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2012年 韓國프로野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2012年 韓國프로野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2012年 韓國프로野球
主管 KBO
날짜 4月 7日 ~ 10月 6日
參加팀 수 8
正規 시즌
優勝팀 三星 라이온즈
最優秀 選手 박병호
最優秀 新人 서건창
포스트 시즌
準플레이오프 롯데 3 - 1 두산
플레이오프 SK 3 - 2 롯데
韓國 시리즈
京畿 三星 4 - 2 SK
優勝팀 三星 라이온즈 (通算 6回)
最優秀 選手 李承燁
시즌
2011年 2013年

KBO 리그 의 2012年 시즌 은 31番째 시즌이며, 大韓民國 의 8個 프로 野球 球團들이 參加한다. 2012年 4月 7日 에 開幕展이 열렸다.

타이틀 스폰서 [ 編輯 ]

2012年 韓國 프로 野球는 綜合 食品 企業인 八道 가 當時 最大 規模 契約金으로 타이틀 스폰서를 맡게 되었다. 최재문 八道 代表理事는 "最高의 人氣스포츠인 프로野球 타이틀 스폰서를 맡게 된 것을 榮光으로 생각한다"며 "顧客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膳賜하고 프로野球가 700萬 觀衆을 突破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하였다. [1]

달라지는 點 [ 編輯 ]

  • 2012年 韓國프로野球 올스타戰 7月 21日 한밭綜合運動場 野球場 에서 열린다.
  • 프로野球 電光板 標示가 新築 球場과 施設 交替가 可能한 球場부터 旣存 스트라이크 - 볼 - 아웃의 S-B-O 表記에서 國際 基準에 맞게 볼 - 스트라이크 - 아웃의 B-S-O 表記 方式으로 바꿔서 示範 運營된다.
  • 시즌 MVP와 新人王 受賞 選定 基準을 페넌트레이스를 基準 으로 한다.
  • 京畿 開始 時間
    • 週中 18:30 / 週末 17:00
    • 開幕 2年前과 5月 6日 까지 編成되는 競技 日曜日과 公休日에 열리는 競技는 午後 2時 부터 치러진다.

新人 選手 指名 [ 編輯 ]

2次 드래프트 [ 編輯 ]

프로 野球 選手 2次 드래프트는 2年마다 韓國 野球 委員會 에서 開催하는 行事로 2次 드래프트라고도 불린다. 이는 NC 다이노스 의 創團으로 새로운 選手 需給 方法을 摸索한 結果 1次 드래프트 (新人 指名 會議)와 FA 迎入 方法 外의 또 다른 方法으로써 採擇되어 2011年 시즌이 끝난 後 처음 實施되었다. 1次 드래프트가 純粹한 高卒, 大卒 新人 選手들로만 이루어진다면 2次 드래프트는 旣存 프로 野球 球團에 所屬된 選手들로 構成된다는 點이 다르다.

選手 移動 [ 編輯 ]

시즌 前 [ 編輯 ]

