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人生 大박’ 論語의 힘|新東亞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人生 大박’ 論語의 힘

  • 배병삼│靈山大 敎授·政治思想 baebs@ysu.ac.kr│

    入力 2010-09-02 13:1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論語는 오늘날에도 人間社會의 ‘經營 모델’李 된다. 여기서 經營이란 모든 形態의 ‘關係 맺기’ 技術이다. 이 技術의 最大 德目은 ‘開眼(開眼)’이다.
    • 世上을 그저 거죽뿐 아니라 그 아래 켜켜이 들어찬 속살까지 꿰뚫어보는 創意的 眼目을 틔워준다. 낯익은 것을 낯설게 보는 눈을 가지면 가난조차 즐기며 살 수 있다.
    • 가난을 누리면서 내려다보는, 眞正한 主人의 삶이 펼쳐지는 것이다.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인생 대박’ 논어의 힘

    古典 ‘春香傳’을 새로운 視角으로 解釋한 映畫 ‘房自轉’의 한 場面.

    정작 大學에서는 ‘人文學이 죽어간다’는 悲鳴이 터져 나온 지 오랜데, 바깥에서는 人文學 붐이다. 書店에는 人文學 關聯 各種 書籍이 櫛比하고, 職場人을 對象으로 한 人文古典이나 哲學과 關聯한 講演會도 頻繁하게 열린다. 政治哲學 專門書籍인 마이클 샌델의 ‘定義란 무엇인가’가 오랫동안 綜合 베스트셀러 1位에 올라 있는 데서도 요즘 人文學의 ‘以上 烈風’은 感知된다. 實은 여기 아홉 番째 連載하는 이 글도 最近의 人文學 熱氣에 便乘하는 것일 테다. ‘孔子에게 經營을 묻다’라는 主題 自體가 人文學을 中心에 놓고 오늘날 이슈인 ‘經營學’과의 接點을 摸索하는 試圖라는 點에서 그렇다.

    이番에는 이런 試圖에 對해 本質的인 質問을 던져보자. 利己心을 容認할 뿐만 아니라 그걸 人間性의 核心으로 容納하는 資本主義 時代인 오늘날, 孔子와 그의 語錄(‘論語’)은 어떤 意義를 갖는 것일까. 果然 이 속에서 革新的 經營 모델이나 새로운 文明의 비전을 發見할 수 있을까. 아니면 고작 心身이 지친 現代人에게 逃避處(痲藥)를 提供하는 데 不過한 것일까. 마치 옛날 封建時代에 道敎思想이 竹林七賢式 隱遁의 快樂을 提供하던 것처럼 말이다. 單刀直入的으로 오늘날 이 冷酷한 資本主義 時代에 人文古典으로서 ‘論語’의 쓰임새는 果然 무엇인가.

    創意力의 샘 ‘論語’

    于先 ‘論語’는 創意性의 샘으로서 價値가 있다. 지난해 겨울, 빌 게이츠는 우리의 未來를 ‘創意力 資本主義(creative capitalism)’라고 명명한 바 있다. 最近의 아이폰, 앱스토어, 구글과 같은 尖端製品들을 보노라면 이렇게 말하는 듯하다. ‘남이 생각하지 못한 것을 想像해서 創造할 때만 큰돈을 벌 수 있다!’ 그런데 오늘의 ‘創意力 資本主義’를 몸소 보여주는 아이폰의 主役 스티브 잡스는 또 이렇게 말한다.

    “애플은 언제나 技術과 人文學의 交叉點에 서 있다.”



    人文學과 尖端技術은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외려 人文學이야말로 創意力을 기르는 힘이라는 主張이다. 흥미로운 事實은 스티브 잡스가 靑年時節 心醉한 分野가 漢字의 書體, 곧 書藝(書藝)였다는 點이다. 이것은 漢字와 人文學이 가진 創意性과의 關聯性을 귀띔해준다.

    아! 勿論 漢字와 人文學을 아이폰과 곧바로 連結하는 것은 억지처럼 여겨질지 모르겠다. 한데 現代 抽象畫家人 피카소가 漢字의 世界에 오랫동안 빠져 있었던 履歷은 創意力과 漢字, 或은 東洋思想과의 關係를 좀 더 鮮明하게 보여준다. 피카소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내가 中國人으로 태어났더라면 畫家가 아닌 作家가 됐을 것이다. 나는 그림을 ‘쓰고’ 싶다.”

