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宋濂 (宋濂, 1310年 ~ 1381年 )은 中國 明나라 初期의 政治家이자 儒學者이며 文人이다. 字는 경렴(景濂), 號는 蠶婦(?浮)?無償거(無相居)?용문자(龍門子)?現振子(玄眞子)이며, 浙江省 抛姜鋧(浦江縣) [1] 出身이다(선대까지는 金貨(金華) 잠計寸(潛溪村)에서 살았다). 著作으로는 《송학사전집》(宋學士全集)?《褒揚人物機》(浦陽人物記)?《홍무성定期》(洪武聖政記)가 있다.

生涯 [ 編輯 ]

송렴은 1310年 浙江省 포강縣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家庭에서 자라났으나 學問을 좋아했고 어려서부터 記憶力이 뛰어나고 詩를 지을 때 奇拔한 句節을 使用해 神童이라 불렸다. 오래(?萊), 流管(柳貫), 黃進(??) 等 拷問(古文)의 大家들로부터 배웠는데, 이들은 모두 어린 송렴을 親舊처럼 對할 程度였다. 平生 學問에 專念했으며, 어려서부터 나이들 때까지 하루라도 冊을 읽지 않는 날이 없었기에 學問에 能通하지 않은 바가 없었다.

元나라 支援 元年( 1335年 ), 義塾(義塾, 社說 學堂)의 敎師가 되었다. 元나라 順帝(順帝) 때 翰林院編修 (翰林院編修)로 任命되었으나, 年老한 父母를 모시겠다는 理由로 이를 固辭하고 龍門山(龍門山)에 隱居하여 工夫와 著述에 專念했다.

1356年 南京 을 陷落해 浙江省 東部를 掌握한 朱元璋 遺棄 (劉基), 長日(章溢), 섭침 (葉琛), 송렴(宋濂) 等 "절동(浙東)의 네 先生"을 招請해 도움을 請했고, 송렴은 이를 받아들여 出仕했다.

1368年 明나라가 天下를 制霸한 後, 송렴은 江南遊學除去(江南儒學提擧)로 任命돼 太子에게 學問을 가르쳤고, 歷史를 編纂하고 曆法과 禮樂 制度를 整備하는 데 힘을 쏟았다. 洪武 2年( 1369年 ) 《 元士 》(元史)의 編纂을 맡아 그 主任이 되었고, 紅무 6年( 1373年 )엔 《 大名日力 (大明日曆)》을, 紅무 7年( 1374年 )에는 《황명보勳(皇明寶訓)》을 編修했다. 官職이 翰林學士承旨(翰林學士承旨), 知制誥(知制誥)에 이르렀다.

송렴은 疑心 많은 朱元璋의 側近에서 19年을 보냈으나, 主要 行政 業務 代身 主로 禮樂과 文章에 關聯한 일을 맡아 處理하고, 皇帝와 隨時로 治國의 度를 論하는 參謀로 지냈다. 그는 朱元璋에게 恒常 “天下는 民心이 重要합니다. 民心을 얻으면 泄瀉 財貨가 枯渴되더라도 큰 火가 發生하지 않으나 民心을 잃으면 비록 金銀寶貨가 있더라도 나라는 危險에 處합니다.” “百姓이 富裕하면 君主가 貧困할 수 없습니다. 百姓이 가난한데 君主가 어찌 富裕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忠言하곤 했다. [2]

皇帝의 側近으로서 송렴은 매우 신중했고, 皇帝를 속이지 않으려 애썼으며, 남을 絶對 險談하지 않았고, 입이 무거워 祕密을 잘 지켰다. 朱元璋은 그를 寵愛해 "짐은 平民에서 皇帝가 되었고, 頃 亦是 在野 出身으로 始終이 되어 開國功臣으로 代代孫孫 富貴를 누릴 테니 어찌 좋지 아니한가."라고 말하면서 次男 松樹(宋璲)를 中書舍人(中書舍人)에, 長孫 送信(宋愼)을 前庭醫師(殿庭儀司) 西班(序班)에 임명했다. 3臺가 한 朝廷에서 일하는 榮光을 누리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나중에 오히려 滅門의 火로 돌아왔다. [3]

洪武 10年( 1377年 )에 나이가 많다는 理由로 官職을 辭任하고 故鄕으로 돌아갔다. 隱退한 그는 行動을 操心하여 수수한 옷에 菜蔬만 먹고 가난한 선비처럼 冊 읽고 글 쓰는 일 外에 世上일에 關心을 두지 않았다.

洪武 13年( 1380年 )에 宰相 호유용 (胡惟庸)의 獄事에 집안 全體가 말려들었다. 洪武 14年(1381年), 孫子 送信이 죽임을 當하고, 次男 松樹 亦是 마찬가지 運命에 處했다. 송렴 亦是 禍를 避할 수 없어 나이든 몸으로 칼을 차고 南京으로 押送되었다. 스승의 죽음을 두고보지 못하고 太子가 눈물로 呼訴해 목숨만 건진 채 家族 全員과 함께 茂朱(茂州) [4] 로 流配됐다. 結局 송렴은 傷心과 鬱火를 이기지 못하고 流配地로 가던 途中, 冀州(夔州) [5] 에서 病死했다.

송렴의 弟子로 明나라 初의 有名한 學者인 方孝孺 (方孝孺)가 있다. 方孝孺는 스승의 抑鬱한 죽음을 기리는 祭文을 남겼다. "공의 度量은 天下를 품을 만했으나 天下는 共의 작은 몸 하나를 품어주지 못했다. 공의 識見은 世上을 환하게 비추었지만 世上은 共의 爲人됨을 알지 못했다. 道를 이루면 모든 것을 다할 수 있다고 하는데 죽을 때 몸 하나 바로하지 못했다. 德은 萬物을 적셔야 한다는데 自身은 勿論 子孫들의 安危도 지키지 못했다." [6]

定德 (正德) 年間(1501年~1521年)에 復權되었다. 諡號는 文獻(文憲)이었다.

評價 [ 編輯 ]

中國文學史에서 송렴은 遺棄(劉基), 高階 (高啓)와 함께 "明初 散文의 3代가"로 꼽힌다. 學問에 있어서는 스스로 留學의 道通을 繼承했다고 말했으며, “종경(宗經)” “事故(師古)”을 主唱하면서 唐宋(唐宋) 時代의 글을 본받은 著作들을 豐富하게 남겼다. 다른 글들은 主로 電氣나 散文으로, 그 文體는 質樸하고 簡潔했으나, 때때로 넉넉하면서 優雅한 氣風도 있어서 다채로웠다. 朱元璋은 송렴을 個國文身指數(開國文臣之首), 遺棄를 唐錦 第一 文章(當今文章第一)라고 稱讚하기도 했다. 當時 많은 學者들은 송렴을 太史公(太史公) 司馬遷 에 견주어 太史公이라 부르기도 했다.

各州 [ 編輯 ]

  1. 只今의 中國 저장省 푸章 現 (浦江縣)
  2. 판수즈, 『官僚로 산다는 것』, 이화승 옮김(더봄, 2020), 29쪽.
  3. 판수즈(2020), 27쪽.
  4. 只今의 中國 쓰촨 省(四川省) 마오 現(茂?)
  5. 只今의 中國 충칭 時 (重慶市) 펑제 現 (奉節?)
  6. 판수즈(2020), 3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