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東亞日報

連載 포인트

連載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

記事 159

購讀 0

날짜選擇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피맛골의 추억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피맛골의 追憶

    ‘피맛골’. 朝鮮時代 때부터 있었던 서울 鍾路通의 한 골목 이름이다. 예전 이곳에 飮食店이 많다 보니 이름 가운데의 ‘맛’을 ‘飮食 맛’과 聯關지어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全혀 關係가 없다. 이 地名은 ‘말을 避한다’는 ‘피馬(避馬)’에서 由來했다. ‘피맛골’은 ‘말을 避해 다…

    • 2014-03-20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진도개와 진돗개는 다른가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珍島개와 珍島개는 다른가

    ‘珍島개’와 ‘珍島개’ 中 어느 쪽이 우리나라의 代表的 土種犬일까. 朴槿惠 大統領이 지난달 業務報告를 받으며 ‘珍島개 精神이 없다’고 叱咤하자 다음 날 各 新聞이 ‘珍島개 精神’ ‘珍島개 精神’으로 제各其 表記했다. 한글맞춤法 第30項 ‘사이시옷’ 規定에 따르면 ‘珍島개’가 맞다.…

    • 2014-03-13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대박과 보난자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大舶과 보난자

    ‘統一 大박.’ 朴槿惠 大統領이 新年 記者會見에서 使用한 以來 論客들의 칼럼 素材뿐 아니라 言衆의 입말로도 大舶을 터뜨렸다. 勿論 以前에도 開業醫 祝賀人事로, 靑少年들이 ‘宏壯하다’ ‘놀랍다’는 意味로 많이 써왔지만, 大統領이 話題를 더했다. 그런데 이 ‘大박’, 어디서 온 것일…

    • 2014-03-06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애끊는’ 일이 왜 끊이지 않나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애끊는’ 일이 왜 끊이지 않나

    “十年이 가고 百年이 가도/살아만 돌아오소/울고 넘던 이 고개餘/韓 많은 미아리 고개.” 반야월 作詞 이재호 作曲(1956年)의 ‘團長(斷腸)의 미아리 고개’다. ‘團長’은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한 苦痛을 말한다. 6·25戰爭이 몰고 온 離別과 이山의 苦痛은 60年이…

    • 2014-02-27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야코죽지 마라”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야코죽지 마라”

    러시아 所致 겨울올림픽에 出戰 中인 韓國 選手들이 安賢洙 後暴風 때문에 ‘야코가 많이 죽었다’고 한다면 눈총을 받을지도 모르겠다. 成績이 안 좋은 것도 언짢은데 그걸 ‘日本말’로 꼬집었다고 해서 말이다. 그러나 ‘야코죽다’ ‘야코죽이다’에 쓰이는 ‘야코’는 日本말이 아니다. 우리말…

    • 2014-02-20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도낀개낀’과 ‘도 긴 개 긴’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도낀개낀’과 ‘도 긴 개 긴’

    來日은 正月 大보름이다. 부럼을 깨물고 藥밥, 五穀밥을 먹는다. 이날 마시는 술을 귀밝이술이라고 한다. 飮食은 個人의 健康을 祈願하는 게 많다. 그러나 行事는 反對다. 달집태우기, 줄다리기, 地神밟기 等 마을 全體가 나선다. 윷놀이도 설에는 主로 집안끼리 하지만 大보름날에는 마을 …

    • 2014-02-13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거꾸로 가는 ‘웰빙’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거꾸로 가는 ‘웰빙’

    얼마前 ‘로하스(LOHAS)’라는 말이 流行했다. 로하스는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의 머리글字 5字를 합친 말이다. 2000年 美國의 내추럴마케팅 硏究所가 처음으로 使用했다. 로하스는 單語의 意味대로 健康한 삶과 環境保全을 同時에 追求…

    • 2014-02-06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 설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 설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尹克榮 作詞 作曲(1927年)의 ‘설날’이라는 動搖다. 여기 나오는 ‘까치’를 七月七夕(七月七夕)에 견우와 織女의 相逢을 돕는 까마귀와 까치 다리(烏鵲橋)의 까치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意外로 많다. 까치설날의 …

    • 2014-01-30
    • 좋아요
    • 코멘트
  •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삼천포

    [손진호 어문기자의 말글 나들이]三千浦

    ‘應答하라 1994’에서 “니나 하지 마라 돌이킬 수 없는 失手” “산다는 건 늘 選擇이다” 等의 名臺詞를 펑펑 쏟아내던 村놈, 三千浦(김성균 分). 투박한 사투리로 20代 靑春의 여린 感性을 감칠맛 나게 表現했던 그의 이름에서 아름다운 港口都市, ‘三千浦’를 떠올린다. 三千浦度 ‘응…

    • 2014-01-23
    • 좋아요
    • 코멘트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