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能世界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可能世界론 (可能世界論) 또는 可能世界(possible universe 또는 possible world)란  論理學 · 哲學 에서 可能性, 必然性, 偶然性 따위의  樣相 命題 를 論理的으로 다루기 위한 理論的 裝置이다. 可能世界의 槪念은 論理學에서는 넓게 定着했으나, 그 解釋 方法을 둘러싸는 論難도 많다.

可能性, 偶然性, 必然性 [ 編輯 ]

可能世界의 생각은  라이프니츠 가 考案한 것으로 여겨진다. 라이프니츠는 可能世界의 槪念을, 현실에 創造된 世界가 「모든 可能世界 속에서 最善의 것이다」라고 論했다. 또 可能世界의 아이디어는  루크레티우스 이븐 루시드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 의 著作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하는 硏究者도 있다.

現在의 可能世界論은, 可能性이나 必然性의 意味論을 다루기 때문에,  솔 크립키 와 그의 同僚가 1950년대에 導入했다. 可能世界論에서는, 現實世界는 無數의 可能世界의 하나라고 여긴다. 世界에 對하여 생각할 수 있는 다른 「存在하는 法」 自體에 다른 可能世界가 있다고 여겨, 그 中에서 우리가 實際로 살고 있는 것이 「現實世界」인 것이다. 이것에 起因해, 可能性이나 必然性에 對하여 다음과 같이 分析할 수 있다.

  • 참된  命題 란, 現實世界에서 참(眞)일 命題이다.
  • 可能한 命題란, 적어도 하나의 可能世界에서 참(眞)일 命題이다.
  • 偶然的인 命題란, 그것이 참(眞)인 可能世界度, 거짓(僞)인 可能世界度 存在할 命題이다.
  • 必然的인 命題란, 모든 可能世界에서 참(眞)일 命題이다.
  • 不可能한 命題(必然的으로 거짓인 命題)란, 모든 可能世界에서 거짓(僞)일 命題이다.

「크립키 意味論」은 자주 可能世界 意味論과 같은 뜻으로 다루어지지만, 크립키 意味論은 반드시 必然性·偶然性이라는 眞理論的 樣相에 그친 理論이 아니거니와, 「可能世界」라는 表現에서 前提되기 쉬운 樣相實在論 的인 意味는 아니다.

樣相論理에서 哲學으로 [ 編輯 ]

「可能世界」는 여러 哲學的 硏究에서 中心的인 位置를 자리잡았다. 그 中에서도,  데이비드 루이스 로버트 스톨네이커 의 近方可能世界를 使用한 反事實條件文 의 分析은 有名하다. 이 分析에서는 우리가 反事實條件文을 使用하여 「만약 ~였다고 하면, ~일 것이다」라고 論할 때, 그 主張의 眞僞는 그 事件을 충족시키는 가장 現實世界에 가까운 世界에서, 그 前件(前件)을 充足하는 가장 現實世界에 가까운 世界 가운데 後件(後件)李 참인지 아닌지에 따라 決定된다. 「가까운 世界」란, 可能한 限 많은 事實을 共有하고 있는 世界라는 것이다.

이를테면 「2000年의 美國 大統領 選擧에서 부시가 大統領이 되지 않았다고 한다면, 고어가 大統領이 되어 있었을 것이다」라는 命題는, 다음과 같은 主張을 表現한 것이라고 正式化(定式化)할 수 있다. 「부시가 大統領이 되지 못한 可能世界 가운데, 우리의 現實世界에 가장 가까운 모든 世界에서 고어가 大統領이 되어 있다」. 이 解釋에 起因하면, 萬若 부시가 大統領이 되지 못한 現實世界에 가장 가까운 世界 가운데, 고어도 大統領이 되어 있지 않은 世界가 있다고 한다면, 이 反事實條件文에 따라 表現된 主張은 「거짓」이라는 것이 된다.

