認知不調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認知不調和 (cognitive dissonance)는 自身의 態度와 行動이 一貫되지 않고 矛盾되어 兩立할 수 없는 狀態이다.

正義 [ 編輯 ]

心理學에서, 認知不調和란 두 가지 以上의 反對되는 믿음, 생각, 價値를 同時에 지닐 때 또는 旣存에 가지고 있던 것과 反對되는 새로운 情報를 接했을 때 個人이 받는 精神的 스트레스나 不便한 經驗等을 말한다. 레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의 認知 不調和 理論은 사람들의 內的一貫性에 焦點을 맞췄다. [1] 不一致를 겪고 있는 個人은 心理的으로 不便해질 것이며, 이런 不一致를 줄이고자 하거나, 不一致를 增加시키는 行動을 避할 것이다. 個人이 이러한 認知不調和를 겪을 때 攻擊的, 合理化, 退行, 固着, 諦念과 같은 症狀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2]

認知不調和 理論 [ 編輯 ]

認知不調和는 사람들이 自身의 態度와 行動 따위가 서로 矛盾되어 兩立할 수 없다고 느끼는 不均衡 狀態를 가리키며 이러한 脈絡에서 認知不調和理論(cognitive dissonance theory)은 사람들이 自身의 態度와 行動 等이 서로 矛盾되어 兩立될 수 없다고 느끼는 不均衡 狀態가 되었을 때, 이를 解消하기 위해서 自身의 認知(態度)를 변화시켜 弔花 狀態를 維持하려 한다는 主張이다. 이를 自己合理化 라고 한다.

인지 間의 關係 [ 編輯 ]

인지 間의 關係는, 두 個의 認知들의 關係와 人指와 行動의 關係로 整理할 수 있다. [1] 이러한 認知間의 關係에서 個人들은 그들의 態度나 行動을 여러 方法을 통해 調節할 수 있다.

人指와 行動이 一致할 境遇 - 두 認知나 行動이 다른 하나와 關聯이 있을 때
人指와 行動이 無關할 境遇 - 두 認知나 行動이 다른 하나와 關聯이 없을 때
人指와 行動이 不一致할 境遇 - 두 認知나 行動이 다른 하나와 反對될 때

認知不調和의 强度 [ 編輯 ]

두 個의 反對는 人指와 行動으로부터 오는 不調和의 程度는 두 가지 要因에 달려있다.

1. 認知의 重要性: 더 重要한 價値에 重點을 두고, 그에 따라 不調和의 强度가 커진다.
2. 認知의 比重: 不一致하는 要素가 차지하는 比重

위에서 言及한 認知 不調和의 强度에 따라 認知 不調和를 줄이고자 하는 行動이 나타날 수 있다. [1]

認知不調和를 감소시키는 方法 [ 編輯 ]

認知不調和 理論은 個人이 그들의 經驗과 現實사이에서 一致를 追求할 것이라는 家庭으로 始作되었다. 이런 理由로 사람들은 그들의 認知나 行動을 다른 것과 一致시키기 위해 不一致를 解消하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努力은 사람들에게 緊張과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레온 페스팅거의 말에 따르면 네 가지 方法으로 不調和를 줄일 수 있다. [1]

例를 들어, 어떤 사람이 더 以上 술을 먹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나 燒酒 한 甁을 마셨다. 이 때 不調和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方法을 使用한다.

1.行動을 바꾼다. (燒酒를 더 以上 마시지 않는다.)
2.印紙를 바꾼다(행동을 正當化한다). (조금씩은 마셔도 相關없다.)
3.새로운 印紙를 통해 行動이나 印紙를 正當化한다. (適當量의 술은 身體에 肯定的이다.)
4.가지고 있는 믿음에 依한 情報를 無視하거나 否定한다. (燒酒는 술이 아니다.)

