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존 레논 懊惱 요코 正規 音盤
發賣日 1968年 11月 11日 (美國)
1968年 11月 29日 (英國)
錄音 1968年 5月 19日 ( 서리 週 켄우드 세인트 조오지 힐)
장르 前衛 音樂
길이 29 : 27
레이블 애플 레코드 /트랙 레코드
프로듀서 존 레논, 요코 오노
존 레논 懊惱 요코 年表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1968)
Unfinished Music No. 2: Life with the Lions
(1969)]]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 韓國語 : 未完成 音樂 第 1番: 투 버진스)는 존 레논 요코 오노 에 依해 發表된 세 個의 前衛 音盤 中 첫 番째 前衛 音盤이다. 英國에서는 트랙 레코드, 美國에서는 테트라그람마톤 레코드를 통해 各各 發賣되었다.

背景 [ 編輯 ]

존은 1960年代 中盤부터 이미 前衛 音樂에 興味를 품고, 自身만의 音盤을 製作하는 構想을 갖고 있었다. 1966年 11月 7日, 親分이 있던 존 던바의 紹介로 존은 美國에서 前衛 藝術家로 活動하고 있던 요코와 런던 메이슨스 야드의 인디카 갤러리에서 만났다. [1] 존 던버는 인디카 갤러리의 共同 所有主였다. 이듬해 존은 요코의 個人展에 出資하거나 요코를 비틀즈 의 錄音 세션에 招待했다. 이때 비틀즈 멤버들은 요코가 自身들의 錄音室에 마음대로 드나드는 것을 무척 못마땅해 했다. [2] 遂行을 위해 夫人 신시아와 함께 印度에 머무르던 1968年 2~4月에도 존은 요코와 稠密하게 連絡을 取했다. [3] 이렇게 漸次 요코를 向한 그리움이 깊어 갔던 존은 印度에서 돌아온 뒤 신시아와 寢室을 따로 썼다. [3] 1968年 5月 19日 밤, 존은 신시아가 그리스에서 休暇를 보내는 동안 요코를 켄우드에 있는 自身의 邸宅에 招待했고, 두 臺의 大型 錄音器가 놓여진 音樂室에서 다음날 새벽까지 前衛 音樂의 音盤 製作에 着手했다. [4]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는 이 때 만든 音樂을 土臺로 두 사람이 完成 시킨 첫 番째 音盤이며, 존과 요코가 卽席에서 만들어 낸 소리 만을 모은 總 12曲으로 構成되어 있다. [4] 존은 본 音盤의 錄音 中에 요코와 처음으로 肉體的으로 몸을 섞은 것을 公言하고 弘報에 利用하고 있었다. 以後 존과 요코는 同居 生活을 始作, 恒常 行動을 같이했다. [5]

題目 [ 編輯 ]

音盤 題目이나 트랙 題目에 包含되는 'Two Virgins'(投 버진스)의 意味에 對해 자칫 誤解하기 쉽다. 여기서의 'Two Virgins'는 '두 名의 (結婚하지 아니한) 處女'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으로 함께 前衛 音樂에 뛰어든 존과 요코'를 뜻하는 것이다. 거의 비슷한 時期 존은 비틀즈 화이트 音盤 에 실리게 되는 < Revolution 9 >이라는 前衛 音樂 形式의 曲을 錄音하는 것을 竝行하고 있었다. 事實 존은 1966年 비틀즈 의 音盤 《 Revolver 》를 통해서 前衛 音樂 形式의 〈 Tomorrow Never Knows 〉라는 曲을 이미 선보인 바 있다.

커버 [ 編輯 ]

이 音盤에서 가장 有名한 것은 그 內容보다도 존과 요코가 알몸으로 비쳐져 있는 커버 寫眞이다. 이것은 當時 두 사람이 同居 生活을 보내고 있었던 몬터규 廣場에 있는 링고 스타 所有의 아파트에서 自動 셔터로 撮影한 것이다. [6]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존과 요코의 알몸 寫眞이 비친 재킷은 英國 및 美國 뿐 아니라 全 世界的으로 큰 物議를 일으켰다. [7]

發賣 [ 編輯 ]

專門家 評價
評價 點數
出處 點數
AllMusic 1.5/별[8]
MusicHound woof! [9]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1.5/별[10]
Pitchfork 6.8/10 [11]

존이 所屬되어 있던 비틀즈 는 1968年 애플 코어 를 設立했고, 以後부터 같은 해 設立된 子會社 애플 레코드 를 통해 音盤을 發賣하고 있었다. 그러나 애플 레코드의 流通 對象이었던 英國의 EMI 와 美國의 캐피틀 레코드 가 音盤 커버 寫眞에 큰 拒否感을 나타내며 音盤의 發賣를 拒否했다. 따라서 英國과 美國에서 모두 다른 레코드 會社(英國: 트랙 레코드, 美國: 테트라그람마톤 레코드)의 配給으로 發賣될 수 밖에 없었다. [12] 美國 發賣半은 컷 아웃 구멍을 통해 夫婦의 얼굴을 보여주는 褐色 종이가 덮여져 販賣되었다. [13]

2016年, 이 音盤은 보너스 트랙, 稀貴 寫眞들과 함께 시크릿리 캐나디안에 依해 LP , CD , 그리고 디지털 方式으로 再發賣되었다.

트랙 目錄 [ 編輯 ]

모든 曲들은 특별한 言及이 없는 한  존 레논  &  요코 오노 에 依해 씌여졌다.

Side one
  1. "Two Virgins Side One": ? 14:14
    • "Two Virgins No. 1"
    • "Together" (조지 버디 드실바, 壘 브라운, 레이 핸더슨)
    • "Two Virgins No. 2"
    • "Two Virgins No. 3"
    • "Two Virgins No. 4"
    • "Two Virgins No. 5"
Side two
  1. "Two Virgins Side Two": ? 15:13
    • "Two Virgins No. 6"
    • "Hushabye Hushabye" (未詳)
    • "Two Virgins No. 7"
    • "Two Virgins No. 8"
    • "Two Virgins No. 9"
    • "Two Virgins No. 10"
2016年 보너스 트랙
  1. "Remember Love" (요코 오노) ? 4:05

參與 [ 編輯 ]

各州 [ 編輯 ]

  1.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39쪽.  
  2.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60쪽.  
  3.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82쪽.  
  4.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84쪽.  
  5.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84쪽.  
  6.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104쪽.  
  7.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106쪽.  
  8. Ruhlmann, William.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 John Lennon, Yoko Ono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 AllMusic . 2013年 3月 23日에 確認함 .  
  9. Gary Graff & Daniel Durcholz (eds),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 Visible Ink Press (Farmington Hills, MI, 1999; ISBN   1-57859-061-2 ), p. 667.
  10. “John Lennon: Album Guide | Rolling Stone Music” . Rollingstone.com. 2014年 2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8月 16日에 確認함 .  
  11. Seth Colter Walls (2016年 12月 5日). “Yoko Ono / John Lennon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 《Pitchfork》 . 2021年 7月 10日에 確認함 .  
  12.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107쪽.  
  13. 제임스 疣疸 지음 · 김이섭 옮김 (2001). 《존 레논 音樂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 한길사. 10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