    더욱이 피카소가 우리더러 “當身들은 보고 있지만 보고 있는 게 아니다. 그저 보지만 말고, 생각하라! 表面的인 것 背後에 숨어 있는 놀라운 屬性을 찾으라! 눈이 아니고 마음으로 읽어라!”(루트번스타인, ‘생각의 誕生’, 116쪽)라던 要求는 象形文字로서의 漢字, 그리고 人文學으로서 東洋思想의 屬性과 近似하다. 눈에 비친 表面을 模寫하던 旣存의 會話(具象化)를 벗어나 새로운 패턴, 곧 抽象의 世界를 創造해낸 힘의 根源이 自然 속 事物을 抽象해 ‘象形’韓 漢字의 屬性에서 비롯됐을 법하지 않은가.

    그런데 創意力이란 決코 天才에게만 주어진 偶然한 資質이 아니요 또 想像力이란 白日夢과 같은 幻想을 두고 이른 말이 아니다. 여기에 人文學의 意義가 있다. ‘太陽이 처음 떠오른 以來 새로운 것은 存在하지 않는다’라는 西洋 俗談은 ‘오래된 未來’로서의 人文古典(‘論語’)의 意義를 되새기게 하는 金言이다.

    創意力을 기르는 데에 ‘論語’의 用途는 人間社會의 ‘經營 모델’을 提供한다는 點에 있다(여기에서 經營이란 國家經營이든 企業經營이든, 社會團體(NGO)든, 家族이나 個人의 삶이든 間에 모든 ‘關係 맺기 技術’을 包括한다). 人間의 歷史 가운데 最惡이었던 春秋時代의 患亂 中에 짐승으로 墮落하는 人間의 꼴과 정글로 墜落하는 社會를 救出하기 위한 모델이 ‘論語’ 속에 存在하기 때문이다. 要컨대 ‘論語’ 속에는 人間다운 社會·文明의 基本 틀(모델)李 存在한다.

    ‘스타워즈’도 ‘아바타’도 溫故知新

    未來를 構想하고 想像할 때 모델은 必須的 要素다. 彫刻 藝術의 領域에 創意的으로 빛을 導入해 ‘빛의 조각’ 世界를 처음 연 노구치 이사무는 自身의 作業에 對해 “나에게 있어 彫刻이란 모델(模型)을 만들고, 그 모델의 크기를 키우고, 이에 맞춰 實際로 돌을 깎는 作業을 混合해나가는 過程”이라고 말한다(‘생각의 誕生’, 306쪽).

    이것은 藝術 創作에서 모델의 重要性을 指摘한 대목이다. 어디 彫刻 藝術에서만 그러하랴. 모델은 글쓰기, 作曲, 映畫 等 모든 藝術分野에서 創作을 위한 核心的 要素다. 아니다. 실은 創作이란, 創意性이란 도리어 古典的 모델에 對한 새로운 視角의 照明(再解釋)에 지나지 않은 것인지도 모른다. 1980年代에 出現해 오늘날까지 시리즈로 이어지는 神話的인 映畫 ‘스타워즈’에 對한 神話學者의 鑑賞評을 보자.

    “새 옷을 입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옛날 옛날 한 옛날의 이야기로구나!”

    이게 바로 제가 映畫 ‘스타워즈’를 보았을 때 가졌던 생각입니다. 英雄이 冒險의 召命을 받고, 旅行을 떠나 試鍊을 겪고 危機를 克服하고, 마침내 勝利를 얻은 뒤 社會의 利益이 될 만한 것을 가지고 돌아온다. 이건 바로 監督인 조지 루카스가 ‘神話’의 標準的 이미지를 使用한 겁니다.(조지프 캠벨/ 빌 모이어스, 이윤기 驛, ‘神話의 힘’. 2001)

    조지프 캠벨의 指摘처럼 映畫 ‘스타워즈’의 모델은 그리스 神話에 나타난 오디세우스의 出鄕과 苦難의 歷程, 그리고 歸還이다. 또 2000年代의 베스트셀러 映畫 시리즈 ‘半指의 帝王’도 北유럽의 說話와 神話, 다양한 宗敎現象에 基礎를 둔 것이다. 最近 世界的으로 크게 히트한 映畫 ‘아바타’ 亦是 古色蒼然한 萬物一體館의 飜譯인 터다. 우리나라의 境遇도 다르지 않다. 最近 많은 觀客을 불러 모은 金大宇 監督의 ‘房自轉’은 알다시피 ‘春香傳’이라는 苦戰을 모델로 삼되 새로운 解釋을 映像으로 풀어놓은 ‘오래된, 그러나 새로운 이야기’였다.

    그러니 創意性이란 決코 어떤 天才만이 타고난 偶然한 資質이 아니다. 도리어 人文學的 모델(古典)에 對한 沈着한 讀書와 이에 對한 새로운 視角의 照明일 따름이다. 燕巖 朴趾源의 文章論 법고창신(法古創新), 卽 ‘옛것을 本으로 삼아 새로운 文化를 創造한다’는 意味가 이것이요, 孔子의 溫故知新(溫故知新)도 이와 다르지 않다.