理論과 硏究結果 [ 編輯 ]

페스팅거의 實驗에 依하면, 大部分의 認知不調和 硏究는 主要한 네 가지의 패러다임의 形態를 取한다. [3]

믿음/불일치 패러다임 [ 編輯 ]

不調和는 사람들이 그들의 믿음에 符合하지 않는 情報에 直面했을 때 느끼는 狀態이다. 萬若 不調和를 겪고 있는 者가 自身의 信念의 變化로써 不調和가 解消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 自身과 비슷한 사람들을 찾고, 다른 사람들을 說得하려는 試圖를 통해 不調和를 解決할 것이다. [4] 認知不調和의 初期段階는 1956年 레온 페스팅거의 冊에서 나타난다. 冊에선 UFO着陸에 對한 豫言이 잘못된 豫言이었을 때, 信徒들의 變化를 說明한다. 信徒들은 定해진 時間에 定해진 場所에서 만났고, 그들만이 地球의 破壞로부터 살아남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豫言時間이 되었을 때,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信徒들은 甚한 認知不調和를 겪었다. 그러나 信徒들은 反對되는 現實을 否定하기 위해 不調和를 받아들이게 된다. 그들은 外界人들이 地球에 두番째 機會를 준다고 믿었고, 外界人들이 地球를 망치는 일을 두라는 말을 傳하라고 했다고 主張했다. 이 宗敎團體는 豫言에 失敗하지만 더욱 사람들에게 改宗을 勸誘하기 始作했다.

믿음/불일치 패러다임 漫畫

誘導된 服從 패러다임 [ 編輯 ]

레온 페스팅거는 1959年 實驗에서 學生들에게 지루한 일을 하도록 付託했다. 그리고 이 일은 學生들이 剛하고 否定的 態度를 갖도록 設計되었다. 實驗 前에, 레온 페스팅거는 몇몇 學生들에게 이 일을 한 後에, 이 일을 肯定的인 일이라고 認識하라고 指示했다. 다른 몇몇 學生들에게는 이 일이 매우 흥미롭다고 다른 實驗者들을 說得하라고 指示했다. 肯定的으로 認識하라는 指示를 받은 集團은 20달러를 받았고, 說得을 指示받은 集團은 1달러를 받았다. 아무런 指示를 받지 않은 集團은 다른 報償이 없었다.

硏究結果 1달러를 받은 集團이 20달러를 받은 集團보다 훨씬 더 肯定的으로 일에 對해 評價했다. 그리고 1달러를 받은 集團은 누군가에게 이 일이 재밌다고 說得하면서, 지루하다는 것을 더욱 明確히 느꼈고 이 過程에서 認知不調和를 經驗했다고 말했다. 이는 1달러를 받은 集團만이 그 態度를 갖도록 要求받았기 때문이다. 反面, 20달러를 받은 集團은 行動을 外部正當化했다. 다시 말해 態度에서 비롯된 行動이 아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1달러를 받은 集團에 비해서 認知不調和를 相對的으로 적게 經驗하게 되었다. [5]

레온 페스팅거의 '誘導된 服從 패러다임' 實驗 結果 票

또, 誘導된 服從 패러다임의 다른 實驗이 있다. 1963年 아른슨과 칼스미스에 依해 進行되었는데, 장난감을 利用해 아이들의 正當化를 알아보는 實驗이었다. 이 實驗에서, 아이들은 그들이 願하는 장난감을 包含해, 다양한 장난감이 있는 房에 남겨진다. 實驗者들은 被實驗者人 아이들의 折半에게 萬若 특정한 장난감을 가지고 놀 境遇 甚한 體罰이 있을 것이라고 警告했고, 反面,다른 折半에게는 가벼운 體罰이 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實驗에서 모든 아이들은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을 꺼려했다. [6] 그 다음, 아이들에게 모든 장난감을 자유롭게 가지고 놀아도 된다고 許諾했다. 特異하게도, 가벼운 體罰을 받는다고 말했던 集團에서 장난감을 덜 가지고 놀았다. 이 實驗에서, 가벼운 威脅을 받은 아이들은 自身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않은 理由가 體罰때문이 아니고, 장난감이 처음부터 가지고 놀 價値가 없다고 생각함으로써 自身의 不調和를 解消시켰던 것이다. 2012年 똑같은 實驗이 進行되었다. 다만 다른 것은 클래식 音樂을 아이들에게 들려줬다는 것이었다. 그러자 위의 結果와 달리, 音樂을 들려준 아이들은 장난감을 拒否感없이 잘 가지고 놀았다. 이는 音樂이 認知不調和를 輕減시킨다는 것을 意味하는 實驗結果로서 앞으로 硏究에 큰 意義를 가질 것이다.

