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想像力의 보고 新羅 金冠|新東亞

名作의 祕密

想像力의 보고 新羅 金冠

‘다빈치코드’ 같은 致命的 誘惑의 스토리텔링

  • 이광표 西原大 敎養大學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19-10-12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세련되고 獨特한 造形美, 華麗한 裝飾과 黃金빛 燦爛함…. 韓國을 代表하는 文化財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新羅 金冠이 빠질 수 없다. 古墳 盜掘을 避했고, 展示室에 侵入한 盜難犯의 魔手도 避해온 金冠. 純度 90%에 肉薄하는 金冠은 보는 이를 신비로움과 궁금症에 빠뜨린다. 金冠은 누구 것인지, 實際로 着用했던 것인지, 저 特異한 模樣은 어디서 온 것인지. 最近 들어 金冠 硏究가 부쩍 늘어났지만, 專門家들의 意見은 各各 다르다. 왜 그런 것일까.
    황남대총 금관.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皇南大塚 金冠. [국립중앙박물관 提供]

    1927年 11月 10日 밤, 朝鮮總督府博物館 競走分館(只今의 國立慶州博物館)에 怪漢이 侵入했다. 그는 陳列室 자물쇠를 부수고 들어가 金冠塚(金冠塚)에서 出土된 純金 허리띠와 裝飾物(現在 國寶 第88號) 等 禁制 遺物을 몽땅 털어갔다. 그런데 神奇하게도 金冠에는 손도 대지 않았다. 6個月이 지났건만 搜査에 進展이 없고 事件은 迷宮으로 빠져들었다. 그러던 中 1928年 5月 어느 새벽, 慶州警察署腸 官舍 앞을 지나던 한 老人이 異常한 褓따리 하나를 發見했다. 열어보니 燦爛한 黃金빛 遺物, 바로 그 盜難品들이었다. 

    犯人은 이미 蹤跡을 감춘 뒤였다. 이때 禍를 면했던 金冠塚 出土 金冠(5世紀, 現在 國寶 87號)은 1956年 結局 受難을 겪고 말았다. 國立慶州博物館에 또 侵入者가 들이닥친 것이다. 犯人은 1927年과 달리 이番엔 다른 禁制 遺物에 손도 대지 않았고 金冠塚 出土 金冠 한 點만 훔쳐갔다. 千萬多幸 그게 模造品이었다. 金冠塚 金冠은 그렇게 劇的으로 살아남았다.

    金冠의 美學

    2013년 10월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서 ‘황금의 나라, 신라(Silla Korea’s Golden Kingdom)’ 특별전 프리뷰 행사가 열렸다. [뉴시스]

    2013年 10月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에서 ‘黃金의 나라, 新羅(Silla Korea’s Golden Kingdom)’ 特別展 프리뷰 行事가 열렸다. [뉴시스]

    1997年 英國 런던 브리티시 博物館(一名 大英博物館) 韓國室 開館 記念展에 金冠塚 金管이 出品됐다. 當時 保險가 50億 원이었다. 2013年 美國 뉴욕 메트로폴리탄 博物館에서 ‘黃金의 나라 新羅’ 特別展이 열렸다. 이때 皇南大塚(皇南大塚) 金冠(5世紀, 國寶 191號)李 出品됐다. 이 金冠 保險價는 100億 원. 누군가는 “대단한 額數”라며 놀라워했고 누군가는 “너무 적게 策定된 것 아니냐”며 아쉬워했다. 하지만 英國과 美國 公共機關이 金冠 安全을 保障했기에 굳이 數百億 원짜리 保險에 加入할 必要는 없었다. 어쨌든 이 消息에 世人들은 大體로 “亦是 金冠이군”이란 反應을 보였다. 

    現在 傳해오는 純金製 金冠은 總 8點. 이 가운데 6點이 5∼6世紀 新羅 것이고, 나머지 2點은 伽倻 金冠이다. 忠南 公州의 백제 武寧王陵(武?王陵)에서 王과 王妃 禁制 館長食餌 나왔으나 金冠은 나오지 않았다. 우리가 博物館에서 자주 만나는 官은 大部分 金銅冠이다. 

    新羅 金冠 6點은 各各 皇南大塚 북분 出土 金冠, 金冠塚 出土 金冠, 瑞鳳塚(瑞鳳?) 出土 金冠(5~6世紀, 寶物 339號), 金鈴塚(金鈴塚) 出土 金冠(6世紀, 寶物 338號), 天馬塚(天馬塚) 出土 金冠(6世紀, 國寶 188號), 교동古墳(校洞古墳) 出土 金冠(5世紀)이다. 모두 慶州 都心의 新羅 古墳에서 出土됐다. 교동 金冠을 除外하면 形態가 모두 비슷하다. 나뭇가지 模樣 裝飾(出資型出字形 裝飾) 3個와 사슴뿔 模樣 裝飾 2個를 冠테에 덧대 金못으로 固定하고, 曲玉(曲玉·곱은玉)과 달개(얇은 쇠붙이) 等으로 裝飾했다.



