놋쇠地球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놋쇠地球의 는 世界地圖를 靑銅製 構想(球狀)에 그린 것이다.기록에는 소현세자 가 淸나라에서 宣敎師 湯若望(湯若望, 벨베스트)로부터 여지구(輿地球)를 받아 가지고 왔다고 하나 現在 傳해지지 않고 있다. 또 朝鮮 顯宗 10年(1669)에 송이영(宋以潁)이 만든 渾天時計(渾天時計)에 地球儀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地球의 自體를 目的으로 만든 것은 아니다.

地球儀는 南ㆍ北極을 軸으로 하여 回轉할 수 있게 물푸레나무 를 파서 만든 沙鉢 模樣 받침臺에 남ㆍ北軸이 水平이 되게 걸쳐놓았다. 地球儀에는 10°間隔의 經線(經線)과 爲先(緯線)李 그려져 있고, 北回歸線과 南回歸線, 그리고 太陽의 길인 黃道가 그려져 있다. 黃桃에는 太陽의 움직임에 따른 季節의 變化를 나타내는 24節氣가 標示되어 있다. 地圖는 南極大陸을 除外한 大部分의 世界地圖가 그려져 있고 漢字로 된 各 나라의 이름이 標示되어 있다. 받침臺人 木발(木鉢) 아가리에는 360°의 눈금을 새겨 넣은 靑銅製의 둥근 고리를 만들어 붙였다.

이 遺物에 對하여 김양선(金良善)은 그의 論文 <韓國古地圖硏究秒(韓國古地圖硏究抄)-世界地圖(世界地圖)->에서 최한기(崔漢綺, 1803∼1877)가 만든 것으로 보았다. 卽, 이 遺物이 1954年 봄에 崔漢綺가 自筆 敍述한 ≪地球典要(地球典要)≫ 6冊과 함께 水葬되었던 點을 들고 있다. 그러면서 地球儀에 그려진 世界地圖의 內容이 崔漢綺의 <地球全圖(地球前圖): 同伴構圖(東半球圖)>와 <地球後도(地球後圖): 西半球度(西半球圖)>와 比較할 때, 輪廓이나 地名 等이 똑같는 事實도 指摘하고 있다. 이 遺物의 底本이 된 崔漢綺의 ≪地球典要≫는 13卷으로 된 世界 地理誌이다.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