自由 選擇 패러다임 [ 編輯 ]

Jack brehm이 實行한 實驗에서 나타난 패러다임이다. 그는 弟子들에게 家電製品을 評價하게 했고, 두個의 家電製品 中 하나를 擇해 가져가게 했다. 그리고 다시 評價하게 했다. 參加者들은 自身들이 選擇한 것을 좋게 評價했고, 選擇하지 않은 것은 낮게 評價했다. [7] 이는 認知不調和의 觀點에서 說明할 수 있는데, 自身이 選擇한 것 外에 다른 것의 長點이 兩立할 수 없고 不調和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나는 X를 選擇했어."라는 決定은 "Y에서도 마음에 드는 點이 있네."라는 認知와 서로 不調和한다는 것이다.

努力 正當化 패러다임 [ 編輯 ]

不調和는 個人들이 目標한 바를 이루기 위해 自發的으로 願하지 않는 行動을 할 때 發生할 수 있다. 이는 目標에 對한 懇切함을 誇張할 때 減少될 수 있다. 엘리엇 아론슨 (Aronson)과 밀스(Judson Mills)는 實驗에서 被實驗者를 두 集團으로 나눠 어떤 團體에 加入하는 것을 指示했고, 그 過程에서 한 集團은 까다로운 加入條件을 겪게 했고, 反面, 다른 集團은 좀 더 쉬운 加入條件을 겪게 했다. 까다로운 加入條件을 겪게 된 集團은 異常한 活動을 指示 받았고, 團體自體도 지루하고 재미없게 設計되었다. 그러나 흥미로운 事實은 이러한 集團이 쉬운 初期過程을 겪은 集團보다 그룹을 흥미롭게 여겼다는 事實이다. 自身이 큰 努力을 들여 目標를 이루면 그것의 結果에 비해 좋게 評價하는 것이다. [8] [9]

例示 [ 編輯 ]

"여우와 葡萄", 이솝 作.
여우가 葡萄에 닿는것을 失敗했을 때, 여우는 葡萄를 참으로 願하지 않는다고 決心한다. 認知不調和의 理論에 따르면 合理化(辨明을 만드는 것)는 서로 相衝되는 認知들과의 不安感을 줄이는데 種種 關與한다.

"여우와 葡萄" [ 編輯 ]

認知不調和의 古典的인 說明은 이솝의 "여우와 葡萄"라는 寓話에서 表現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서 여우는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葡萄를 보고 이를 먹고 싶어한다. 여우가 그것을 닿을 수 없다고 생각하자, 그는 葡萄가 아직 덜 익었거나 時 것이라며 먹을 價値가 없다고 決定 내린다. 이 이야기의 敎訓은 ‘모든 멍청이들은 自身이 가지지 못한 것을 輕蔑할 수 있다’이다. 이 例는 다음과 같은 패턴을 따른다: 무언가를 願한다. 그것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을 批判하며 自身의 不調和를 줄인다. 욘 엘스터 는 이와 같은 패턴을 ‘좋을 대로 適應하기(adaptive preference formation)’라고 불렀다. [10]

認知不調和가 특정한 境遇에서 發生할 때의 예 [ 編輯 ]

認知不調和는 다음과 같은 境遇에 發生할 수 있다:

  • 論理的 矛盾

萬若 어떤 사람이 人間은 가까운 未來에 달에 이를 수 있다고 믿고 또한 사람은 地球에서 떠날 수 있는 機械를 構築할 수 없다고 믿는다면 이 두 인지는 서로 不調和를 이룬다. 사람의 觀點은 그 個人의 思考 課程案에 있는 論理的인 背景을 따른다. [11]

  • 文化的 慣習

萬若 어떤 사람이 格式을 차린 저녁에서 다루기 힘든 닭의 뼈를 손으로 들었다면, 그가 하고 있는 行動에 對한 認識은 그가 알고 있는 格式을 차린 食事 禮節의 認識과는 다르다. 이러한 不調和는 文化가 어떤 것이 一致하고 어떤 것은 그렇지 않은지 定義 내리기 때문이다. 다른 文化에서는 두 가지 認識이 全혀 不調和를 이루지 않을 수 있다.

