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UIC 分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UIC 分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UIC 分類 機關車 , 同次 路面電車 車輪 配置 를 表記하기 위한 包括的인 體系이다.

槪要 [ 編輯 ]

UIC 分類 體系는 特殊한 體系를 適用하고 있는 英國 과, 좀 더 單純化된 AAR 車輪 配置 表記 를 쓰는 美國 의 境遇를 除外한 大部分의 地域에서 共通的으로 널리 使用되고 있는 分類 體系이다. 화이트 式 表記 에 비해서 좀 더 融通性이 있으며, 機關車 形式을 推論에 依支하지 않고 正確히 描寫할 수 있다. 過去의 表記法에서 表記할 수 없는 機關車를 이 UIC 分類로는 表記하는 것이 可能하다. UIC 分類는 大槪 디젤 機關車 電氣 機關車 를 描寫하는 데 더더욱 적합하다.

分類 方式 [ 編輯 ]

分類 方式에서, 화이트 式 表記法이 車輪의 個數를 세는 데 비해서, UIC 分類는 한 雙의 車輪을(이를 車輪雙(wheelsets)이라 하거나, 非公式的으로 "車軸(axles)"이라고 稱함) 세어 分類하는 것이 原則이다.

大文字 表記
最終 동축의 個數를 나타냄. A는 1軸을, C는 한 3軸 그룹을 나타낸다.
數字
最終 동축이 아닌 軸을 나타냄. 1은 1軸, 2은 2軸을 의미함.
小文字 "o"
大槪의 電氣 또는 디젤電氣 機關車에 있는, 車軸이 電氣 모터에 依해서 獨立的으로 驅動되는 境遇를 나타냄. 이것은 各 동축群 表記의 末尾에 붙어 該當 동축이 獨立 驅動軸임을 表記하여 준다. 卽 Bo는 2個의 동축軍이 獨立 驅動함을 意味한다.
外따옴標 " ' "
이것은 調香이 可能한 貸借 에 該當 軸이 積載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플러스 記號 "+"
이것은 機關車 또는 動車가 半永久連結器 等으로 永久 連結된 2個의 車輛으로 構成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括弧 標示
이것은 各各의 文字와 數字 軍이 한 貸借 를 表現하기 위하여 쓰였음을 表記하기 위하 使用된다. 例를 들어, (A1A)는 3軸 보기 貸借에서 바깥쪽 2軸 만이 동축임을 나타낸다. 이것은 大文字 表記만 單獨으로 쓰이는 境遇에는 쓰지 않는다. 卽, 이를 例를 들면 Co는 3軸 보기 貸借에서 全 軸이 獨立 驅動軸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를 別途로 括弧 表記로 分離하지 않아도 意味가 明確하기에 따로 表記하지 않는다.

맬릿형 機關車 는 위에서 提示한 方式 대로 앞쪽의 動力 유니트를 括弧로 나타냄으로소 表現될 수 있다. 卽, 유니언 패시픽의 빅 보이는 화이트 式 表記로 4-8-8-4라 적는데, 이를 UIC 分類 體系下에서는 (2'D)D2'로 表記한다. 개럿型 機關車 의 境遇는 括弧 表記로 나타내거나, 또는 플러스(+)表記로 個別 유닛을 區分函으로 나타낼 수 있다. 但, 機械的으로 分離되었으나 永久 結合된 유닛들은 "+" 표기만을 쓸 수 있다.

其他 接尾辭
機關車의 다른 特徵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追加的인 接尾辭를 適用하기도 한다.
또한 최후미에 數字를 더 追加 記載하여, 蒸氣 機關車의 실린더 數字를 나타내기도 한다.

現代的인 機關車에서 가장 一般的으로 쓰이는 車輪 配置 는 Bo'Bo' 또는 Co'Co'이나, 한便으로 蒸氣機關車나 過去의 여러 車種들은 서로 區分되는 다양한 車輪 配置를 採用하는 例가 많다.

例示 [ 編輯 ]

(A1A)(A1A)

"(A1A)(A1A)"는 2個의 貸借 또는 車軸君을 該當 車輛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各各의 貸借는 하나의 動力軸, 하나의 附隨軸, 그리고 하나의 追加的인 動力軸을 가지는(즉, OoO形式의 貸借 構成) 形式을 의미한다. 이러한 車輪 配置는 더 나은 荷重 分散을 위하여 採擇된다. 位 表記에서 모든 動力軸은 獨立的으로 驅動한다.

BB

"BB"는 4個의 動力軸이 있으며 이것이 機關車 프레임에 直接 連結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들은 한 雙으로 구동된다. 卽, 各 車軸 雙은 連結棒이나 기어로 連結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아래 "D"抗議 例示와 比較하면 그 特徵이 明確히 드러날 것이다. OO-OO 形態이다.

B'B'

"B'B'"는 두 個의 臺車 도는 車軸君을 該當 車輛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各各의 貸借는 두 個의 동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連結棒이나 기어로 連結되어 있다. 70% 以上의 現代的인 機關車들과 動車들이 이 方式 또는 "Bo'-Bo'" 車輪 配置를 採擇하고 있다.

Bo'(A1A)

"Bo'(A1A)"는 두 個의 臺車 또는 車軸君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Bo'" 트럭은 車輛의 한쪽 끝에 配置되어 있는데, 이것은 두 個의 動力 軸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便, 다른 한쪽 끝에는 "(A1A)" 大差가 配置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하나의 動力軸, 하나의 附隨軸, 그리고 하나의 動力軸이 設置되어 있다. 모든 동축은 個別 구동된다.

Bo'Bo'

"Bo'Bo'"는 車輛에 2個의 臺車 또는 동축軍이 있음을 나타낸다. 各各의 對車에는 두 個의 獨立 驅動되는 동축이 配置되어 있다. 70% 以上의 現代的인 機關車들과 動車들이 이 方式 또는 "Bo'-Bo'" 車輪 配置를 採擇하고 있다. 多數의 路面電車 가 이 配置를 採用하고 있다.

C'C'

"C'C'"는 車輛에 2個의 보기 또는 車軸軍이 있음을 나타낸다. 各各의 貸借는 3個의 동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기어 또는 連結棒으로 連結되어 있다.

Co'Co'

"Co'Co'"는 車輛에 2個의 보기 또는 車軸軍이 있음을 나타낸다. 各各의 貸借는 3個의 동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獨立的으로 驅動되는 形式이다. 7000號對 디젤 機關車 는 이 方式의 貸借를 가지고 있다.

D

"D"는 4個의 동축이 있고, 이들은 모두 하나의 連結棒이나 기어로 連結되어 있으며, 모두 機關車 車體에 直接 設置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1'D1'

"1'D1'"는 한 雙의 前輪이(동축이 아닌) 貸借에 設置되어 있고, 4個의 동축이 機關車의 車體에 直接 設置되어 서로 連結棒 또는 기어로 連結되어 있으며, 한 雙의 後輪이(동축이 아닌) 貸借에 設置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大韓民國 의 " 미카型 蒸氣 機關車 "가 여기에 該當하며, 화이트 式 表記로 2-8-2이다.

2'C1'

"2'C1'"는 두 雙의 前輪이(동축이 아닌) 貸借에 設置되어 있고, 3個의 동축이 機關車의 車體에 直接 設置되어 서로 連結棒 또는 기어로 連結되어 있으며, 한 雙의 後輪이(동축이 아닌) 貸借에 設置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大韓民國의 " 派시형 蒸氣 機關車 "가 여기에 該當하며, 화이트 式 表記로 4-6-2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