    事物의 속살 보는 겹눈 길러라

    그렇다면 問題는 오로지 눈이다. 그렇다면 눈, 卽 ‘새로운 眼目’은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論語’에서 눈에 對한 論議를 찾아보자. 孔子 當代에도 오늘날처럼 職場을 얻기가 어려웠던 模樣이다. 한 弟子가 스승을 찾아와 ‘職場 求하는 法’을 묻는다. 이 對答 속에 孔子가 啓示하는 눈의 意味가 언뜻 드러난다.

    孔子 弟子 慈藏이 職場 얻는 法을 배우고자 하였다.

    스승이 말했다. “많이 듣고 그中에 ‘아니다’ 싶은 것은 내버려라! 그 남은 것을 조심스럽게 發表하면 큰 잘못은 없을 거야. 둘째로, 이것저것 많이 보라고. 그中에 ‘아니다’ 싶은 것들은 내버려! 나머지를 삼가서 行動으로 옮기면 큰 失手는 하지 않을 거야. 이렇게 말과 行動, 卽 言行에 잘못이나 失手가 없다면 自然히 職場이 생길 걸세.”

    (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論語, 2:18)

    于先 다문궐의(多聞闕疑)라, “많이 듣고 그中에 ‘아니다’ 싶은 것은 내버리는” 過程은 곧 귀에 들리는 것을 흘려듣지 말고 ‘들리는 것을 다시금 들으라’는 뜻이다. 또 다犬闕태(多見闕殆)라, “많이 보고 그中에 ‘아니다’ 싶은 것은 내버린다”란 肉眼으로 보는 것을 다시금 보라, 卽 보는 것을 새겨 보라는 뜻이다. 보는 것을 보고, 듣는 것을 듣는 것!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인생 대박’ 논어의 힘

    ‘創意力 資本主義’를 代表的으로 보여주는 아이폰의 主役, 스티브 잡스.

    말하자면, 그냥 보아 넘기지 않고 보는 것을 다시금 (覺醒하여) 보는 눈에 職場이 걸려 있다. 듣는 것을 그냥 흘려듣지 않고, 듣는 것에 브레이크를 걸어 (覺醒하여) 듣는 귀에 就業의 門이 열린다! 그리고 그 解釋된 눈으로 걸러진 봄과 들음을 操心스럽게 實踐(作品化)할 때 ‘돈이 생긴다(祿在其中矣)’.

    이건 곧 事物을 적어도 두 겹으로 보고 또 들으라는 勸告다. ‘世上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며 징징대지 말고, 또 企業이 要求하는 스펙에 목매달지 말고, 事物의 피상만을 훑고 지나가는 이 눈을 깊게 만드는 길로 나설 때 제대로 된 職場이 생기리라는 孔子의 助言은 오늘날 젊은이들에게도 直通하는 價値가 아닐까.

    여기서 孔子가 磁場에게 勸告한 職場 求하는 方法과, 앞서 現代 抽象化가 피카소가 勸告한 “그저 보지만 말고, 생각하라! 表面的인 것 背後에 숨어 있는 놀라운 屬性을 찾으라! 눈이 아니고 마음으로 읽어라!”는 指摘은 꼭 같지 않은가. 스티브 잡스가 말한 “技術과 人文學의 接點에 애플이 있다”는 말이 가리키는 地點 亦是 이 近處다. 그렇다면 젊은이들이 職場을 求하는 法은 東西古今이 다를 바 없다. 皮相을 스쳐 지나가는 얄팍한 눈을 웅숭깊게 만드는 길, 오로지 이 길 外엔 없다. 이것이 資本主義 社會인 오늘날에도 ‘論語’를 읽어야 할 理由다.

    알기〈좋아하기〈즐기기

    創意力과 關聯해 ‘論語’ 속 文章을 하나 더 찾아보자. 字로(子路)는 스승과 여덟 살밖에 差異나지 않는 ‘孔子學校’의 古參이었다. 어린 後輩들로선 아무래도 스승보다 先輩에게 質問하기가 負擔이 덜했을 터. 이에 子路에게 이것저것 자주 質問을 한 模樣이다. 者로로서는 每番 ‘모른다’고 할 수는 없는 노릇. 제 딴엔 이러구러 對答을 해주곤 한 模樣이다. 한데 그게 正答일 수는 없으렷다.