    3代 古墳 發掘

    新羅 金冠이 처음 確認된 것은 1921年 9月 23日, 慶北 慶州 노서동의 한 집터 工事 現場에서였다. 當時 人夫들의 申告를 받은 朝鮮總督府 職員들은 곧바로 調査에 들어갔다. 封墳이 毁損된 古墳 속에서 金冠을 비롯해 새 날개 模樣의 官帽 裝飾, 禁制 허리띠와 裝飾, 禁制 목걸이 귀고리, 琴童 신발 等 200餘 點의 遺物이 出土됐다. 이 무덤은 主人公이 確認되지 않아 代表的 遺物인 金冠의 이름을 따 金冠塚이라고 부르게 됐다. 慶州 地域 住民들의 希望에 따라 1923年 10月 慶州에 慶州遺物陳列館을 지어 金管 等 出土遺物을 常時 公開했다. 사람들은 이 陳列館을 金冠高(金冠庫)라고 불렀다. 金冠고는 以後 朝鮮總督府博物館 競走分館을 거쳐 只今의 國立慶州博物館으로 發展했다. 

    1924年 金鈴塚에서도 金管이 發見됐다. 무덤에서 禁令(金鈴·金방울)李 나왔다고 해 이런 이름이 붙은 곳이다. 1926年 瑞鳳塚에서 또다시 金冠이 나왔는데, 瑞鳳塚 發掘은 그 事緣이 좀 獨特하다. 1926年 發掘 當時 韓國을 訪問 中이던 스웨덴의 皇太子이자 考古學者인 구스타프가 發掘에 直接 參與했다. 무덤 이름도 여기서 由來했다. 皇太子의 發掘 參與를 記念해 스웨덴의 漢字 表記인 서전(瑞典)에서 서(瑞)자를 땄다. 또 이 古墳에서 出土된 金冠에 鳳凰(鳳凰)과 비슷한 새가 裝飾돼 있다고 해서 鳳(鳳)字를 붙였다. 

    光復 後에도 慶州를 비롯한 全國 곳곳에서 古墳 發掘이 이어졌다. 그러나 體系的이고 本格的인 發掘은 1970年代에 始作됐다. 1970年代는 韓國 古墳 發掘社에 길이 남을 時期라고 할 수 있다. 韓國의 3代 古墳 發掘로 일컬어지는 武寧王陵(1971), 天馬塚(1973), 皇南大塚(1973~1975) 發掘이 모두 이때 이뤄졌다. 武寧王陵에선 6世紀 百濟 遺物 4600餘 點이 쏟아져 나왔다. 天馬塚과 皇南大塚에서는 5~6世紀 新羅 遺物이 各各 1萬1000餘 點과 5萬8000餘 點 發掘됐다. 이러한 大規模 古墳 發掘 調査는 以後 只今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慶州 古墳의 祕密

    1973년 천마총 발굴 당시 모습. [이광표 제공]

    1973年 天馬塚 發掘 當時 모습. [이광표 提供]

    考古學者와 考古學 人夫들이 發掘을 위해 古墳을 열고 들어가면 盜掘꾼들이 훑고 지나간 境遇가 許多하다. 담배꽁초와 燒酒甁, 甚至於 컵라면 勇氣가 發見되기도 한다. 그런 古墳은 大部分 內部가 石室(石室)로 이뤄져 있다. 널찍한 돌로 房을 만들고 屍身과 副葬品을 安置한 境遇다. 盜掘꾼들은 흙을 조금 파고 石室 안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安全하게 遺物을 빼낼 수 있다. 

    우리나라 古墳의 相當數가 이런 方式으로 盜掘됐다. 그런데 5~6世紀 新羅 古墳만 只今까지 남아 있는 理由는 뭘까. 天馬塚, 皇南大塚 같은 慶州 市內 大型 古墳은 積石木管分(積石木槨墳·돌무지덧널무덤)이다. 屍身을 넣은 木棺과 副葬品을 安置한 뒤 그 위에 木槨(木槨)을 設置하고 그 위를 엄청난 量의 돌로 촘촘히 쌓은 뒤 다시 흙으로 둥글게 封墳(封墳)을 다져 만든 무덤이다. 