  • FA 移籍 選手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오릭스 버펄로스(日本)
    • 송신영  : LG 트윈스 → 한화 이글스
    • 이택근  :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임경완  :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조인성  :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이승호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정대현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FA 迎入에 따른 補償選手 移籍 選手
    • 나성용  : 한화 이글스 → LG 트윈스 ( 송신영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윤지웅  : 넥센 히어로즈 → LG 트윈스 ( 이택근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警察廳 入隊에 따라 2014年 에 팀에 合流)
    • 임훈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임경완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했으나, 정대현 의 補償選手로 SK에 再利敵)
    • 임정우  :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조인성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허준혁  :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이승호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2次 드래프트 에 따른 移籍 選手
    • 조평호  : 넥센 히어로즈 → NC 다이노스
    • 이재학  :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 오정복  : 三星 라이온즈 → NC 다이노스 ( 警察廳 入隊에 따라 2014年 에 팀에 合流)
    • 정성철  : KIA 타이거즈 → NC 다이노스
    • 문현정  : 三星 라이온즈 → NC 다이노스
    • 윤영삼  : 三星 라이온즈 → NC 다이노스
    • 許浚  : 넥센 히어로즈 → NC 다이노스
    • 최승환  : 두산 베어스 → 한화 이글스
    • 임익준  : 三星 라이온즈 → 한화 이글스
    • 이학준  : LG 트윈스 → 한화 이글스
    • 김일경  : 넥센 히어로즈 → LG 트윈스
    • 윤정우  : KIA 타이거즈 → LG 트윈스
    • 최동수  :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오장훈  : 롯데 자이언츠 → 두산 베어스
    • 김강  : 한화 이글스 → 두산 베어스 ( 常務 入隊에 따라 2014年 에 팀에 合流)
    • 오성민  : SK 와이번스 → 두산 베어스
    • 이두환  : 두산 베어스 → KIA 타이거즈
    • 이경록  : 三星 라이온즈 → KIA 타이거즈
    • 백세웅  : 롯데 자이언츠 → KIA 타이거즈
    • 유재웅  : 두산 베어스 → SK 와이번스
    • 오수호  :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김도현  : 넥센 히어로즈 → SK 와이번스
    • 김성배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박동욱  : LG 트윈스 → 롯데 자이언츠
    • 신용운  : KIA 타이거즈 → 三星 라이온즈
    • 박정태  : KIA 타이거즈 → 三星 라이온즈 (指名後 박근홍으로 改名했다.)
    • 우병걸  : KIA 타이거즈 → 三星 라이온즈
  • 放出 後 移籍 選手
    • 이승재  : 롯데 자이언츠 → 高陽 원더스
    • 李承燁  : 오릭스 버펄로스 (日本) → 三星 라이온즈
    • 朴贊浩  : 오릭스 버펄로스 (日本) → 한화 이글스
    • 김태균  : 지바 롯데 마린스 (日本) → 한화 이글스
    • 박준수  : 넥센 히어로즈 → KIA 타이거즈
    • 최현종  : 넥센 히어로즈 → LG 트윈스
    • 박정배  : 두산 베어스 → SK 와이번스
    • 김병현  : 라쿠텐 골든이글스 (日本) → 넥센 히어로즈

시즌 中 [ 編輯 ]

  • 트레이드 迎入 選手
    • 최경철  : SK 와이번스 → 넥센 히어로즈
    • 前有數  : 넥센 히어로즈 → SK 와이번스
    • 용덕한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김명성  : 롯데 자이언츠 → 두산 베어스
    • 김희걸  : KIA 타이거즈 → 三星 라이온즈
    • 조영훈  : 三星 라이온즈 → KIA 타이거즈
    • 이성열  : 두산 베어스 → 넥센 히어로즈
    • 오재일  : 넥센 히어로즈 → 두산 베어스
  • 迎入 選手
    • 이희성  : 高陽 원더스 → LG 트윈스
    • 김영관  : 高陽 원더스 → LG 트윈스
    • 강하승  : 高陽 원더스 → KIA 타이거즈
    • 안태영  : 高陽 원더스 → 넥센 히어로즈
  • 軍除隊 後 復歸 選手

시즌 後 [ 編輯 ]

  • NC 特別指名權
    • 이승호  : 롯데 자이언츠 → NC 다이노스
    • 송신영  : 한화 이글스 → NC 다이노스
    • 이태양  : 넥센 히어로즈 → NC 다이노스
    • 고창성  :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 김태군  : LG 트윈스 → NC 다이노스
    • 조영훈  : KIA 타이거즈 → NC 다이노스
    • 모창민  : SK 와이번스 → NC 다이노스
    • 金鍾浩  : 三星 라이온즈 → NC 다이노스
  • FA 迎入에 따른 補償選手 移籍 選手
    • 李承雨  : LG 트윈스 → 三星 라이온즈 ( 정현욱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홍성민  : KIA 타이거즈 → 롯데 자이언츠 ( 김주찬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김승회  : 두산 베어스 → 롯데 자이언츠 ( 홍성흔 의 補償選手 資格으로 移籍)
  • 放出後 移籍選手
    • 강귀태  : 넥센 히어로즈 → KIA 타이거즈
    • 권용관  :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김일엽  : 롯데 자이언츠 → 한화 이글스
    • 조영민  : SK 와이번스 → LG 트윈스
  • 트레이드 迎入 選手
    • 김태형  : NC 다이노스 → 넥센 히어로즈
    • 차화준  : 넥센 히어로즈 → NC 다이노스
    • 임창민  : 넥센 히어로즈 → NC 다이노스
    • 장성호  : 한화 이글스 → 롯데 자이언츠
    • 송창현  : 롯데 자이언츠 → 한화 이글스
    • 현재윤  : 三星 라이온즈 → LG 트윈스
    • 김효남  : 三星 라이온즈 → LG 트윈스
    • 손주인  : 三星 라이온즈 → LG 트윈스
    • 김태완  : LG 트윈스 → 三星 라이온즈
    • 정병곤  : LG 트윈스 → 三星 라이온즈
    • 노진용  : LG 트윈스 → 三星 라이온즈
  • 海外 進出 選手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2 프로野球 退場事例 [ 編輯 ]

