伽倻琴 散調 및 竝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伽倻琴散調및竝唱
(伽倻琴散調및倂唱)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國家無形文化財
種目 國家無形文化財 第23號
( 1968年 12月 21日 指定)
戰勝者 강정숙 (國家無形文化財 第23號)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伽倻琴 散調 및 竝唱 (伽倻琴 散調 및 竝唱)은 伽倻琴 을 치면서 소리(唱)를 하는, 伽倻琴과 聲樂을 倂記하는 國樂 의 獨特한 演奏 形態이다. 代表的인 伽倻琴 竝唱의 人物로는 김창조 , 오수관 , 오태석 , 장순애 等이 있다. 1968年 12月 21日 大韓民國의 國家無形文化財 第23號 '伽倻琴散調및竝唱'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散調 장구 伴奏에 맞추어 다른 樂器를 獨走形態로 연주하는 것을 말하며, 4∼6個의 樂章을 區分하여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 順序로 演奏한다. 伽倻琴 으로 연주하는 散調를 伽倻琴散調라 하고, 直接 伽倻琴을 타면서 노래부르는 것을 伽倻琴竝唱이라 한다.

모든 散調는 느린 장단으로 始作하여 차츰 빠른 장단으로 바뀌는데, 이는 듣는 사람을 徐徐히 긴장시키며 흥겨움을 끌어올리게 한다. 伽倻琴散調는 4∼6個의 장단으로 짜여지는데, 진양調는 아주 느리고 抒情的이며 중모리는 安定的이다. 중중모리는 興趣를 돋우며, 자진모리는 밝고 輕快하다. 휘모리는 興奮과 急迫感이 있다. 다른 樂器의 散調에 비해 伽倻琴散調는 伽倻琴의 樂器的인 特性으로 인해 여러 名人들이 다양한 音樂流派를 形成할 수 있었다.

伽倻琴竝唱은 單價 판소리 中 한 대목을 따다가 伽倻琴伴奏를 얹어 부른다. 伽倻琴竝唱은 元來 伽倻琴散調의 名人들이 불렀지만, 오늘날에는 散調와 竝唱의 演奏者가 分離되는 趨勢이다. 元曲이 따로 있는 노래를 竝唱으로 부를 때에는 伽倻琴 特有의 旋律로 인해 本來의 曲과 다른 맛이 나고 獨特한 個性을 表現하게 된다. 판소리 흥보가 中 “제비路程記”, 春香歌 中 “사랑가”, 水宮歌 中 “皐皐天邊”, 沈淸歌 中 “沈봉사 황성가는 대목”은 伽倻琴竝唱의 有名한 대목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