하는 데에 卓越한 藝術的 力量을 集中했다. [16]
  • 忠實한 脚色(the Faithful adaptation) [15]
最大限 原作 의 精神에 가깝게 文學作品 을 映像的 視角에서 再創造하는 것이다. 헨리 彼日딩(Henry Fielding) 의 18世紀 英國小說을 各色 토니 리차드슨(Tony Richardson) 監督의 1963年度 作品 《톰 존스》(Tom Jones, 1963年 映畫) 는 忠實한 脚色에 屬한 映畫이다. 原作小說 의 基本 이야기 構造와 主要 事件, 人物들을 大部分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 映畫 脚色映畫 의 本質에 따라서 이야기의 進行上 小說 속의 수많은 事件과 場面들을 省略하고 主要한 에피蘇 드에 焦點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原作 을 單純히 視覺化 하여 그대로 옮겨놓은 것은 아니다.
  • 原作 그대로의 脚色(the Literal adaptation) [15]

普通 오리지널 演劇 作品 을 脚色하는 境遇에만 限定된다고 할 수 있다. 主로 舞臺 위의 登場人物의 行爲와 臺詞를 그대로 카메라에 담아내는 各色 理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롱 쇼트 로 카메라를 客席에 固定시킨 채 失戀 中인 演劇 을 찍는 것은 初期 無聲映畫 時代부터 많이 쓰였던 方法이기도 했다.

흔히 쓰이는 各色의 세 가지 패러다임 [ 編輯 ]

明確한 區分의 便宜上 세 가지를 서로 다른 類型으로 紹介하지만 實際로는 저마다 完全히 다른 差別性과 排他性을 지닌다기보다는 서로 비슷한 共通點들도 많이 갖고 있다. 이 들 패러다임 間 差異는 理論的 優先 順位에 對한 强調의 程度 差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7]

忠實한 脚色 [ 編輯 ]

映畫 原作小說 에 充實하게 視覺化하는 過程이다. 原作小說 내러티브 要素들인 背景 , 人物 , 主題 , 플롯 等을 얼마나 原作 에 近接하게 옮겨놓았는지에 따라서 그 脚色映畫 의 價値가 決定된다. 그러나 小說 은 普通 映畫 臺本의 세 倍 程度의 分量이기 때문에 映畫化 過程에서 單純化 省略 은 同伴될 수밖에 없다. 이런 制約에도 不拘하고 充實性 패러다임 에 立脚한 批評家 들은 映畫 原作小說 의 內容과 主題를 忠實히 살려주기를 期待한다. 이 패러다임 에 基底에는 小說의 優越性과 映畫의 相對的인 劣等感을 假定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映畫 를 評價하는 基準으로 充實度 를 唯一하게 꼽기 때문에 映畫的 表現技法 이나 視覺的 要素 들에 對해서는 別로 關心이 없다. [17]

多元的 脚色 [ 編輯 ]

허만 메빌 《빌리 버드》(Billy Budd) 의 1962年度 各色 을 맡았던 드윗 보딘(DeWitt Bodeen) 文學作品 映畫 各色 하는 것은 疑心할 餘地없이 創造的인 作業이라 할 수 있지만 이것은 一種의 選擇的인 解釋과 더불어 原作小說 에서 具現된 雰圍氣를 再創造하며 維持할 수 있는 能力을 必要로 하다고 했다. [18] 批評家 모리스 베자 (Morris Beja) 脚色映畫 는 하나의 藝術 作品 으로서 原作小說 과 關係는 되지만 同時에 獨立性을 지니며, 하나의 藝術的인 業績으로서 原作 과 奇妙하게 같으면서도 무언가는 다르다고 했다. [19] 卽 이 패러다임 은 原作과 脚色映畫 사이의 調和를 擁護하는 中道的 立場이라고 할 수 있다. 映畫 가 그 自體로서의 獨立性을 維持하며 存在하는 것을 强調하면서 同時에 原作小說 語調 , 雰圍氣 , 精神 等도 映像 을 통해 具現되는 것을 重要視 한다. 이 같은 理論에서는 두 媒體 卽, 原作小說 映畫 사이의 類似點들을 提示하는 것이 成功的인 各色 으로 일컬어진다. [17]

變形的 脚色 [ 編輯 ]