    首弟子 顔淵조차 스승의 境地를 두고 “우러러보면 볼수록 더욱 높이 있고, 뚫으면 뚫을수록 더욱 단단하네. 앞에 계신가 하여 쳐다보면 忽然히 뒤에 계시네!”(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焉在後. 論語, 9:10)라고 恨歎할 地境이었으니, ‘組暴’ 出身인 者로에게야 일러 무엇 하리. 이즈음 孔子가 字로의 뒤통수를 슬그머니 어루만져준다.

    孔子 말씀하시다. “子路야! 네게 앎에 對해 알려주련? 아는 것은 안다고 알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아는 것, 이것이 참된 앎이니라.”

    (子曰, “由! 誨女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論語, 2:17)

    여기 ‘아는 것은 알고, 모르는 것은 모름을 아는 것’이란, 앎이 情報나 知識의 單純한 習得이 아님을 뜻한다. 참된 앎이란 無知의 覺醒, 卽 모른다는 事實을 아는 것이다. 이것은 꼭 소크라테스가 말한‘너 自身을 알라’이고, ‘自身의 無知를 알 때라야 제대로 된 앎이 된다’라는, 哲學(philosopia)의 本來 뜻에 다를 바가 없다. 그렇다면 앎의 次元도 ‘알고/모르고’ 의 얄팍한 二分法이 아니요, 앎의 켜 亦是 앞서 ‘듣고·보는’ 것처럼 여러 겹으로 이뤄져 있음을 알 수 있겠다.

    孔子 말씀하시다. “모르는 것을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며,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느니라.”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論語, 6:18)

    無識함보다는 아는 것이, 또 아는 것보다는 좋아하는 것이, 그리고 좋아하는 것보다는 즐기는 것이 낫다는 孔子의 ‘앎의 段階論’에서 우리는 배움의 成就가 고작 ‘알고/ 모르고’ 사이의 二分法이 아니라 앎 亦是 켜켜이 여러 次元에 있음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東西洋을 莫論하고 앎이란 모른다는 것을 (覺醒하여) 아는 것이요, 본다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다시금) 보는 것이요, 들음이란 귀로 듣는 것을 (느끼며) 듣는 것이다. 그리고 삶(人生)이란 앎과 봄, 그리고 들음이 繼續 螺旋形的으로, 點漸次 깊숙이 쌓여가거나 또는 깊어져가는 過程이다. 그러니까 참된 앎과 眞正한 보기, 제대로 듣기란 겹겹으로 이뤄져 있다! 丁寧 참된 앎이란 두 겹, 아니 세 겹, 다섯 겹으로 이뤄져 있다. 假令 孟子는 한 事件을 두고 세 가지로 나눠 볼 줄 아는 눈을 가졌고(‘맹자’), 部處는 다섯 個의 눈, 卽 肉眼(肉眼) 天安(天眼) 慧眼(慧眼) 法眼(法眼), 그리고 不安(佛眼)의 다섯 겹의 眼目을 갖췄던 것이다(‘금강경’).

    낯익은 것을 낯설게 보라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인생 대박’ 논어의 힘

    神話의 標準的 이미지를 借用한 映畫 ‘스타워즈’ 시리즈의 한 場面.

    우리 俗人들 눈에 보이는 皮相(皮相)의 거죽 말고 그 아래 層層이 들어차 있는 여러 겹의 속살을 뚫어서 볼 때(이걸 ‘洞察力’이라고 한다), 그제야 日常的이고 平常스러운 삶은 갑자기 非常하고 낯선 새로운 것으로 확 달려든다. 이것이 ‘大學’에서 指摘한 ‘一身우일신(日新又日新)’의 뜻이다. ‘날마다 새롭고 또 날마다 새롭다’는 말이 어찌 每日每日 새로운 都市를 찾아 觀光하는 것을 뜻하랴. 只今 여기 이 땅에 붙박이로 살면서 每日每日 똑같은 일을 거듭하더라도, 남의 눈에는 심드렁한 하루하루가, 내게는 瞬間瞬間 낯설고 새로우며 설레는 時空間으로 주름져서 덤벼드는 것(으로 느낌)李 一身우일신의 境地요, 또 그런 瞬間에 피어나는 것이 創意性이다.

    그렇다면 ‘一身우일신’의 새로움, 想像力, 그리고 創意性을 기르는 方法은 무엇일까. 孔子가 이른바, 민이호學(敏而好學, 論語, 5:15)이라 “敏感하게 배움을 좋아하노라”라던 그 銳敏한 感性과 好學의 姿勢에서 비롯할 테다. 열린 마음으로 敏感하게 對象과 呼吸을 같이할 적에야 只今 내 周邊을 새로운 눈으로 覺醒하여 바라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을 來日을 위한 手段으로 밀쳐버리지 말고, 只今 이때를 每 瞬間 切實히 느끼면서 살아갈 때라야 제대로 ‘살아 있는 사람’李 되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自己 周邊을 낯설게 바라보는 姿勢는 오늘날 亦是 創意力을 기르는 지름길로 提示된다.

