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標準語 : 雙이응)은 한글 낱자 을 겹쳐 놓은 것이다. 特別한 소릿값은 없었고 但只 뜻을 區別하는 用途였으리라 推定되며, 萬一 音價가 있었다면 다만 緊張된 y音을 나타냈던 것으로 推定된다. [1]

15世紀 韓國語에서 매우 制限的인 環境에서만 쓰이다가 16世紀에 없어졌는데, 現在 韓國語의 '얽매이다'의 '李', '메우다'의 '郵'에 該當하는 곳에 쓰였다. 實際로 15世紀 文獻에도 ㅇ과 混用하며 쓰이고 있다.

코드 값

種類 글字 유니코드 HTML
한글 互換 字母 (없음)
한글 字母
領域
첫소리 ㆀᅠ U+1147 ᅇ
끝소리 (없음)
漢陽 使用者
定義 領域
첫소리 ? U+F7E1 
끝소리 ? U+F8DD 
半角 (없음)

各州

  1. 고영근 (2010). 《標準 中世國語文法論》 第3板. 서울: 집문당. 19쪽. ISBN   97889303147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