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구꽃 피었는데도 權力 榮辱 얽힌 昔御堂은 悽然했다|신동아

살구꽃 피었는데도 權力 榮辱 얽힌 昔御堂은 悽然했다

[名作의 祕密]

  • 이광표 西原大 휴머니티敎養學部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24-05-04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仁穆大妃·光海君·仁祖 運命이 얽히고설킨 곳

    • 월산대군 私邸이던 곳… 壬辰倭亂 때 臨時 停戰

    • 光海君이 仁穆大妃 幽閉시켜

    • 仁祖反正으로 앞마당에서 廢位

    봄을 맞은 덕수궁 석어당. [문화재청]

    봄을 맞은 德壽宮 昔御堂. [文化財廳]

    德壽宮엔 늘 사람이 많다. 그中에서도 3月 末~4月 初가 되면 특별하게 더 붐비는 곳이 있다. 살구꽃 핀 昔御堂(昔御堂) 앞이다. 昔御堂은 宮闕의 수많은 殿閣 가운데 唯一하게 2層 建物이다. 그런데 丹靑이 없어 全體的으로 黑褐色 톤이고 가로로 길게 뻗어 있어 外觀이 꽤나 異色的이다. 昔御堂 外觀은 華麗하고 雄壯하다기보다는 무언가 쓸쓸하고 외로워 보인다. 丹靑이 없기 때문일까. 가로로 길게 펼쳐져 있기 때문일까.

    昔御堂 바로 앞에 樹齡 400年이 넘은 살구나무가 있다. 커다란 古木에 살구꽃이 滿發하면 사람들은 살구꽃을 背景으로 昔御堂을 撮影하고, 昔御堂을 背景으로 살구꽃을 撮影한다. 봄밤의 昔御堂 살구꽃에 取하는 사람도 많다.

    언제부턴가 昔御堂은 德壽宮에서 내 발길을 가장 오랫동안 잡아끄는 空間이 됐다. 德壽宮의 正殿(正殿)인 中和殿(中和殿)도 좋고, 近代式 建物인 石造殿(石造殿)이나 정관헌(靜觀軒)도 좋지만 昔御堂은 昔御堂만의 妙한 魅力이 있다. 길게 늘어선 黑褐色 建物은 왠지 보는 이를 쓸쓸하게 한다. 그 쓸쓸함이 보는 이의 발길을 繼續 붙잡고, 華奢한 살구꽃은 昔御堂을 더 쓸쓸하게 한다. 저 쓸쓸함의 正體는 大體 무엇일까. 昔御堂 바로 옆엔 卽祚堂(卽?堂)이 있다. 昔御堂과 卽祚堂 앞에 서면 400餘 年 前 어느 風景이 자꾸만 떠오른다.

    壬辰倭亂 거치며 行宮 된 德壽宮

    德壽宮이 歷史에 登場한 것은 壬辰倭亂 때다. 德壽宮은 애初에 王宮이 아니라 成宗의 兄 月産大君의 私邸(私邸)였다. 1592年 壬辰倭亂이 勃發하자 宣祖(1552~1608, 在位 1567~1608)는 義州로 避亂을 갔다. 말이 避亂이었지, 百姓을 버리고 卑怯하게 逃亡을 간 것이다. 그러자 憤怒한 百姓들이 景福宮과 昌德宮에 불을 질렀다. 그뿐만 아니라 公奴婢, 私奴婢의 文書를 保管하던 掌禮院과 刑曹에도 불을 질렀다. 이듬해인 1593年 戰況이 鎭靜되면서 宣祖 一行은 漢陽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景福宮과 昌德宮이 모두 廢墟가 된 상항에서 王이 머물 空間이 마땅치 않았다. 이에 宣祖는 月産大君의 私邸에 머무르게 됐고, 이곳은 自然스럽게 行宮(行宮·賃金의 臨時 居處) 役割을 했다.