    創意力을 기르려면 事物과 現象을 ‘낯설게, 거꾸로’ 보세요. 無數히 많은 科學者의 事例를 分析해 본 結果, 나는 이들의 共通點을 發見해냈어요. 勿論 戰略 自體는 各各 다르게 나타났지만, 基本的으로 이들은 現象을 ‘거꾸로’ 보는 사람들이었어요. 어떤 패턴이든, 어떤 模樣이든 恒常 回轉해보고, 거꾸로 보고, 다양한 角度에서 分析했죠. 이는 (創意性을 기르기 위해) 매우 有用한 戰略입니다.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위클리비즈’, 345쪽)



    그러나 고작 피상만 훑어볼 줄밖에 모르는 눈으로는, 卽 ‘肉眼’의 눈으로는 저 一身우일신하는 웅숭깊은 眼目이 그저 想像으로 꾸며낸 虛構로 여겨질 뿐이겠다. 꼭 孔子가 指摘한 바대로 “小人輩는 天命을 알지 못해 까불어대며, 偉大한 사람들을 업신여기고, 聖人의 말씀에 콧방귀를 뀌곤 한다.”(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 侮聖人之言. 論語, 16:8) 예나 只今이나 다 ‘아는 만큼 보이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눈에 비치는 것을 事實로 여기는 小人輩의 눈으로는 새로운 世界를 創造해낼 수가 없다. 小人輩가 虛構라고 입을 비쭉거리는 저 想像의 領域이야말로 그들 눈에 비치는 ‘事實’ 以上의 것이다. “왜냐하면 그 속에는 創造의 過程이 介入됐기 때문이다. 藝術이나 科學 分野 모두가 그러하다. 아인슈타인은 ‘創造的인 日에는 想像力이 知識보다 더 重要하다’라고 斷言한 바 있다. 피카소는 ‘藝術은 사람들이 眞實을 깨닫게 만드는 거짓말’이라고 했다.”(‘생각의 誕生’, 46쪽)

    비디오아트의 創始者 백남준이 “藝術은 詐欺다”라고 한 말도 여기서 멀지 않다. 卽 想像力이란 單純히 어떤 ‘眞實’을 發見하게 하는 道具가 아니라, 도리어 想像力을 通過함으로써만이 眞實이 構成된다! 이 構成하는 힘을 따로 ‘創意力’이라고 부를 따름이다. 그러니까 孔子는 職場을 求하는 磁場에게, 또 알고 모르는 것의 境界가 흐릿한 弟子 子路에게 創意力의 祕密을 귀띔한 셈이다.

    創意力 없으면 奴隸가 된다

    그런데 創意力이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그만인 것이 아니다. 自律的이고 獨立된 人間, 卽 ‘자유로운 存在’로 살아가기 위한 絶體絶命의 條件이기도 하다. 作家이자 畫家인 폴 호건(1903~95)은 이렇게 말한다.

    想像할 수 없으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없다. 또 自身만의 世界를 創造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이 描寫하고 있는 世界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自己 自身의 눈이 아닌 다른 사람의 눈으로 現實을 보게 된다. 더 나쁜 것은 幻想을 볼 수 있는 洞察力을 갖춘 ‘마음의 눈’을 啓發하지 않는다면 ‘肉體의 눈’으로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는 것이다.(‘생각의 誕生’, 45쪽)

    제 눈으로 제 스스로의 價値를 創造하지 못하면 곧 남의 눈을 빌려서야 世界를 보게 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自由人이 아니라 奴隸에 不過하다! 創意力이 없다면 自己 世界를 만들지 못하고, 自己 世界를 갖추지 못한 사람은 남의 눈을 빌려서 世界를 보게 된다는 폴 豪健의 指摘은 正말 무서운 말이다. 이건 外國의 名品 브랜드를 찾아 헤매는 오늘날 우리들의 行態를 떠올리게 한다. 只今 우리는 ‘남의 눈을 빌리는’ 데 쓸데없이 많은 돈을 消耗하고 있다. 沙漠에서, 정글에서, 地下에서 피땀 흘려 얻은 알土卵 같은 所得을 이른바 ‘名品’에 消費(消耗)하고 마는 오늘날 奢侈 바람의 뿌리가 바로 ‘내 눈이 없다’는 人文學的 命題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제 스스로 名品을 發見(製作)하는 눈을 갖지 못한 사람들은 고작 남이 만들어놓은 ‘名品’ 가방을 둘러메고서 남의 눈길의 被寫體가 되기를 즐기는 奴隸(俗物)의 삶을 사는 것이다. 남의 눈길에 휘둘리고, 남에게 보일 것을 생각하는 肉眼, 卽 皮相的인 눈으로는 애써 노동해 얻은 所得을 고스란히 남에게 갖다 바치고 고작 럭셔리 브랜드 商品을 비싸게 사오는 ‘바보짓’을 면키 어렵다. 더욱 두려운 것은 ‘내 마음의 눈을 啓發하지 못하면 肉體의 눈만으로는 아무것도 볼 수 없으리라’는, 곧 奴隸의 狀態가 持續되리라는 豪健의 警告다. 그렇다면 個案(開眼)은 人間의 本質에까지 닿는 巨大한 問題가 된다.

