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리을티읕)은 한글 字母의 을 겹쳐 놓은 것이다. 받침에만 쓰인다.

語末이나 닿소리 앞에서는 ㄹ로 소리난다. 하지만 다음 音節이 홀소리로 始作하면 ㄹ 소리에 이어 다음 音節 첫소리에 ㅌ 소리도 같이 난다. 또한 다음 音節이 從屬 關係를 가진 形式 形態素이고 그 音節의 가운뎃소리가 , , , , , 等일 때는 口蓋音化 하여 ㅌ 소리가 소리로 바뀐다.

  • 홅다 → [홀따]
  • 홅아 → [홀打]
  • 홅고 → [홀꼬]
  • 홅는 → [홀는] → [홀른]
  • 홅이다 → [홀치다]

現代 韓國語에서 單語 첫글字로서 ‘핥’, ‘홅’, ‘훑’로만 쓰인다.

코드 값 [ 編輯 ]

種類 글字 유니코드 HTML
한글 互換 字母 U+313E ㄾ
한글 字母
領域
첫소리 (없음)
끝소리 ᅟᅠㄾ U+11B4 ᆴ
漢陽 使用者
定義 領域
첫소리 (없음)
끝소리 ? U+F8A4 
半角 U+FFAE ᆴ

情報 [ 編輯 ]

자명 리을티읕 (南)
리을티읕 (北)
發音 於中 : [ ?t? ] , 語末 : [ ? ] , 於中 口蓋音化  : [ ?t?? ] (南)
於中 : [ lt? ] , 語末 : [ l ] , 於中 口蓋音化  : [ lt?? ] (北)
이음 後行 子音이 平音 일 境遇 平音 硬音 으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