    그 私邸에서 昔御堂과 卽祚堂은 中心 空間이었다. 當時 昔御堂, 卽祚堂이라는 이름은 없었다. 宣祖는 丹靑 없는 2層 建物(只今의 昔御堂)을 停電으로 使用했으며 1608年 이곳에서 昇遐했다. 곧바로 광해군(1575~1641, 在位 1608~1623)李 卽位했다. 當時 光海君의 나이 33歲였고, 異腹同生 영창대군(1606~1614)은 두 살이었다. 光海君의 卽位式은 바로 옆 建物 西淸(西廳·只今의 卽祚堂)에서 擧行됐다. 3年 뒤인 1611年 光海君은 월산대군 私邸를 慶運宮(慶運宮)이라고 명명해 宮闕 地位를 附與했다. 同時에 重建 工事를 마무리한 昌德宮으로 還宮했다.



    光海君의 庶子 콤플렉스, 永昌大君을 죽이다

    光海君이 王位에 오르고 5年이 지난 1613年 異腹同生 永昌大君을 王으로 擁立하려는 逆謀 事件이 일어났다. 이른바 癸丑獄事(癸丑獄事)다. 실은 영창대군 勢力을 除去하기 위해 對北派(大北派) 李爾瞻 等이 造作한 事件. 영창大君이 눈엣가시였던 光海君은 이를 契機로 영창大君을 西人(庶人)으로 降等하고 江華島로 流配 보냈다. 仁穆大妃의 아버지인 金悌男도 處刑했다. 이듬해인 1614年 李爾瞻의 使嗾를 받은 强化府使가 영창大君을 작은 골房에 가두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 그 熱氣로 永昌大君을 죽이는 事件이 發生했다. 이른바 蒸殺(蒸殺)이었다.

    光海君은 庶子(庶子) 出身인 데다 첫째가 아닌 둘째였기에 嫡長子(嫡長子) 出身의 영창大君이 늘 負擔스러웠다. 31살이나 어린 동생이라고 해도 嫡長子는 그 自體로 만만치 않은 存在였다. 영창대군 勢力이 언제든 王位를 빼앗아갈지 모를 일이었다. 이른바 ‘庶子 콤플렉스’였다. 嫡長子 王位 繼承 原則의 朝鮮에서 庶子 出身 賃金이 避해 갈 수 없는 運命이었다.

    庶子 콤플렉스는 光海君의 아버지 先祖로 거슬러 올라간다. 宣祖는 朝鮮의 첫 庶子 出身 임금이었다. 그것이 宣祖의 콤플렉스였다. 그렇기에 壬辰倭亂이 勃發한 1592年 光海君을 世子로 冊封해 놓고도 늘 赤字가 태어나 王位를 繼承해 주길 바랐다. 그 過程에서 宣祖와 光海君 사이의 葛藤은 漸漸 커졌고, 두 사람은 富者(父子) 關係를 넘어 政治的 라이벌로 變해갔다. 그러던 中 1606年 繼妃 인목왕후(1584~1632)가 赤字 영창大君을 낳았다. 영창대군과의 나이 差異는 31살이었지만 光海君에게는 重且大한 狀況 變化가 아닐 수 없었다. 宣祖의 마음은 영창대군 쪽으로 急激히 기울였다. 이를 눈치챈 勢力은 영창대군 앞으로 줄을 섰다. 이른바 소북파(小北派)였다.

    光海君은 不安해졌다. 1608年 先祖의 갑작스러운 昇遐로 千萬多幸 王位에 올랐고, 그때 영창大君의 나이가 不過 두 살이었지만 卽位 後에도 어린 異腹同生을 政治的 라이벌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그런 狀況에서 及其也 영창大君을 除去하기에 이른 것이다.