  • 어떤 생각이 自身의 一般的 價値觀과 配置될 때

따라서 萬若 어떤 사람이 B黨을 擁護하지만 選擧에서 A黨의 候補者를 더 支持한다면 이 두 가지 意見에 該當하는 認知的인 要素는 不調和를 이룰 것이다. 왜냐하면 B黨을 支持하는 것은 B黨의 候補를 支持하는 것을 包含하기 때문이다.

  • 過去의 經驗

萬若 어떤 사람이 빗속에서 鉏있지만 그 自身이 젖고 있다는 證據를 찾지 못할 때 이 두 가지 認知는 不調和를 이룰 수 있다. 그가 비올 때 밖에 있으면 젖는다는 것을 經驗的으로 알기 때문이다. 萬若 어떤 사람이 비 속에 있던 經驗이 없다면 두 가지 認識은 不調和를 이루지 않을 것이다. [1]

實際 事例 [ 編輯 ]

  • 담배

우리가 日常生活에서 가장 쉽게 接할 수 있는 事例이다. 우리는 周邊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겠다고 생각하면서도 繼續해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을 目擊할 수 있다. 그들은 自身들의 몸에 담배가 해롭다는 것을 알고 끊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담배를 끊는 行動보다 담배를 피우는 行動을 正當化하여 自身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 쉽고 便하기 때문에 大部分의 사람들은 담배를 繼續해서 피운다. 그들은 主로 '담배 때문에 病에 걸리는 사람은 極少數餘서 난 피워도 안 걸릴거야.' '禁煙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疾病이 더 크고 무섭다'라고 생각을 변화시켜 自身의 담배를 피우는 行動을 正當化한다.

  • 서정희

서정희氏는 男便인 서세원氏로부터 暴行을 當했다고 主張하여 告訴했다. 結局 懲役 6個月, 執行猶豫 2年의 刑을 받고 刑事訴訟이 終結되었다. 누구도 지난 30年間 같이 살아 온 서세원氏 夫婦가 이런式으로 危機에 빠질 것이라고 豫想하는 이는 드물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放送에 가끔씩 비쳐지는 그들의 모습은 恒常 幸福하고 團欒한 家庭의 典型的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實際로 그女의 著書 '사랑스런 惡妻 서정희의 작은 叛亂'에서 서세원氏와의 戀愛時節 스토리와 살림살이 노하우 等을 記述했다. [12] 하지만 最近 記事에서 그女는 '結婚 生活 32年동안 捕虜로 살았다'라고 陳述했다. [13] 兩 側의 말을 全部 들어봐야 하겠지만, 그女가 結婚生活부터 只今까지 自身의 人指와 다른 行動들을 해왔던 것은 分明한 事實이다. 또, 서세원氏가 暫時 牧師로 生活할 때 '變하겠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夫婦生活을 이어갔다고 陳述했는데, [13] 이는 自身의 印紙를 변화시켜 行動을 正當化하는 것으로 認知不調和에 該當하는 것이다.

實生活에서 쓰이는 認知不調和 [ 編輯 ]

只今까지 說明했던 認知 不調和 理論의 特徵은 直觀과 反對되는 人間 行動을 說明한다는 것이다. 이는 몇 가지 分野에서 實用的으로 適用할 수 있다.