1. 2012年 4月 7日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사직競技 限對話 (監督) 退場
- 8回末 投手를 송창식 에서 金光守 로 交替를 하는 過程에서 前 打席에 審判判定에 對하여 손가락을 흔들다가 審判에게 摘發 審判 바로 退場措置
2. 2012年 5月 20日 SK 와이번스 VS 한화 이글스 大田競技 송신영 (投手) 退場
- 7回初 최정 打席에서 初球, 2具 모두 빈볼性플레이가 나오면서 主審이 警告를 주지만, 송신영 최정 에게 몸에 맞는볼을 내주고 退場措置
3. 2012年 6月 19日 LG 트윈스 VS 한화 이글스 大田競技 김인호 (走壘코치) 退場
- 5回初 이병규 의 打毬가 1壘에서 잡히는데, 이병규 의 發이 공보다 빨랐다고 抗議하던 途中 身體衝突이 생기면서 退場措置
4. 2012年 8月 7日 넥센 히어로즈 VS KIA 타이거즈 光州競技 김시진 (監督) 退場
- 7回初 박헌도 의 打席에서 審判이 몸에 맞는 볼을 宣言하자 KIA 선동열 監督이 몸에 맞지 않았다고 抗議하자 審判은 이를 飜覆하고 이에 김시진 監督이 다시 나와서 抗議를 하는 過程에서 審判의 몸을 밀치고 退場措置
5. 2012年 9月 16日 KIA 타이거즈 VS SK 와이번스 文學競技 선동열 (監督) 退場
- 8回末 이호준 의 打毬를 審判이 파울宣言瑕疵, KIA 선동열 監督은 打毬가 이호준 의 발에 맞았다고 어필하지만, 飜覆되지 않아 선동열 監督은 選手團을 撤收한다. 15分동안 選手團 撤收하고 結局 判定을 받아들이고 退場措置

示範 競技 [ 編輯 ]

順位 球團 京畿 勝率 連續 게임차
1 SK 와이번스 13 9 0 4 0.692 6勝 0.0
2 넥센 히어로즈 11 7 0 4 0.636 1勝 1.0
3 한화 이글스 11 5 2 4 0.556 1敗 2.0
4 LG 트윈스 13 6 2 5 0.545 1敗 2.0
5 두산 베어스 13 4 4 5 0.444 1勝 3.0
6 KIA 타이거즈 12 4 3 5 0.444 2敗 3.0
7 三星 라이온즈 11 4 1 5 0.400 1敗 3.5
8 롯데 자이언츠 12 3 0 9 0.250 6敗 5.5

正規 리그 [ 編輯 ]

開幕展은 2010年 上位 4個球團의 홈구장인 文學(KIA-SK), 大邱(LG-三星), 蠶室(넥센-두산), 辭職(韓貨-롯데)에서 2連戰으로 치뤄진다.

어린이날 競技는 격년제 編成에 따라 이番엔 大邱, 文學, 光州, 蠶室(LG 홈)에서 열린다.