    昔御堂 앞에서 處地 바뀐 仁穆大妃와 광해군

    조선 말기 문신 김성근이 1905년 쓴 석어당 현판. [이광표]

    朝鮮 末期 文身 金聲根이 1905年 쓴 昔御堂 懸板. [이광표]

    여덟 살의 어린 영창大君이 無慘하게 殺害되자 仁穆大妃(인목왕후)는 衝擊에 휩싸였다. 仁穆大妃와 光海君은 法的으로 帽子(母子) 關係였으나 光海君은 仁穆大妃의 怨讐가 됐다. 光海君은 이제 自身의 生存을 위해 仁穆大妃의 權力까지 除去해야 했다. 及其也 1615年 光海君은 仁穆大妃를 慶運宮 昔御堂에 幽閉했다. 이어 3年 後인 1618年엔 아예 大妃의 자리에서 廢位시켰다.

    壬辰倭亂 때 世子에 올라 아버지 宣祖를 代身해 戰鬪를 이끌고 百姓의 信望을 얻었으며 오랜 기다림 끝에 王位에 올라 實用 中立外交로 卓越한 國際政治力을 發揮한 광해군. 그런 그가 庶子 콤플렉스를 이겨내지 못하고 끝내 폐모살제(廢母殺弟)라는 致命的 덫에 걸린 것이다.

    仁穆大妃는 昔御堂에 갇혀 살았다. 昔御堂은 이렇게 仁穆大妃의 恨이 맺힌 곳이다. 그런데 反戰의 時間이 찾아왔다. 바로 仁祖反正(仁祖反正)이다. 1623年 4月 12日 새벽, 漢陽都城 밖 洪濟院(只今의 홍제동) 近處에 反正의 勢力이 모였다. 光海君과 북인(北人) 中心의 政治로부터 소외당한 西人(西人)이 中心이었다. 이들은 세검정에서 칼을 씻으며 戰意를 다진 뒤 漢陽都城 彰義門(북소문)의 빗장을 부수고 都城 안으로 進擊했다. 그야말로 破竹之勢였다. 이들은 餘勢를 몰아 곧바로 光海君이 있는 昌德宮으로 突進했다. 光海君은 艱辛히 昌德宮 담牆을 넘어 밖으로 逃亡쳤다.

    反正은 손쉽게 成功했다. 反正 勢力은 곧바로 仁穆大妃가 머물고 있는 慶運宮 昔御堂으로 달려갔다. 大妃의 承認을 받기 위해서였다. 仁穆大妃는 “光海君과 强化府使의 목을 잘라 昔御堂 처마에 매달지 않고선 慶運宮을 나갈 수 없다”고 외쳤다. 光海君에 依해 아버지와 아들을 잃은 仁穆大妃의 한 맺힌 목소리가 慶運宮에 쩌렁쩌렁 울렸다. 그러나 “廢位된 王은 죽이지 않는 法”이라는 臣下들의 挽留에 따라 죽이겠다는 마음을 거두었다.

    光海君은 反正軍에 붙잡혀 昔御堂 앞으로 끌려왔다. 仁穆大妃는 昔御堂 앞마당에 光海君을 꿇어앉히고 폐모살제 等 36가지 罪를 물어 王에서 廢位시켰다. 光海君은 江華島로 流配되고 反正 다음 날 人組(1595~1649, 在位 1623~1649)는 昔御堂 옆 卽祚堂에서 王位에 올랐다.

    엄청난 反轉(反轉)이다. 自身이 廢位한 인목大妃 앞에서, 그것도 幽閉의 空間 昔御堂 앞마당에서 仁穆大妃에게 무릎 꿇고 머리를 조아릴 것이라고 光海君은 생각이나 했을까. 昔御堂에 幽閉된 仁穆大妃가 切齒腐心(切齒腐心) 再起를 노리긴 했지만 이렇게 完璧하게 復讐할 수 있으리라 생각이나 했을까. 朝鮮 政治史에서 이보다 더 劇的인 反轉은 없을 것이다.

