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소륵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소륵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소륵國 (疏勒國, Shule Kingdom)은 西域 (西域) 北部 실크로드 (Northern Silk Road)에 있었던 타클라마칸 沙漠 (Taklamakan Desert)에 있었던 古代 오아시스 王國이다. 首都는 카슈가르 (Kashgar)에 있었으며, [1] 카슈가르에서 카슈가르 江(Kashgar River)李 祈願한다. 이웃한 호탄 王國 (Kingdom of Khotan)처럼 東部이란語群 (Eastern Iranian languages)인 사카어 (Saka language)를 使用하였다. [2]

7世紀 (唐)의 屬國이었지만 8世紀에 吐蕃 (吐蕃, Tibetan Empire)에 征服되었고, 이 一帶가 이슬람化와 투르크化가 進行되었을 當時 카라한 칸國 (Kara-Khanid Khanate)에 合倂되었다.

歷史 [ 編輯 ]

소륵國에 對한 最初의 言及은 紀元前 120年頃 書翰 (西漢)李 國境을 探索할 때쯤이었다. [3] 紀元後 127年 소륵國은 東漢 (東漢)에 朝貢을 바치기 始作했다. [3] 168年, 火得 (和得)李 소륵王을 暗殺하고 王位를 簒奪하자 韓銀 소륵을 征伐하려 하였지만, 170年 情中(楨中) 包圍前이 失敗하면서 恨의 軍隊는 撤收하였다. [3]

冬寒이 亡하는 220年, 소륵國은 情中, 死去 (莎車, Yarkent), 갈석(竭石), 擧事(?沙), 서야(西夜), 醫內(依耐) 等의 都市國家를 征服하였다. [3] 5世紀에 소륵國은 突厥 (突厥)의 朝貢國이 되었다. 630年, 突厥이 (唐)과의 戰鬪에서 敗北하자 소륵國은 突厥로부터 獨立하였다. [3] 632年, 黨의 오아시스 國家 征服 當時 黨의 屬國이 되었다. [4] 一部에서는 소륵國은 黨의 朝貢國이 되었고 黨은 느슨한 宗主權을 所有하는데 그쳤다고 한다. [5] [6] [7] 黨에게 征服된 以後, 約 640年에서 790年 사이 소륵國은 黨의 岸曙大都護府 (安西大都護府)의 一部가 되었다. [8] 649年에서 670年 사이, 소륵은 九字(龜玆), 右前(于?), 언기(焉耆)와 함께 岸曙寫眞 (安西四鎭) 中 하나가 되었고, 670年 以後에는 4陣 가운데 右前 代身 祕史(毗沙)로 交替되었지만, 소륵은 4陣의 地位를 維持하였다. [9]

670年, 소륵은 吐蕃 에게 征服되었다. 673年, 소륵은 스스로 黨의 屬國임을 宣布했지만, [10] 692年에야 黨은 소륵을 再次 征服하였다. [11]

715年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 (Qutayba ibn Muslim)李 소륵國을 攻擊하였다고 하지만 이는 事實이 아닐 可能性이 높다. [12] [13]

身長의 이슬람化와 투르크火 時期에, 카라한 帝國의 무슬림 투르크人들은 소륵國을 吸收하였다.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 (Mahmud al-Kashgari)에 依하면, 소륵國 隣近에 칸차크어 (Kanchaki)나 소그드어 (Sogdian)와 같은 투르크御駕 아닌 言語들이 一部에서 如前히 使用되었다고 한다. [14] 칸차크어는 사카어 (Saka language)에 屬한다고 본다. [15] [16] 11世紀 末 以前 타림盆地 (Tarim Basin)는 言語上 투르크語化되었다. [17]

經濟 [ 編輯 ]

北部 실크로드 에 있었기에 소륵은 大部分 玉門關 (玉門關) [18] 파미르高原 (Pamir Mountains)을 통하여 交易하였다. [19]

소륵國 수도 카슈가르(Kashgar)