敎育 [ 編輯 ]

敎育 分野에서 認知不調和는 主로 同期 附與에 利用된다. 問題를 解決하려 하는 欲求에서 오는 認知不調和는 學生들에게 많은 影響을 줄 수 있다. 硏究者들은 外部的인 補償을 提供하지 않음으로써 學生들의 動機 附與에 强力한 影響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補償이나 處罰이 없는 自己 正當化 效果로 說明할 수 있다. 例를 들어, 幼稚園生들에게 퍼즐을 맞추면 補償을 준다고 할 때,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퍼즐을 完成시키는데 興味를 덜 보였다. 여기서 硏究者들은 結論을 내렸는데, 外部的인 補償이 業務動機를 저하시키고, 動機附與로 인해 業務를 한다면, 自發的으로 業務를 하는 것에서 얻는 즐거움에 비해 적은 즐거움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心理治療 [ 編輯 ]

心理治療에서도 認知不調和 理論이 適用된다. 몇몇의 社會的 心理學者들은 治療를 자유롭게 選擇하고, 選擇한 治療에 努力과 돈을 쏟은 顧客들은 治療의 效果가 뛰어나다는 것을 主張했다. 한 硏究에서는 肥滿인 아이들이 그들이 자유롭게 받은 治療가 더 큰 體重 減量을 이뤘다는 結果를 立證했다.

健康과 社會的 行動 [ 編輯 ]

保健問題와 친 社會的인 側面에서도 認知不調和가 使用될 수 있다. 保健問題의 例를 들어보자면, 認知不調和는 健康의 關聯된 캠페인을 促進시킬 수 있다. 例를 들어 콘돔의 使用 奬勵 等이 있다. 또 親社會的人 側面에서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는 캠페인이나, 人種差別을 줄이는 것, 또 過速 反對 캠페인에 對한 遵守 等 個個人을 督勵하고, 目的을 이루는데 認知不調和는 다양하게 使用된다.

마케팅 [ 編輯 ]

消費者들의 認知不調和를 理解하고 硏究하는 것은 마케팅 分野에서 자주 쓰인다. 消費者가 購買할 時 認知不調和를 일으키는데 세 가지 條件이 있다. 먼저 많은 돈이 連累가 되었고, 또 顧客들이 代案들 사이에서 選擇하는데 자유롭고, 그 決定은 되돌릴 수 없어야 한다.
Lindsey Mullikin의 硏究에서는 顧客들이 豫想하지 못한 價格을 만났을 때 不調和를 감소시키는 세 가지 反應을 보인다고 한다. [14] 먼저, 顧客이 變함없이 移轉 商品을 購買하거나, 아니면 態度에 變化를 주거나, 그냥 그러려니 하게 될 수도 있다. 顧客이 變함없이 移轉 商品을 購買하려 한다면, 商品에 對한 調査를 할 때 以前의 先入見들이 作用하여 購買의 移動을 막을 것이다. 그 過程에서 認知不調和가 일어난다. 새로운 情報를 찾을 때 그들의 信念과 맞는 것만 골라서 認知하기 때문이다. 萬若 다른商品과의 價格差異가 크거나, 代替商品의 質이 越等히 좋다면 代替商品을 擇함으로써 行動을 變化 시킬 것이다. 認知不調和 狀態로 얻는 滿足感보다, 外的인 다시말해 經濟的인 滿足感이 더 크기 때문이다.
認知不調和는 또한 過去의 購買를 管理하고 說明하는데 有用하다. 萬若 한 消費者가 다른 商品을 購買한 것이 더 만족스럽다면, 그는 더以上 以前의 製品을 사지 않을 것이다. 이를 막기 위해 마케터들은 繼續해서 購買者들에게 自社의 製品이 그의 欲求를 만족시키는 것을 確信하게 下주고, 그 過程에서 認知 不調和를 줄임으로써, 再購買를 하도록 이끈다.

代案理論 [ 編輯 ]

認知不調和 理論이 心理學的으로 立證되었고, 많은 硏究에 쓰이고 있지만, 人間의 態度와 行動을 說明할 다른 代替理論이 있다.