    要컨대 人文古典 ‘論語’를 제대로 읽으면 創意力이 派生되는데, 그 創意性은 오늘날 ‘큰돈’李 된다! 남의 밑에서 작은 돈으로 延命하고 싶지 않은 自尊心 剛한 사람이라면, 남의 눈에 휘둘리는 奴隸(俗物)로서의 삶을 견디기 어려워하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平生을 두고 大舶을 터뜨릴 野望을 가진 젊은이라면 人文學을 工夫할 일이다. 그 속에서 삶과 經營의 새 모델을 찾아내고 또 그것을 再解釋하는 눈길을 통해 創意力은 싹을 틔우리라. 돌아가는 길 같지만, 實은 가장 가깝고 질러가는 것이 이 길이다(오늘날을 두고 ‘創意力’의 時代로 명명한 사람은 孔子가 아니라 빌 게이츠였다.)

    ‘論語’는 가난을 버텨내는 힘

    그러나 ‘論語’가 어찌 ‘잘살기’에만 쓰이랴. 도리어 苦痛에 處한 人間에게 ‘論語’는 더더욱 必要하다. 불교식으로 하자면 人生 自體가 ‘고해(苦海)’이겠으나, 孔子에게 苦難은 經濟的 困難과 階級的 苦痛, 卽 貧賤(貧賤)李 그 代名詞다. 이 둘 가운데서도 ‘가난’은 오늘날도 사람들이 다 避하고 싶어하는 切迫한 苦痛이다. ‘論語’는 이 가난의 苦痛을 헤쳐나가는 技術을 提示한다.

    어쩌면 ‘論語’의 眞正한 價値는 創意力보다 가난의 苦痛을 이기는 힘을 提供하는데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孔子 스스로가 物質的 苦生을 몹시 甚하게 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제 스스로를 두고 “어려서부터 가난하여 많은 技藝를 익혔노라”(‘논어’ 9:6)라고 했기에 드는 생각이다. 孔子가 가난을 어떻게 對했는지 暫時 살펴보자. 孔子가 天下를 注油하다가 困境에 處하여 따르는 弟子들이 營養失調로 쓰러질 地境에 이르렀다. 이때 弟子 子路가 스승에게 덤빈다.

    子路가 화난 낯으로 孔子를 뵙고 말했다. “君子도 亦是 窮乏하답니까(亦窮)?”

    孔子 말씀하시다. “君子야말로 ‘丁寧 困窮할 줄을’(固窮) 알지. 小人輩들은 窮乏하면 바로 넘치느니라.”(子路·#53784;見曰, “君子亦有窮乎?” 子曰,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 論語, 15:1)

    이 對話에서 注目할 點은 두 사람이 君子(君子)라는 말을 같이 쓰지만 그 意味가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子路에게 君子는 逆宮(亦窮)하는 사람으로, 孔子에게는 古宮(固窮)하는 사람으로 認識된다. 子路가 말한 逆宮(亦是 窮乏하답니까) 속엔 ‘本是 君子는 經濟的으로 가난하지 않다’는 前提가 숨어 있고, 孔子가 말하는 古宮(丁寧 困窮할 줄 안다) 속엔 ‘君子는 富裕함이나 가난함과 상관없는 存在’라는 생각이 깃들어 있다.

    字로의 君子는 요즘 式으로 하면 ‘社會階級論’에 立脚한 存在다. 그는 ‘軍·자’를 元來의 말 뜻 그대로 賃金(君)의 아들(子), 卽 ‘君子=임금의 아들=支配階層’이라는 뜻으로 理解한다. 事實은 이것이 當時 流通되던 君子라는 말의 意味였다. 發掘된 甲骨便들을 보면 “자(子)란 殷나라의 王子들로서 重要한 地域의 統治를 맡고 있었던 사람들을 말한다.”(진순신, ‘中國古跡發掘機’) 그러니까 子路는 當時 通用되던 君子의 말뜻대로 君子=支配階層으로 認識했기에 “君子도 亦是 困窮하답니까?”라고 詰問한 것이다.