카슈가르를 貫通하는 北部 실크로드는 카슈가르로부터 握手(Aksu), 쿠차(Kucha), 코를라(Korla)를 經由하여 철문관 (鐵門關)을 지나 카라샤르 (Karasahr), 橋下 (交河), 투르판 (Turpan), 高敞 (高昌), 쿠물 (Kumul)을 經由하여 안서 (安西)로 들어가는 타림盆地 北部 經路로 쪼개졌다. 타림盆地 南部 經路는 카슈가르에서 始作하야 야르칸트, 카르갈릭(Karghalik), 피산(皮山), 호탄 (和田, Khotan), 케리야 (Keriya), 니야(Niya), 카르칸 (Qarqan), 카르킬릭 (Qarkilik), 美란 (Miran), 敦煌 (敦煌)을 거쳐 안서로 갔다. [20]

君主 [ 編輯 ]

  • 性(成) 70
  • 두제(兜題) 72
  • 衝(忠) 74
  • 成大(成大) 84
  • 安國(安國) 116
  • 劉復(遺腹) 125
  • 新盤(臣磐) 127
  • 火得(和得) 168
  • 아미闕(阿彌厥) 605
  • 輩作(裴綽) 618
  • 胚芽마지(裴阿摩支) 627
  • 倍이건(裴夷健) 698
  • 배安定(裴安定) 728
  • 倍局量(裴國良) 753
  • 배랭랭(裴冷冷) 784?789? / 黨 將軍 노양(魯陽) 78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illward 2007:23
  2. Tremblay, Xavier (2007). 〈The Spread of Buddhism in Serindia: Buddhism Among Iranians, Tocharians and Turks before the 13th Century〉. Heirman, Ann; Bumbacker, Stephan Peter. 《The Spread of Buddhism》. Leiden: Koninklijke Brill. 77쪽. ISBN   978-90-04-15830-6 .  
  3. Su-il, Jeong (2016年 7月 18日). 《The Silk Road Encyclopedia》. Seoul: Seoul Selection. ISBN   978-1624120763 .  
  4. Wechsler, Howard J.; Twitchett, Dennis C. (1979). Denis C. Twitchett; John K. Fairbank,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3: Sui and T'ang China, 589?906, Part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25?227. ISBN   978-0-521-21446-9 .
  5. Whitfield 2004, p. 47.
  6. Twitchett 2000, pp. 116?118.
  7. Wechsler 1979, pp. 226?228.
  8. Millward, James A. (2007).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illurat版. Columbia University Press. 30쪽. ISBN   978-0-231-13924-3 .  
  9. Xue, p. 596-598.
  10. Wechsler 1979, p. 226.
  11. Beckwith, 36, 146.
  12. Michael Dillon (2014年 8月 1日).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 Routledge. 7?쪽. ISBN   978-1-317-64721-8 .  
  13. Marshall Broomhall (1910). 《Islam in China: A Neglected Problem》 . Morgan & Scott, Limited. 17 ?쪽.  
  14. Scott Cameron Levi; Ron Sela (2010).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 Indiana University Press. 72?쪽. ISBN   978-0-253-35385-6 .  
  15. Ahmad Hasan Dani; B. A. Litvinsky; Unesco (1996年 1月 1日).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 UNESCO. 283?쪽. ISBN   978-92-3-103211-0 .  
  16. Ahmad Hasan Dani (January 1999).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crossroads of civilizations: A.D. 250 to 750》 . Motilal Banarsidass. 283?쪽. ISBN   978-81-208-1540-7 .  
  17. Akiner (2013年 10月 28日). 《Cultural Change & Continuity In》 . Routledge. 71?쪽. ISBN   978-1-136-15034-0 .  
  18. Bonavia, Judy (2004). The Silk Road From Xi’an to Kashgar. Revised by Christoph Baumer. 2004. Odyssey Publications.
  19. Silk Road, North China , C.Michael Hogan, the Megalithic Portal, ed. A. Burnham” . Megalithic.co.uk . 2009年 8月 10日에 確認함 .  
  20. “Silk Road Trade Routes” . University of Washington . 2007年 8月 2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