原作小說 을 앞으로 새롭게 加工될 原料 程度로 取扱한다. 이는 그 自體로서 原作小說 에서 完全히 벗어나 있는 하나의 藝術的 成就라고 할 수 있다. 이 立場을 取하는 映畫 批評家 들 사이에서도 原作小說 脚色映畫 의 獨立性 程度에 따라 조금씩은 다른 理論的 見解를 갖는다. 그러나 重要한 것은 映畫 가 얼마나 原作小說 을 尊重하며 만든 各色 이냐가 아니라 얼마나 自身의 視覺的인 비전을 尊重하면 創意的으로 各色 下였느냐가 關鍵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文學 映畫 를 完全히 別個의 自律的인 藝術 活動 으로 看做하고 저마다 다른 意味化 體系 를 基盤에 두고 있다는 點을 認定하는 바이다. 그리고 原作小說 보다 各色 映像 텍스트 를 優先視하는 批判的 性向을 가지고 있다. 原作小說 主題 形式 에서 完全히 벗어났다고 할지라도 非難해서는 안 된다고 主張한다. [17]

社會的 意味 [ 編輯 ]

映畫 藝術作品 을 集團的, 同時的으로 收容하게 함에 따라서 對中 들은 批評的 鑑賞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自己만의 空間에서 이루어지는 文學作品 읽기의 方式과는 다른 文學 享有方式 이다. 映畫 에 對한 觀客들의 反應은 自身만의 內的 體驗일 수는 없으며 映畫 의 觀客들은 映畫 비디오 出市에 따라서 나오는 公式的, 非公式情 評들과 함께 作品을 接하게 되고 本人 스스로도 그런 評을 하기도 한다. 卽 映畫 集團性 同時性 을 最大限 浮刻시킨 媒體이다. 따라서 文學의 映畫化에 對한 深層的 解釋은 社會 라는 巨視的 次元에서의 觀點을 必要로 한다. 이는 映畫 가 다른 어떤 藝術 分野 보다 政治學 , 經濟學 과 密接한 關聯이 있는 理由이기도 하다. [20] 文學의 映畫化는 單純히 原作小說 映像化 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當代의 社會 文化的 理念에 基盤한 集團的 讀解라고 할 수 있다. 特定 時代와 對中 의 要求를 反映해서 原作 을 再生産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原作 映畫化 된 作品의 差異는 監督과 觀客이 處하고 있는 時代의 欲望과 價値觀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20]

우리들의 일그러진 英雄 [ 編輯 ]

映畫로의 脚色 에서 政治性 을 보여주는 例로서 1987年 李箱文學賞 을 受賞한 李文烈 의 同名小說을 映畫한 우리들의 일그러진 英雄 (박종원 監督, 홍경인, 고경일 主演, 1992年 映畫)을 들 수 있다. 이 映畫 는 主人公 한병태 嚴石臺 , 擔任先生님을 中心으로 오고간 權力 自由 의 函數를 中心 줄거리로 하며, 人物 의 基本性格이 거의 變함이 없다는 點에서 原作 의 많은 部分을 參照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原作 에서는 警察에 잡혀가는 嚴石臺 映畫 에서는 繼續 權力을 維持하며, 4·19精神 의 改革意志를 가졌던 擔任先生님이 國會議員이 돼서 舊態依然한 政治人의 모습을 보인다. 이를 1992年 現代史的 意味 로 따져볼 수 있다. 1992年 에는 1987年 부터 高揚되었던 民主化 熱氣 3黨 合黨 92年 總選 에서의 與圈勝利 때문에 꺾여 나갔었다. 이는 國民들의 直選制 改憲 에서의 勝利 經驗이 다시 挫折되는 時期였다. 映畫에서의 擔任 先生님의 轉向과 엄석臺의 乘勝長驅는 그러한 挫折을 드러내는 裝置라고 볼 수 있다. [20]

利點 [ 編輯 ]

많은 映畫製作者 들은 小說 속의 이미지 場面 , 觀念 , 內러티 브 等을 基盤으로 映畫 를 만들 곤 한다. 그렇게 映畫 를 만드는 데에는 複合的인 要因들이 있겠지만 다음과 利點들을 꼽을 수 있다. [1]

  • 1. 商業的 利得 獲得 [1]