自己 知覺 理論 [ 編輯 ]

Daryl bem은 일찍이 認知不調和를 批判했다. 그는 기나긴 硏究 結果, 더 精巧한 代替 理論인 自己 知覺 理論을 提案했다. 그에 依하면 사람들은 自身의 態度에 對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自己 知覺 理論이란 특별한 趣向이 없거나, 無意識的인 行動을 할 때 行爲者가 自身의 行動을 바탕으로 態度를 推理해 내는 것을 말한다. 한 個人은 自身의 監視者가 될 수 있다. 이 말은 그들의 外的인 信號가 그들의 內的 狀態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卽, 自身도 自己의 內面을 잘 모를 수 있다는 것이다. 自己 知覺 理論에서는 사람들이 內的인 認知나 感情 狀態를 考慮하지 않고 行動을 통해 態度를 速斷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위에서 說明한 誘導 服從的 패러다임의 實驗으로 다른 解釋을 내 놓았는데, 20달러를 받은 者들에게 일이 즐거운 지 물어봤을 때, bem은 돈이 行動의 外的인 動機役割을 하여, 20달러를 받은 사람들이 正말 즐거워서 그 業務를 하는게 아닌, 돈 때문에 業務를 하는 것이라고 答했다고 說明한다. [15] [16] 많은 硏究結果에서 벰의 理論과 페스팅거의 認知不調和 理論은 同一한 豫測을 한다. 그러나 認知不調和 理論만이 愉快하지 않은 緊張이나 覺醒의 存在를 豫測한다. 따라서 이를 제대로 說明하지 못하는 自己 知覺理論은 모든 硏究에서는 適用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均衡 理論 [ 編輯 ]

프리츠 하이더는 態度의 變化와 關聯한 動機 理論을 提案했는데, 사람들이 恒常 精神的 均衡을 維持하고 改善시키려 하는 性向에서 비롯된 理論이다. 이것을 可能하게 하는 것은 一貫性 動機라고 알려져 있는데, 一貫性 動機란 한 사람의 價値觀이나 믿음을 恒常 維持하려는 內的 强要라고 할 수 있다. 均衡理論에 依하면, 相互作用하는 세 가지의 것들이 있다. 첫番째는 主體가 되며, 두番째는 또다른 사람, 세番째는 事物이나 다른 것들이 된다. 이들은 하이더의 均衡理論에 依하면 各各 P,O,X로 指稱할 수 있고, 均衡理論을 P-O-X理論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理由다. 이들은 各各 아래 그림에서 三角形의 꼭지點을 차지 하고 두個의 關係를 共有한다. [17]

1. 單位 關係: 사람이나 事物이 서로 類似하거나 近接할 때 (여기서 事物은 나 아닌 모든 것을 指稱한다. 第 3者나 動物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感情 關係: 사람이나 事物에 對한 評價 (好感, 非好感)

例를 들어 說明해보자. 먼저 均衡的인 狀態에 對해 알아보려 한다. 各各의 P,O,X들은 各各 두個씩 짝지어 陽과 音의 關係로 關係를 맺을 수 있는데, 이를 곱하였을 때 量의 狀態가 되어야 均衡을 이룬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 나
O: 撤收
X: 철수의 패션 신발

"나는 撤收가 좋다"
"철수는 流行하는 신발이 있다"
"나는 그 신발이 좋다"

세 가지의 狀態는 各各 서로 量의 關係를 形成하여, 조화로운 狀態에 該當한다. 사람들은 不均衡狀態를 避하기도 하는데, 다른 例를 들어볼 것이다.

P: 나
O: 나의 어머니
X: 나의 어머니의 料理

"나는 어머니가 좋다"
"어머니는 내게 料理를 해주셨다"
"나는 그 料理가 맛있다."

이 例示에서 萬若 料理가 맛이 없다고 해도, 하이더의 理論에 依하면 均衡을 이루려는 性質때문에 나는 어머니의 料理를 좋아하게 된다. 萬若 어머니의 料理가 싫다고 한다면, 均衡이 어긋나기 때문에, 나는 不便함을 느끼게 된다. 그러한 不便함을 解消시키려는 努力은 위에서 說明한 均衡理論으로 說明된다.