    昔御堂과 卽祚堂은 이렇게 드라마틱한 空間이다. 光海君에 依해 幽閉되고 廢位된 仁穆大妃가 갇혀 지낸 곳, 그 仁穆大妃가 光海君을 무릎 꿇리고 王位에서 끌어내린 곳, 光海君이 卽位하고 廢位된 곳, 光海君을 쫓아낸 仁祖가 卽位한 곳. 광해군, 仁穆大妃, 仁祖의 惡緣이 얽히고설켜 있으니 한便으론 무시무시하고, 한便으로 悽然하고 쓸쓸하다.

    英祖가 이름 붙인 昔御堂과 卽祚堂

    석어당 2층에서 내려다본 살구꽃. [문화재청]

    昔御堂 2層에서 내려다본 살구꽃. [文化財廳]

    德壽宮 昔御堂은 中和殿 뒤便에 있다. 昔御堂 바로 왼쪽 뒤便에 卽祚堂과 준명당(浚明堂)이 있다. 卽祚堂과 준명당은 芸閣(雲閣·다락집 複道)으로 連結돼 있다. 그런데 昔御堂과 卽祚堂이란 이름이 붙게 된 來歷이 多少 複雜하다.

    丹靑 없는 2層 建物(昔御堂)은 1593年 宣祖가 行宮으로 使用할 때부터 存在했다. 그때는 宮闕이나 査察이 아니라 월산대군 私邸(民家)였기에 丹靑을 할 수 없었다. 애初부터 살림집 雰圍氣였던 셈이다. 宣祖는 15年 동안 이 建物을 停電으로 삼았고, 1608年 이곳에서 숨을 거두었다. 바로 옆 卽祚堂에서 卽位한 光海君도 1611年 昌德宮으로 還宮할 때까지 이곳 昔御堂에서 執務를 보았다.

    以後 仁穆大妃는 1615年 昔御堂에 幽閉돼 8年 동안 갇혀 지냈다. 그러나 1623年 仁祖反正으로 光海君은 昔御堂 앞으로 끌려와 廢位됐고 다음 날 仁祖는 그 옆 卽祚堂에서 王位에 올랐다. 16世紀 末~17世紀 初 激變의 時期에 慶運宮은 熾烈한 權力 鬪爭의 現場이었고, 昔御堂과 卽祚堂이 그 核心 空間이었다.

    그런데 그 當時에 이 두 建物은 특별한 이름이 없었다. 昔御堂은 停電으로, 卽祚堂은 西淸으로 불렸을 뿐이다. 두 建物에 이름을 붙여준 사람은 英祖였다. 영조는 1769年 왼쪽 建物에 卽祚堂이란 이름을 붙였다. 卽祚는 임금이 卽位한다는 뜻. 두 名의 王(光海君과 人組)李 卽位한 곳이니 그 意味가 각별하지 않을 수 없었다. 4年 뒤인 1773年 영조는 ‘昔御堂’이라는 御筆 懸板을 하사해 卽祚堂에 걸도록 했다. 卽祚堂의 이름을 昔御堂으로 바꾼 것이다. 昔御堂은 ‘옛 임금이 머물던 집’이라는 뜻. ‘옛 임금이 卽位한 곳’이라는 意味에서 ‘옛 임금이 머물던 곳’이라는 意味로 바꾼 것인데, 그 差異는 무얼까. 英祖는 왜 이렇게 이름을 바꾸었을까.

    大韓帝國의 힘겨운 來歷까지

    그러곤 100餘 年이 흘렀다. 昌德宮과 景福宮에서 온갖 波瀾을 經驗한 高宗은 1897年 大韓帝國을 宣布하면서 慶運宮을 統治 空間으로 삼았다. 그러나 그 무렵 帝國의 皇宮으로 活用하기에 慶運宮은 不足하고 矮小했다. 그래서 高宗은 于先 只今의 卽祚堂(當時는 昔御堂)의 이름을 태극당(太極堂)으로 바꾸어 皇帝 卽位式을 擧行하고 大韓帝國의 停戰 建物로 使用했다. 또한 그 옆에 준명당을 새로 지었다. 1年 뒤인 1898年엔 태극당에서 中和殿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4年 뒤인 1902年 中火田에서 卽祚堂으로 元來 이름을 되찾았다. 代身 새롭고 크게 中和殿 建物을 새로 지었다(이 建物이 只今의 德壽宮 중화전이다). 이 過程에서 2層짜리 丹靑 없는 建物은 昔御堂이란 이름을 얻었다.