大衆에게 잘 알려져 있는 古典的 小說 이나 最近의 人氣作 을 映像化하는 것은 많은 觀客動員으로 이어질 可能性이 높기 때문에 商業的으로 利得을 낼 可能性도 높아진다. 個人이 負擔 可能한 範圍 內의 小資本으로도 出版 이 可能한 小說 과는 달리 莫大한 資本이 投入되는 映畫 라는 媒體의 特性上 經濟的 危險負擔을 줄이고 利潤 을 極大化하고자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 2. 藝術性 獲得 [1]

20世紀 初盤부터 本格化된 小說의 脚色 을 통해서 映畫 의 地位는 向上되었다. 以前에는 勞動者를 위한 娛樂的인 文化樣態로 認識되던 보잘것없는 地位에 있었지만, 文學的 내러티브 를 視覺的으로 具現하는 尊敬받을 만한 藝術作品 으로서의 地位에 놓였다.

意義 [ 編輯 ]

文字의 時代 에는 文字 를 통해 배우고 익힐 수 있지만 디지털 멀티미디어 時代 에는 배우고, 느끼고, 選擇하고, 感知하고. 記憶하는 過程이 循環 體驗되면서 文化 를 익힌다. 더 以上 文字 旣得權 을 維持할 수 없다. 이러한 脫 中心的 , 多媒體的 事故는 文學 各色 의 關係에도 適用된다. 恒常 脚色作品 原作 主題 內容 에서 너무 벗어났다거나 意圖 를 못 살렸느니 非難받았던 反面 文學作品 은 上位의 價値를 維持해왔다. 그러나 各色 은 한 장르 內에서, 또는 여러 장르 間에 걸쳐서 實行되면서 相互間에 表現 內容 이나 形式 에 影響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元來 텍스트 마저 變形 시키고 새로운 創造的 意味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文學의 映畫化를 對할 때 先入見 에서 벗어나 文化 産業 의 觀點에서 바라봐야 한다. 하나의 材料를 土臺로 다양한 再創造 를 試圖하는 創作을 무턱대로 貶下해서는 안 된다. [2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이형식 外,《文學텍스트에서 映畫텍스트로》, 同人, 2004, 11-17
  2. 《文學批評用語辭典》, 국학자료원, 2006
  3. 김경애,《文學과 映畫》, 先人出版社, 2012
  4. 조지 블루스턴,《小說의 映畫化》,캘리포니아대 出版部,1975)
  5. 허만옥,《文學, 그 映畫와의 만남》,보고사, 2008, 111-121
  6. 김일영, 《映像과 文學》, 느티나무, 2004, 24
  7. 루이스 자네티 外, 《映畫의 理解》, 현암사, 1999, 518
  8. 시모어 채트먼 外, 《映畫와 文學에 對하여》, 민음사, 1997, 20
  9. 김일영, 《映像과 文學》, 느티나무, 2004, 80
  10. 고현철, 《文學과 映像藝術》, 삼영사, 2006, 17-18
  11. 以上面,《映畫와 映像文化》, 北코리아, 2010, 15
  12. 지프리 와그너(Geoffrey Wagner), 《小說과 시네마》(The Novel and the Cinema), 1975, 200-2006
  13. 마이클 클라인(Michael Klein), 길리안 파커(Gillian Parker), 《英國 小說과 映畫》(The English Novel and the Movies), 1981
  14. 더들리 앤드루(Dudley Andrew), 《映畫理論의 槪念들》(Concepts in Film Theory), 1984
  15.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etti), 《映畫의 理解》(Understanding Movies), 2002; 第9板
  16. 이정국, 《구로사와 아키라의 映畫世界》, 1994, 知人
  17. 이형식 外,《文學텍스트에서 映畫텍스트로》, 同人, 2004, 21-28
  18. 드윗 보딘(DeWitt Bodeen),《各色의 藝術》(The Adapting Art), 1962, 349
  19. 모리스 베자 (Morris Beja),《映像과 文學》(Film and Literature), 1979, 88
  20. 고현철, 《文學과 映像藝術》, 삼영사, 2006, 32-38
  21. 한명환, 脚色映畫와의 比較를 통해 본 小說의 意味 在庫-《꿈》, 《우리들의 일그러진 英雄》, 《西便制》를 中心으로, 2005, 409-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