費用便益 分析 [ 編輯 ]

Jules dupuit은 經濟學 觀點에서 行動과 人智가 解釋될 수 있다고 보았다. 個人들이 意思決定에서 費用과 便益을 比較한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觀點은 意思決定者가 費用 對比 便益을 綿密히 따진 後, 意思決定의 正當化에 힘을 실어주는데 도움을 주며, 다른 意思決定과의 比較도 可能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비록, 이 分析이 經濟的인 環境과 같은 狀況에서는 잘 作用하지만, 사람들은 費用과 便益을 比較하는 것에 그렇게 익숙하지 않으며, 그것을 非效率的으로 생각하기 쉽다는 短點이 있다. [18]

自己 不一致 理論 [ 編輯 ]

E. Tory Higgins는 個人이 세 가지 自我를 지닌다고 말한다.

1. 實際 自我 - 自身의 實際 모습에 對한 생각 (基本的인 自我)
2. 理想的인 自我 - 自身이 所有하고 싶어하는 모습에 對한 信念 (希望, 鼓吹, 動機附與 되는 것)
3. 當爲的 自我 - 自身이 가져야 하는 責任이 있다는 생각 (義務)

이것들이 서로 不均衡 狀態를 이룰 때, 個人들은 不一致를 줄여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고 그는 말한다. [19]

否定的結果 [ 編輯 ]

Brock과 Balloun는 1967年에 認知不調和는 行動이 否定的인 結果를 發生시키는 것에 相關없이 外部 情報에 依해 不一致가 생겼을 때 發生한다고 主張했다. 數年 後, 다른 硏究者인 1975年에 Batson은 비슷한 結果를 論文에 發表한 바 있다. 그 後 이러한 硏究結果와 비슷하지만 좀 더 體系的인 理論을 만든 것이 Cooper와 Fazio이다. 그들은 認知不調和는 不一致보다 否定的 結果에 依해 發生한다고 主張했다. [20] 單純한 認知 사이의 不一致보다 그 結果가 잘못됐고, 해롭다고 느껴지고, 自身이 願하지 않았던 結果를 낳을 때 사람들의 氣分을 좋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卽, 1959年에 Festinger and Carlsmith의 實驗에서 參加者들이 그들의 行動을 바꾼 理由는 但只 認知 사이의 不一致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行動이 안 좋은 結果를 가져왔기 때문인 것이라는 主張이다. 사람들은 不一致에 있는 狀態일 때 不一致와 關聯된 行動을 바꾸려는 動機附與를 받지만, 自身이 바꾼 行動으로부터 否定的인 結果가 發生하지 않아야 한다는 前提가 되어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어진 硏究에서 多少 다른 結果가 나오는데, 이는 사람들이 어떤 것을 잘못했다고 느끼지 않아도 不調和를 겪는다는 것을 發見했다. 하나의 例示로 1992年, Aronson와 同僚들은 사람들이 그들의 말의 結果가 有益할 때 조차도 不調和를 겪는다는 것을 보여줬는데, 例를 들면, 性的 活動을 많이 하지만, 콘돔을 使用하지 않는 學生들에게 사람들이 콘돔을 使用하도록 說得하는 境遇이다. 分明 說得으로 인해 發生하는 結果가 肯定的이지만, 自身이 콘돔을 使用하지 않기 때문에 學生들은 認知不調和를 經驗하게 되는 것이다. [21]

自由 選擇 패러다임 批判 [ 編輯 ]

Chen과 그의 同僚들은 認知不調和의 패러다임 中 하나인 自由 選擇 패러다임을 批判했다. [22] 大部分 실험자들이 認知不調和가 發生되는 選擇을 할 境遇 그 以後에는 合理化를 통해 認知不調和가 漸漸 줄어드는 것이라고 家庭을 했는데, Chen은 이런 解釋을 憂慮했고 强하게 批判 했다. 順位를 매기고 選擇한 後 또 順位를 매기는 旣存의 認知 不調和를 硏究하는 方法이 效果가 없다고 主張했고, 그들은 調査對象들의 選擇이 두 番째 調査에서 旣存의 選擇과 달라진다면, 달라진 選擇에 對한 態度 또한 달라진다는 假定을 基盤으로 둔 硏究 디자인을 主張했다. Chen은 그들이 두 番째 調査에서 다른 順位를 매기는 것에는 다른 理由가 있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줬는데, 그것은 參加者들이 質問에 對해 相當히 無關心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Chen의 硏究를 支持하는 많은 硏究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硏究도 많으며, 아직도 論爭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現在 相當히 많이 調査에 쓰이는 것은 事實이다.