    昔御堂과 卽祚堂은 1904年 火災로 消失됐다. 當時 慶運宮에 大火災가 發生해 殿閣 大部分이 불에 탔다. 이때 高宗은 昔御堂과 卽祚堂을 가장 먼저 再建할 것을 指示했고, 이 德分에 1905年 昔御堂과 卽祚堂이 重建됐다. 그런데 이 過程에서 昔御堂의 形態가 多少 變했다. 平面이 一字形에서 ㄴ字形으로 바뀐 것이다. 1935年 中搜 工事를 했고 그 過程에서 建物은 ㄴ字形에서 一字形으로 다시 變形됐다. 그 모습이 只今의 昔御堂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慶運宮은 1907年 德壽宮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살구꽃 피면 더 悽然한 곳

    고종이 1905년 직접 쓴 즉조당 현판. [이광표]

    高宗이 1905年 直接 쓴 卽祚堂 懸板. [이광표]

    昔御堂은 現在 1層은 正面 8칸에 側面 3칸, 2層은 正面 6칸에 側面 1칸이다. 大廳 앞쪽 두 칸은 開放하고 그 兩옆은 모두 窓戶를 달았다. 왼쪽 房 內部에 2層으로 오르는 階段이 있다. 2層은 칸막이 없이 房 하나로 트여 있다. 現在 昔御堂의 1層에는 高宗의 御筆 懸板이 걸려 있으며 2層에는 1905年 重建 當時 金聲根이 쓴 懸板이 걸려 있다. 卽祚堂에는 高宗 어필의 懸板이 걸려 있다.

    昔御堂과 卽祚堂을 보면 그 來歷이 多少 複雜하고 이름도 자주 바뀌었다. 애初 宮闕로 造成된 것이 아니었기에, 그것도 戰亂의 渦中에 私邸를 行宮으로 使用했기에 벌어진 일이다. 慶運宮의 歷史에서 17世紀 初는 가장 드라마틱했다. 昔御堂과 卽祚堂은 17世紀 初 熾烈한 權力鬪爭의 現場이었다. 丹靑 없는 2層짜리 昔御堂은 그 外觀과 雰圍氣에서 17世紀 初의 悲劇과 잘 어울린다. 처마와 壁體 等의 짙은 黑褐色. 가로로 쫙 펼쳐진 建物. 異色的이면서도 어딘가 쓸쓸하다. 丹靑 없음의 아름다움은 妙하게도 權力의 無常함을 느끼게 한다. 그 痕跡이 凄然한 아름다움으로 다가온다. 昔御堂의 시커먼 처마와 木材를 背景으로 粉紅빛 살구꽃은 더 鮮明하게 드러난다. 그래서 더 아름답고 더 아련하다. 저 살구꽃은 400餘 年 前 光海君과 仁穆大妃의 悲劇的 因緣을 다 알고 있는 것일까.

    明暗이 짙게 엇갈리는 反轉의 空間, 昔御堂과 卽祚堂. 그 앞에 서면 萬感이 交叉한다. 인목大妃 앞에 무릎 꿇은 光海君의 모습이 떠오른다. 權力의 榮辱이, 人間의 삶과 죽음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옆에 붙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權力者들의 運命이 얽히고설킨 곳, 그래서 限없이 쓸쓸해지는 곳. 살구꽃이 피면 昔御堂은 더 悽然해진다.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