팀 順位 [ 編輯 ]

順位 球團 競技數 勝率 게임 次 포스트 시즌
1 三星 라이온즈 133 80 2 51 0.611 0.0 韓國시리즈 勝利
2 SK 와이번스 133 71 3 59 0.546 8.5 플레이오프 勝利, 韓國시리즈 敗北
3 두산 베어스 133 68 3 62 0.523 11.5 準플레이오프 敗北
4 롯데 자이언츠 133 65 6 62 0.512 13.0 準플레이오프 勝利, 플레이오프 敗北
5 KIA 타이거즈 133 62 6 65 0.488 15.5 進出失敗
6 넥센 히어로즈 133 61 3 69 0.469 18.0
7 LG 트윈스 133 57 4 72 0.442 22.0
8 한화 이글스 133 53 3 77 0.408 26.0

統計 [ 編輯 ]

타자 TOP [ 編輯 ]

部門 選手 記錄
打率 (AVG) 김태균 .363
홈런 (HR) 박병호 31
打點 (RBI) 박병호 105
得點 (R) 이용규 86
안타 (H) 손아섭 158
出壘率 (OBP) 김태균 .474
長打率 (SLG) 박병호 .561
盜壘 (SB) 이용규 44

投手 TOP [ 編輯 ]

部門 選手 記錄
勝利 (W) 장원삼 17(1救援勝 包含이라 나이트 와 先發勝(16先發勝) 共同 1位)
平均自責 (ERA) 나이트 2.20
脫三振 (SO) 류현진 210
세이브 (SV) 오승환 37
홀드 (HLD) 박희수 34
勝率 (WPCT) 탈보트 .824

시즌 記錄 [ 編輯 ]

達成 記錄 [ 編輯 ]

正規시즌 受賞 [ 編輯 ]

正規시즌 新人王 : 넥센 히어로즈 서건창 ( 三星 라이온즈 이지영 , KIA 타이거즈 박지훈 , LG 트윈스 최성훈 과 함께 新人王 候補에 올랐고, 壓倒的인 支持(91票中 79票)를 받아 2012 八道프로野球 新人王으로 選定되었다.)
正規시즌 MVP :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 三星 라이온즈 장원삼 , 넥센 히어로즈 나이트 , 한화 이글스 김태균 과 함께 MVP 候補에 올랐고, 壓倒的인 支持를 받아 2012 八道프로野球 MVP로 選定되었다.)
投手 골든글러브 : 三星 라이온즈 장원삼
捕手 골든글러브 : 롯데 자이언츠 강민호
1窶籔 골든글러브 : 넥센 히어로즈 박병호
2窶籔 골든글러브 : 넥센 히어로즈 서건창
3窶籔 골든글러브 : SK 와이번스 최정
遊擊手 골든글러브 :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外野手 골든글러브 : 롯데 자이언츠 손아섭 , KIA 타이거즈 이용규 . LG 트윈스 박용택
指名打者 골든글러브 : 三星 라이온즈 李承燁

포스트 시즌 [ 編輯 ]

韓國시리즈 [ 編輯 ]

最終順位 [ 編輯 ]

順位 球團 競技數 勝率 게임 次
1 三星 라이온즈 133 80 2 51 0.611 0.0
2 SK 와이번스 133 71 3 59 0.546 8.5
3 두산 베어스 133 68 3 62 0.523 11.5
4 롯데 자이언츠 133 65 6 62 0.512 13.0
5 KIA 타이거즈 133 62 6 65 0.488 15.5
6 넥센 히어로즈 133 61 3 69 0.469 18.0
7 LG 트윈스 133 57 4 72 0.442 22.0
8 한화 이글스 133 53 3 77 0.408 26.0

올스타戰 [ 編輯 ]

2012年 韓國 프로 野球 올스타戰은 7月 21日 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 에서 열렸다.

勝負造作 [ 編輯 ]

參考 [ 編輯 ]

競技 中繼 [ 編輯 ]

MBC 라이프 가 中繼權을 抛棄한 代身에 2012시즌부터 XTM 에서 프로野球를 中繼하게 되었다.

開幕展 中繼
正規시즌 中繼
準플레이오프 中繼
플레이오프 中繼
韓國시리즈 中繼

外部 링크 [ 編輯 ]

韓國野球委員會
球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