行動이나 動機에 基盤한 모델 [ 編輯 ]

이 理論은 不一致가 行動을 干涉할 수 있기 때문에 認知에서의 不一致가 사람들을 괴롭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萬若 사람들이 現在의 態度나 믿음에 一致하지 않는 行動을 자유롭게 選擇한다면, 그들은 以後 現在의 行動에 맞춰 그들의 態度나 믿음을 바꾸게 된다. 萬若 사람들이 不調和를 겪은 後 그들의 態度를 바꿨다면, 그들은 또한 行動에 一致되고자 하는 義務感을 갖는다. 不調和가 發生했을 때 사람들은 否定的인 情緖 狀態를 갖고, 이는 問題가 되고 있는 不一致를 解決하고자 그들의 行動을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23]

같이 보기 [ 編輯 ]

參照 [ 編輯 ]

  1.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 김종재, 知識社會와 人間關係, 박영사(2013)
  3. 로렌 瑟레이터, 스키너의 心理箱子 열기, pp 147-175.
  4. Harmon-Jones, Eddie, A Cognitive Dissonance Theory Perspective on Persuasion, in The Persuasion Handbook: Developments in Theory and Practice, James Price Dillard, Michael Pfau, eds. 2002.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p.101.
  5. Festinger, L.; Carlsmith, J.M. (1959). "Cognitive consequences of forced complia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8 (2): 203?210. doi:10.1037/h0041593.
  6. Aronson, E.; Carlsmith, J.M. (1963). "Effect of the severity of threat on the devaluation of forbidden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6 (6): 584?588. doi:10.1037/h0039901.
  7. Brehm, J. (1956). "Post-decision changes in desirability of alternative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2 (3): 384?389.
  8. Aronson, E.; Mills, J. (1956). "The effect of severity of initiation on liking for a group" (PDF).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177?181.
  9. [참고](Aronson, E., & Mills, J. (1959). The effect of severity of initiation on liking for a group.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177?181. https://doi.org/10.1037/h0047195)https://psycnet.apa.org/record/1960-02853-001
  10. Elster, Jon. Sour Grapes: Studies in the Subversion of Rationality . Cambridge 1983, p. 123ff.
  11. Prasad, J. (1950). "A comparative study of rumours and reports in earthquake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41 (3-4): 129?144.
  12. 서정희, 사랑스런 惡妻 서정희의 작은 叛亂, 제이피劉備(1997)
  13. http://www.hkbs.co.kr/?m=bbs&bid=envplus11&uid=351433
  14. Mullikin, Lindsey J (2003). "Beyond reference pricing: Understanding consumers' encounters with unexpected prices". Journal of Products & Brand Management 12 (3): 140?153. doi:10.1108/10610420310476906.
  15. Bem, D.J. (1965). "An experimental analysis of self-persuasion".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 (3): 199?218. doi:10.1016/0022-1031(65)90026-0.
  16. Bem, D.J. (1967). "Self-perception: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cognitive dissonance phenomena" (PDF). Psychological Review 74 (3): 183?200. doi:10.1037/h0024835. PMID 5342882 .
  17. Heider, F. (1960). The gestalt theory of motivatio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8, 145-172
  18. Dupuit, J. (1969). On the measurement of the utility of public works. Readings in Welfare
  19. Higgins, F. (1960).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
  20. Cooper, J., & Fazio, R.H. (1984). A new look at dissonance theory.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7, pp. 229?266). New York: Academic Press.
  21. Harmon-Jones, E.; Brehm, J.W.; Greenberg, J.; Simon, L.; Nelson, D.E. (1996). "Evidence that the production of aversive consequences is not necessary to create cognitive dissonance" (PD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 5?16. doi:10.1037/0022-3514.70.1.5.
  22. Chen, M.K.; Risen, J.L. (2010). "How choice affects and reflects preferences: Revisiting the free-choi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 (4): 573?594. doi:10.1037/a0020217.
  23. Beckmann, J; Kuhl, J (1984). "Altering information to gain action control: Functional aspect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in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8: 224?237. doi:10.1016/0092-6566(84)90031-x.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