    公式的으로 發掘할 때는 古墳 위부터 열고 들어간다. 하지만 盜掘꾼들은 남의 눈을 避해 主로 古墳 아래쪽에 사람 한 名이 通過할 만한 구멍을 뚫고 들어가 棺 속 遺物을 훔쳐간다. 積石木管分은 그것이 不可能하다. 구멍을 뚫으려면 棺 위에 無數히 쌓여 있는 돌의 一部를 빼내야 한다. 問題는 돌을 뽑아내면 그 위에 쌓여 있는 수많은 돌이 밑으로 쏟아져 내려 盜掘꾼이 돌에 깔려 죽게 된다는 것이다. 積石木管分은 이처럼 外部人이 侵入할 수 없는 構造로 돼 있다. 特異하게도 積石木槨墳은 5~6世紀 新羅에서만 나타난다. 1500餘 年 前 新羅人들은 自身들의 무덤에 後날 누군가 侵入하는 것을 極度로 꺼렸던 게 아닐까. 慶州 市內엔 大型 古墳이 櫛比하지만 現在까지 公式 發掘된 古墳은 몇 곳 안 된다. 또 다른 巨大 古墳을 發掘한다면 天馬塚, 皇南大塚 못지않게 엄청난 遺物을 吐해낼 것이 分明하다.

    金冠을 머리에 썼다고?

    史劇을 보면 新羅王이 金冠을 쓰고 나온다. “金冠이니까 帽子처럼 머리에 썼겠지”라는 생각에서 비롯한 想像이다. 實際로는 金冠 用途에 對한 記錄이 어디에도 없다. 마땅한 證據物을 찾기도 어려운 形便이다. 甚至於 金管이 實用品인지, 非實用品인지조차 意見이 갈린다. 

    여기서 實用品이라고 하면 新羅王이 特定 意識에서 이 金冠을 直接 着用했음을 의미한다. 非實用品이라고 하면 實生活에서 使用하지 않고 죽은 者의 靈魂을 기리고자 葬送儀禮用品으로 副葬했음을 의미한다. 卽 實用品=儀式用, 非實用品=葬送儀禮用이다. 

    一旦 實用品이 아니라고 하는 見解의 根據를 알아보자. 첫째, 金冠은 너무 弱한 데다 지나치게 裝飾이 많아 實際 着用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點. 金冠은 얇은 금판을 오려 붙여 만들었다. 冠테에 固定한 세움 裝飾이 매우 弱하고 不安定하다. 머리에 金冠을 쓸 境遇 조금만 움직여도 세움 裝飾이 꺾일 程度라고 한다. 

    둘째, 마감이 깔끔하지 않은 點. 新羅 金冠은 全體的인 디자인이나 造形美가 대단히 뛰어나고 세련됐다. 그러나 마감이 엉성하다. 王이 使用하는 것이라면 新羅 匠人들이, 精巧하기 짝이 없는 金목걸이와 金귀고리를 만들었던 그 솜씨를 發揮해 마감까지 매끄럽게 해놓았을 것이라는 見解다. 

    셋째, 金冠과 함께 出土된 裝身具 가운데 비실用品이 있다는 點. 代表的인 것이 大型 金銅신발이다. 이것을 사람이 實際로 着用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金冠도 마찬가지라는 말이다. 

    넷째, 金冠의 出土 狀況. 皇南大塚 發掘 當時 金冠은 죽은 사람(무덤 主人公) 머리 위에 씌워져 있지 않았다. 얼굴을 모두 감싼 모습으로 出土됐다. 金管 아래쪽 둥근 테는 무덤 主人公 얼굴의 턱 附近까지 내려와 있었다. 金管 위쪽 세움 裝飾(나뭇가지나 사슴뿔 模樣)도 끝이 모두 머리 위쪽 한 곳에서 묶여 고깔처럼 보였다. 卽 얼굴 全體를 뒤집어씌운 形態였다. 이는 新羅 金冠이 實用品이 아니라 葬送儀禮品임을 보여준다는 見解다. 

    反面 金管이 儀式用 實用品이었다는 意見도 만만치 않다. 金管이 비록 弱하기는 하지만 천이나 가죽 等에 附着하는 形態로 使用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見解다. 한 民俗學者는 “新羅 金冠을 副葬品 葬禮用品으로 보는 것은 植民史觀의 一種”이라도 批判하기도 했다. 그는 “王冠은 元來 儀式用이다. 着用의 便利함과는 距離가 멀다. 神聖性(神聖性)을 强調하는 것이라 굳이 實用的으로 製作할 必要가 없다”고 强調했다.

    金冠의 主人은 누구?

    金管이 實用品이었든 葬送儀禮用品이었든, 사람들은 大部分 新羅王이 金冠의 主人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果然 그럴까. 金冠의 主人이 王이려면 金管이 出土된 古墳이 王의 무덤이어야 한다. 그러나 王의 무덤으로 밝혀진 境遇는 아직 없다. 王陵級으로 推定할 뿐이다. 