이것 말고도 可能世界論은 哲學 論議에서 中心的 役割을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心理哲學 에서의  機能主義 物理主義 를 둘러싸는 論議가 그러하다. 또한, 可能世界의  存在論 敵 자리매김에 對하여, 데이비드 루이스가 樣相實在論 을 擁護한 것으로 論爭이 加熱되고 있다. 樣相實在論은 우리가 살고 있는 世界의 밖에 可能世界가 「실제로 存在한다」고 하는 論議이다.

루이스는 樣相論理가 기능하여 可能世界 意味論이 올바르다고 할 때, 世界에서 무엇이 참(眞)이어야 하는지, 우리가 樣相表現의 解釋에서 陽畫(量化)하고 있는 可能世界란 都大體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리고, 우리가 洋畫하고 있는 可能世界란, 이 現實世界가 「존재한다」는 것과 同一한 意味로 存在하고 있는 實在的이고 具體的인 世界와 다름없다고 했다. 그러한 여러 可能世界는, 우리가 現實世界와의 사이에 어떠한 空間的·時間的·因果的 關係도 가지지 않는다는 點에서 現實世界와 區別되는 것에 不過한다는 것이다. 루이스에 따르면, 現實世界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性質이라는 것은 唯一, 關係的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卽, 「우리가」 그곳에 살고 있다, 라는 性質인 것이다. 곧, 「現實에」는 「나」나 「이제」라는 槪念과 같이 指標的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便, 로버트 아담스 윌리엄 라이칸 은, 루이스의 苗床(描像)에 形而上學的으로 共感할 수 없었고, 可能世界를 世界에 對한 無矛盾으로 最大限 仔細한 技術(記述) 乃至 命題의 集合이라고 한다. 이 解釋에서는, 可能世界는 「어느 存在하는 法이 適用된 世界」가 아니라, 「世界가 그러할 것일 수도 있다는 存在하는 法의 技術(記述)」이라는 것이 된다. 이 立場이나,   앨빈 플랜팅커 나  피터 포레스트 의 類似한 論議을, 루이스는 「대체양상실재론」이라 부르며, 그러한 立場은 可能世界 意味論의 德澤을 「값싸게 사들이려 한다」고 하며, 窮極的으로는 適切한 說明에 失敗한다고 反論했다. 크립키는 著書 『 이름과 必然 』 속에서 루이스의 可能世界 意味論의 使用에 對하여 開放된 論議를 이루어, 可能世界를 순수히 形式的·論理的인 存在物로 하는 規約的인 見解를 擁護해, 可能世界를 現實에 存在하는 世界로 하는 論議나 命題나 技術의 集合으로 보는 見解를 물러나게 하고 있다.

文學과 科學 [ 編輯 ]

可能世界(可能世界,possible universe)는 現實 世界와 對比되는 可能性의 世界이다. 事物들이 現實에서 存在하는 方式과 다른 方式으로 存在할 수 있다는 論理的 또는 科學的으로 可能하다고 前提된 設定下에, 그렇게 다른 方式으로 類推된 世界를 가리킨다. 文學의 境遇, 想像力의 産物인 空想 科學 小說이 描寫해 보이는 世界가 그런 境遇이다. 한便 이러한 可能世界는 地球가 包含된 宇宙 以外에 다른 宇宙가 無限하게 存在한다는 假說로 알려진 多中宇宙 (multiverse,멀티버스)와도 관련지어지기도 한다.

멀티버스 [ 編輯 ]

멀티버스는 수많은 여러 個의 宇宙들이 맞닿아 이루어진 總體인 多中宇宙 (multiverse,멀티버스)에 對한 假說. 地球가 屬한 宇宙와 類似한 여러 宇宙들이 마치 작은 거품들이 맞닿아 있는 것과 같은 形態로 存在한다고 보는 宇宙 形態에 對한 假說로 提示되는 것 中 하나이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우리말샘 - 多重宇宙論 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