    그러나 孔子에게 君子라는 意味는 이와 달랐다. 그는 君子라는 말에 든 階級的 意味를 벗겨내고 새로운 文明社會를 開拓할 英雄의 屬性을 집어넣고자 했다. 卽 孔子의 君子는 支配階級이나 經濟的 富裕와 관계없는 道德的 存在였다. “君子가 人(仁)에서 벗어난다면 어찌 ‘君子’라는 이름을 이룰까!”(君子去仁, 惡乎成名? 論語, 4:5)라는 主張에서도 人(仁·사람다움)을 志向하는 理想的 人格體로서 君子의 意味가 잘 浮刻된 바다. 孔子의 君子는 ‘人’의 實踐者이지 權力階級이나 富貴階層의 뜻이 아니었던 것이다.

    달동네 體質? 貧而樂 體質!

    따라서 孔子의 君子에겐 도리어 貧窮함이 基本條件이기 일쑤였다. 이를 두고 孔子는 “富裕함과 貴函은 모두 바라는 것이지만, ‘나의 길’로 얻은 것이 아니라면 取하지 않는다. 反面 貧困과 薦함은 내 탓이 아닐지라도 벗어나려 애쓰지 않는다”(논어, 4:5)라고 指摘할 수 있었던 것이다. 卽, 外部의 物質的 環境과 相關없이 自身이 이뤄야 할 길(道)을 默默히 實踐해 나아가는 存在가 君子다.

    이것은 널리 알려진 君子의 安貧樂道的 特性과 相通한다. 孔子는 君子란 ‘빈이락’(貧而樂. 論語, 1:15)하는 存在라고 規定하는데, 이는 곧 위의 뜻과 말만 다를 뿐이다. ‘빈이락’은 “가난한데 즐기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世上에! 가난을 즐긴다고?

    “가난한데도 즐길 줄 아는 삶”이란 決코 ‘달동네 體質’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卽 가난을 즐기는, 미친 狀態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도리어 ‘빈이락’이란 가난을 가난으로 여길 겨를이 없음, 또는 物質的 條件이 나의 日常生活을 侵害하지 못함과 같은 ‘경지’를 이른다. 이미 物質的 가난이 내 속의 찌꺼기로조차 存在하지 않는 것이다. 가난의 콤플렉스를 벗어던진 말간 平和의 자리다. 孔子가 提示한 새로운 人間, ‘빈이락’의 君子는 貧富와 같은 物質的 條件과 欲望에서 벗어난 자리에 居處한다. 이때서야 마치 한여름 颱風이 지나간 해맑은 하늘처럼, 티 없고 歪曲 없이 事物을 바로 볼 수 있는 世界가 열린다.

    丁寧 困窮할 줄 아는 存在

    이렇게 ‘君子=빈이락’이라는 等式을 念頭에 두고 子路가 ‘逆宮’이라는 말로 달려들던 대목을 다시 보면, 孔子가 君子를 ‘丁寧 困窮할 줄 아는 存在’(固窮)로 描寫한 데는 깊은 뜻이 들어 있다. 여기 ‘丁寧 困窮하다’고 할 때의 ‘丁寧’(固)이란, 가난할 줄 번연히 알면서도 그 길을 가는 것이다. 또는 富者가 되는 方法을 알면서도 짐짓 가난을 버티며 살아가는 것이다. 燕巖 朴趾源의 作品 ‘許生傳’의 主人公 허생(許生)처럼 얼마든지 돈을 벌 수 있지만, 그것이 나의 참된 즐거움이 아니기 때문에 ‘짐짓’ 가난 속에서 冊을 읽으며 몸을 닦을 따름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古宮’에는, 가난함 或은 富裕함조차 비죽이 微笑 지으며 내려다보는 毅然한 自尊心이 깃들어 있다.

    그렇다면 앞서 創意力의 根源으로서 겹눈을 抽出한 것과 마찬가지로 가난에 對한 눈길도 겹겹이다. 字로의 ‘君子=貧困하지 않음’의 淺薄한 出世論을 오늘날 우리의 가난에 對한 두려움과 같은 자리에 둔다면, 孔子의 ‘君子=富貴와 상관없음’은 ‘가난 속에 즐거움의 境地가 있음’(빈이락)과 同席에 놓을 수 있으리라. 卽 가난은 客觀的이거나 絶對的인 것이 아니다! 가난에도 다양한 켜가 存在한다는 것을, 卽 눈에 따라 가난이 즐거움으로 바뀌는 수도 있다는 것을 ‘論語’로부터 배운다.

