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묵의 ‘漢詩 마중’|東亞日報

連載 포인트

連載

이종묵의 ‘漢詩 마중’

記事 44

購讀 1

날짜選擇
  • [이종묵의 ‘漢詩 마중’] <44·끝>새해 所望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節操가 매운 선비입니다. 水落山(水落山) 西쪽 오늘날의 長巖役 隣近 석천동(石泉洞)에서 꼿꼿하게 살면서 스스로를 西界초수(西溪樵修), 곧 西쪽 개울의 나무꾼이라 불렀습니다. 물가에 집을 지을 때 울타리를 치지 않고 복숭아나무, 살구나

    • 2013-01-01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43>한 해를 보내면서

    저물어가는 한 해를 보내면서 즐거운 마음이 드는 이는 많지 않을 겁니다. 이룬 것은 없고 나잇살만 먹어가니 그러할 수밖에 없겠지요. 이덕무(李德懋)는 除夜(除夜)의 밤을 反省의 時間으로 삼았습니다. 21歲 때인 1761年 ‘紳士年을 電送하는 글(餞辛巳序)’을 지어 “묻

    • 2012-12-31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42>얼굴에 먼저 이른 봄빛

    여러 年末 行事로 몸이 지친 분이 많겠습니다만, 歲밑이 너무 조용하면 오히려 외로운 마음이 드는 法입니다. 歲暮에 마음에 맞는 벗과 한盞 술을 마주하고 情談을 나누고 싶습니다. 16世紀의 큰 선비 이언적(李彦迪·1491∼1553)은 富貴와 權勢보다 閑寂함을 사랑하여 慶州

    • 2012-12-28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41>겨울이라 맑은 밤

    한겨울에 보는 보름달은 더욱 맑아 韻致가 있습니다. 보름달을 보러 都心의 公園에라도 나들이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할 때 외우시라고 이우(李優·1469∼1517)의 이 詩를 勸합니다. 이우는 李滉(李滉)의 叔父입니다. 1510年 10月 江原道 觀察使에 任命되어 道內의 여러

    • 2012-12-27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40>歲밑에 내리는 눈

    올해는 유난히 눈이 많이 내립니다. 눈으로 苦生하는 분이 많기는 하지만 農事짓는 분이라면 기쁨이 앞섭니다. 中國 俗談에 ‘섣달에 세 番 눈 오는 것 보면, 農夫가 껄껄하고 웃는다(臘月見三白 田公笑(下,革)(下,革))’라고 하였습니다. 유방선(柳方善·1388∼1443)은 名

    • 2012-12-26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9>새해 달曆을 보면서

    朝鮮時代 冬至날이면 觀象監(觀象監)에서 새해 冊曆(冊曆)을 製作하여 官吏들에게 넉넉하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이를 받은 官吏들은 아는 사람들에게 膳物로 보내곤 하였지요. 冊曆은 只今의 달曆과 類似한데 農事나 擇日 等에 必要한 內容 等이 두루 記錄되어 있어 日常生

    • 2012-12-25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8>梅花 그림을 보면서

    올겨울 같으면 房 안에서 暖房器具를 끼고 앉아 있을 뿐 바깥으로 나가기 싫습니다. 그래도 房 안 花甁에 꽃 한 송이 꽂아두면 좋겠습니다. 혹 如意치 못하면 꽃그림으로라도 代身하십시오. 17世紀 위抗議 詩人 최기남(崔奇南)李 그러하였습니다. 겨울이 되어 눈이 내리자

    • 2012-12-24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7>冬至날 팥粥 한 그릇

    오늘은 冬至날입니다. 요즘은 直接 팥粥을 끓이는 집이 많지 않지만 예전 시골에서는 집집마다 팥粥을 끓여 이웃에 돌렸던 記憶이 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古來로 冬至날 팥粥을 쑤어 먼저 祠堂(祠堂)에 올리고 房과 醬독臺, 헛間 等 집 안 여러 곳에 놓아두었습니다. 그러

    • 2012-12-21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6>媤아버지의 따뜻한 마음

    아들 있는 집에서는 좋은 며느리 들이는 일에 關心이 많습니다. 제 子息에게 잘해 주고 或 餘力이 있어 媤父母까지 잘 받들어 준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요. 그러자면 며느리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19世紀 慶尙道 密陽에 살던 이제영(李濟永·1799∼1871)

    • 2012-12-20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5>걱정 없는 世上

    朝鮮時代 선비들은 설이나 立春(立春)을 맞으면 春帖子(春帖子)라고 하는 詩를 지어 門에다 붙이고 한 해의 길상(吉祥)을 祝願하였습니다. 說이나 立春이 멀기는 하지만 새로운 時代를 맞을 때인지라, 個人이 아닌 萬百姓의 幸福을 祝願한 김안국(金安國·1478∼1543)의 춘

    • 2012-12-19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4>썰매의 追憶

    한겨울 깡깡 언 江에서 썰매를 타고 얼음을 지치는 風景은 이제 黑白寫眞처럼 아련합니다. 只今은 잘 얼지 않는 漢江이지만 朝鮮時代 글을 보면 漢江에서 썰매를 탄 記錄이 제법 보입니다. 朝鮮時代 썰매는 설마(雪馬)라 적었습니다. 元來 山岳에서 사냥이나 運送을 위하여

    • 2012-12-18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3>牧民官의 任務

    윗자리에 있는 분들은 모두 百姓을 위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巨創한 口號가 必要한 것이 아니라 細心한 配慮가 重要합니다. 이용휴(李用休·1708∼1782)는 포의(布衣)의 文型(文衡)으로 評價되었습니다. 베옷을 입은 벼슬 없는 선비였지만 經世(經世)의 文章을 펼치는 大帝

    • 2012-12-17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2>겨울에 먹는 冷麵

    冷麵은 추운 날 먹어야 더욱 맛이 있습니다. 冷麵은 18世紀 무렵 서도(西道)에서부터 流行한 듯합니다. 유득공(柳得恭)李 平壤의 風速을 詩로 노래한 ‘서經雜節(西京雜絶)’에서 “冷麵 때문에 돼지 수肉 값이 幕 올랐다네(冷면蒸豚價始騰)”라 하였으니 冷麵에 넣을 돼지

    • 2012-12-14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1>新婚夫婦의 겨울밤

    18世紀 後半 이안중(李安中)이라는 흥미로운 作家가 있었습니다. 浪漫的인 사랑의 노래를 즐겨 지었던 분입니다. 月令體(月令體)의 聯作詩 ‘月節邊曲’을 지어 1月부터 12月까지 新婚夫婦의 사랑을 담아 놓았습니다. 押韻(押韻)이니 平仄(平仄)이니 하는 漢詩의 까다로운

    • 2012-12-13
    • 좋아요
    • 코멘트
  • [이종묵의 ‘漢詩 마중’] <30>이불 속에서 웃을 일

    高麗의 大文豪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글을 읽노라면 절로 웃음이 나올 때가 많습니다. 1236年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 宰相으로 있을 때 이 詩를 지었습니다. 첫 番째 序說에 該當하는 作品에서 ‘人間事 우스운 일 자주 일어나지만, 낮에는 情이 많아 웃을 겨를 없

    • 2012-12-12
    • 좋아요
    • 코멘트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