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부여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부여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부여태 (扶餘泰, 生沒年 未詳 )는 百濟 의자왕 의 次男이다.

生涯 [ 編輯 ]

백제의 마지막 人 義慈王의 次男이다. 660年 ( 의자왕 20年) 聯合軍이 百濟 君을 물리치고 수도 私費 肉薄하자 義慈王과 太子 [1] 熊進 으로 避身하였다. 泗沘城 에 남아있던 부여태는 耐性이 包圍 當하는 渦中에도 외람히 王을 稱하였다. 義慈王의 嫡孫 부여문사 는 ‘王과 太子가 을 나갔는데 叔父가 멋대로 王을 稱했으니 唐軍이 물러나면 우리 父子(父子)는 安全하지 못할 것’이라며 그 側近을 데리고 城 아래로 내려갔다. 여기에 많은 사람 들이 따라가 附與態度 말릴 수 없었다. 蘇定方 의 兵士가 城에 올라 唐나라 旗발 까지 꽂으니 城門 을 열고 降伏 하였다. 백제 滅亡 後 洛陽 으로 끌려갔으며 以後의 行跡은 記錄이 없어 알 수 없다.

家計 [ 編輯 ]

兄은 부여융 아니면 扶餘孝 中 하나로 記錄이 相異하며 부여태를 除外한 나머지 兄弟 들의 順序도 正確히 알 수 없다.


武王 의자왕 부여융 ?
恩顧 부여태
扶餘孝
부여연
부여풍
부여용
扶餘충승
扶餘忠勝
扶餘충지
扶餘選鑛

부여태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백제의 마지막 太子에 對해 《舊唐書》, 《 新唐書 》, 《 資治通鑑 》, 〈 대당평백제국非 〉, 〈 黨類人猿記功碑 〉 等 中國 의 記錄은 부여융 理라 하고, 《 三國史記 》는 扶餘孝 라 하였다. 《三國史記》28卷 백제본기 第6 義慈王 20年, 44卷 列傳 第4 김인문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