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발레이벨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발레이벨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발레이벨렌 ( 튀르키예어 : Baleybelen )은 오스만 투르크 의 다르비슈(이슬람 樹皮 修道僧)인 무흐이 귈셰니 가 만든 人工語 이다. 발레이벨렌은 現在 非유럽圈에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人工語이다.( 16世紀 에 登場) 文法은 아랍語를 바탕으로 깔고 있으며, 語彙는 페르시아語,터키어,아랍語 等에서 따왔다. 발레이벨렌은 近代 들어 世界 共同의 意思疏通을 目的으로 하여 登場한 國際補助語와는 달리 神祕主義的 意圖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 點에서 링舊痾 이그노타 다민 等과 비슷하다. 아브라함은 히브리어로, 예수는 아람어로, 무함마드는 아랍語로 神의 말씀을 들은 것처럼, 무흐이 귈셰니는 神의 啓示를 이 새 言語를 통해 받았다고 傳해진다. 발레이벨렌은 人工語 가 近代 들어서 登場했거나, 유럽만의 特異한 現象이라는 見解에 맞서는 證據라 할 수 있다. 宗敎的 目的 또는 少數 集團이 隱密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人工語를 만든 것은 아주 오래前부터 있었던 普遍的 現象이라는 것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A. Bausani, Geheim- und Universalsprachen: Entwicklung und Typologie. Stuttgart, 1970: Kohlhammer.
  • A. Bausani, Le lingue inventate : linguaggi artificiali, linguaggi segreti, linguaggi universali - Roma : Ubaldini, 1974.
  • F. Bergmann, Resume d'etudes d'odontologie generale et du linguistique generale, Paris, 1875
  • Silvestre DeSacy, Kitab asl al-maqasid wa fasl al marasid, Le capital des objets recherches et le chapitre des choses attendues, ou Dictionnaire de l'idiome Balaibalan. Notices et extraits des manuscrits de la Bibliotheque Imperiale [Paris], 9: 365-396.
  • E. Drezen, Historio de la Mondolingvo, Moskvo 1991: Progreso.
  • M. Koc, Baleybelen: ?lk Yapma Dil. Istanbul, 2005.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