    ‘論語’에 따르면 한 가지 事態에 겹겹이 쌓여 있는 켜들을 헤아릴 줄 아는 눈(眼目)을 얻는 것이야말로 ‘客觀的’이고 ‘物質的’인 貧困을 버티는 힘이 된다. 赤貧 속에서도 毅然히 사람다움을 實現하는 힘은 人文(人文)의 웅숭깊은 눈길에서 發火한다. 가난에도 다양한 켜가 있음을 發見하는 눈, 이것이 人文學이요 ‘論語’의 참된 쓰임새다. 亦是 가난마저 지긋이 내려다보는 웅숭깊은 眼目을 기르려는 것이 人文學을 工夫하는 理由다.

    가난도 보는 눈마다 다르다

    그런데 이건 2500年 前 古代社會에서나 있을 법한 虎狼이 담배 피던 이야기가 아닌가. 오늘 21世紀 知識情報社會를 허덕이며 사는 우리에게는 꿈같은 소리가 아닐 터인가. 다음 事例가 이런 質問에 對한 答辯이 될 수 있을까. 지지난해 땅으로 돌아간 農夫 전우익은 가난을 ‘누리며’ 사는 삶 가운데 이런 便紙를 남겼다.

    우린 밥만 먹고 사는 게 아니라 四季節도 먹고 살지요. 季節은 皮膚로, 마음으로, 눈과 코로 마시지요. 누군가 말했어요. 살림살이는 비록 苟且하지만 四季節이 있어 豐盛하다고요.

    눈, 그 차가운 눈이 어째서 마음을 그렇게 포근하게 해주지요? 비는 소리 내며 오는데 눈은 소리 없이 와요. 한 手 위 같아요. 소리치는 것, 소리 없는 것, 어느 쪽이 나아요, 兄은? (전우익, ‘사람이 뭔데’, 현암사, 76쪽)

    전우익은 가난한 渦中에도 ‘사람은 밥만 먹고 사는 存在가 아니라 四季節도 먹고 산다’는 境地를 吐露하고 있다. 이것은 孔子가 提示한 ‘빈이락’의 世界와 全혀 다를 바 없다. 또 그는 입으로 먹는 밥만이 아니라 皮膚로, 마음으로, 눈으로, 코로 먹는 밥에 對해서도 말한다. 고작 입으로 삼키는 것만을 밥으로 아는 우리의 淺薄한 입(마치 자로의 君子論처럼!)에 비하면, 그는 네 個의 입(皮膚, 마음, 눈 그리고 코)으로 四季節을 먹고 있다.

    나아가 비나 눈이나 모두 自然現象이건만, 그中에 또 ‘비보다는 눈이 한 手 위인 것 같다’며 自然物을 細心하게 헤아리는 銳敏한 눈길에서 丁寧 ‘人文의 힘’을 切切하게 느낀다. 소리 내며 쏟아지는 비와 소리 없이 내리는 눈 사이에 差異를 發見하고, 이를 基準으로 삼아 즐거움의 輕重을 헤아리는 전우익의 눈길은 헛된 짓인가.

    겹겹이 듣기, 켜켜이 보기! ‘인생 대박’ 논어의 힘
    裵 柄 三

    1959年 出生

    경희대 政治外交學科 卒業

    경희대 大學院 政治學科(政治學 博士)

    韓國思想史硏究所 硏究員

    現 영산대학교 學部大學 敎授

    著書:‘論語, 사람의 길을 열다’‘ 한글世代가 본 論語’ ‘풀숲을 쳐 뱀을 놀라게 하다’ 等


    萬若 이게 意味 없는 짓이라면, 原豆커피의 原産地를 銳敏하게 甘食하는 입맛이나, 葡萄酒의 出産年度와 出身地를 甘食하는 저 날카로운 혀끝이 돈이 되는 理由는 무엇인가. 農夫로 살다간 전우익의 눈과 비를 區別하는 눈과 特級호텔에서 비싼 돈으로 招聘하는 프랑스 特級 소믈리에의 鑑識眼이 다른 點이란 果然 무엇일까. 전우익은 眼目을 돈과 바꿔먹지 않았던 데 反해 소믈리에는 돈을 좇아 世界를 돌아다닌다는 程度가 아닐까.

    글을 맺자. 于先 ‘論語’를 잘 읽으면 돈이 벌린다! ‘創意力 資本主義’ 時代를 사는 오늘, 創意力의 根源이 人文學이요, 그 人文學의 모델이 古典이라는 等式을 肯定한다면 丁寧 그러하다. 失業과 가난을 버틸 수 있는 힘도 ‘論語’에는 있다. 問題는 눈이다. 富裕함과 苦難을 여러 겹으로 보게 만드는, ‘論語’는 힘이 세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