    發掘이 이뤄진 우리나라 古代(古代) 古墳 가운데 主人公이 確認된 것은 백제 武寧王陵뿐이다. 다른 古墳에는 ○○王陵이라는 이름을 붙일 수 없어 金冠塚, 天馬塚, 皇南大塚 等으로 부르는 것이다. 

    金管이 出土된 皇南大塚 북분(北墳)을 보자. 皇南大塚은 東西 80m, 南北 120m, 높이 22m에 이르는 國內 最大 規模 古墳이다. 南北으로 무덤 두 個가 붙어 있는 雙墳이며 夫婦 무덤일 可能性이 크다. 100% 物證이 있는 건 아니지만 奈勿王(내물麻立干) 夫婦墓라는 推定이 支配的이다. 흥미로운 건 男性 무덤인 남분이 아니라 女性 무덤인 북분에서 金冠이 나왔다는 點이다. 男性 무덤에서는 그보다 級이 낮은 金銅冠과 銀冠이 나왔다. 이 무덤이 築造된 5世紀 前後 新羅엔 女王이 없었으니 皇南大塚은 女王의 무덤일 수 없다. 그렇다면 皇南大塚 金冠의 主人公이 王妃日 수는 있어도 王은 아니라는 말이다. 

    學界에서는 “瑞鳳塚 金冠의 主人公이 女性일 可能性이 높다”는 主張도 나온다. 金鈴塚에서 나온 金冠은 지름이 16.5cm로 작은 便이다. 成人用이 아니다. 그 主人公이 어린아이라면 아마 王子였을 可能性이 높다. 新羅의 金冠 하면 우리는 普通 王의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發掘 結果는 그렇지 않다. 

    好奇心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金冠의 起源을 두고도 意見이 다양하다. 스키타이 騎馬民族 文化의 影響을 받았다는 主張, 시베리아 샤먼의 風俗에서 왔다는 主張, 古朝鮮 初期부터 이어온 韓民族 固有의 樣式이라는 主張 等 그 幅이 相當히 넓다. 나뭇가지 裝飾을 두고도 意見이 많다. 生命水(生命樹)라는 見解가 있고, 慶州 鷄林(鷄林)의 숲을 形象化했다는 見解도 있다. 桂林은 김알지 誕生 說話가 서려 있는 慶州 都心의 오래된 숲이다.

    曲玉과 나무裝飾의 숨은 뜻

    新羅 金冠 表面엔 翡翠로 만든 曲玉이 多數 裝飾돼 있다. 大體로 曲玉은 永遠한 生命을 象徵한다고 여겨지지만, 具體的으로 들어가면 意見이 紛紛하다. 龍을 單純化해 表現한 것으로 보는 이가 있고, 子息을 象徵한다고 보는 이도 있다. 後者의 見解를 主張하는 사람들은, 曲玉이 많이 달려 있는 金冠은 子息을 많이 나은 王의 것이고 曲玉이 없는 金冠은 子息 없는 王의 것이라고 한다. 勿論 이러한 主張에 客觀的이고 뚜렷한 根據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少年의 것으로 推定되는 金鈴塚 金冠에만 曲玉이 없는 點을 보면 이 主張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이 밖에도 新羅 金冠의 主人이 무당이나 祭司長이라고 보는 見解도 있다. 瑞鳳塚 金冠의 製作年代를 두고도, 大體로 5~6世紀 것으로 보지만, 624年 眞平王 때 만든 것이라는 主張이 있다. 金冠에 對한 意見은 最近 10餘 年 사이에 旺盛하게 提示되고 있다. 하나하나의 見解가 모두 興味롭다. 따라가 보면 다 一理가 있다. 그런데 한 발짝 떨어져 밖에서 바라보면, 지나치게 主觀的인 陷穽에 갇혀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硏究가 늘어날수록 더 複雜해지는 形局이라고 할까. 

    國立慶州博物館이 金冠의 純度를 調査한 적이 있다. 이에 따르면 교동 金冠 88.8%, 皇南大塚 金冠 86.2%, 金冠塚 金冠 85.4%, 天馬塚 金冠 83.5%, 金鈴塚 金冠 82.2%, 瑞鳳塚 金冠 80%였다. 그 結果가 많은 사람을 놀라게 했다. “正말로 純金이었구나.” 

    純金製 金冠은 우리 古代史에서 그 以前에도 없었고 그 以後에도 없었던, 게다가 죽은 者의 무덤에서 나온, 獨特하고 세련된 模樣의 遺物이다. 金冠은 그 自體로 신비롭다. 考古學者, 歷史學者, 美術史學者, 民俗學者 等 多樣한 分野 專門家들을 好奇心 속으로 빨아들인다. 그들은 資料를 찾고 想像도 한다. 다빈치코드 같은 象徵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렇기에 金冠은 想像力의 報告다. 그런데 그 想像力의 誘惑은 때론 致命的이다.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