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SF의 正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SF의 正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잉크와 마커 로봇 그림.

SF 를 定義하려는 수많은 試圖가 있었다. [1] 이 文書는 SF가 장르로 定立된 以後 作家, 編輯者, 評論家, 들에 依해 試圖된 正義의 目錄이다. " 사이언스 판타지 ", " 事變 小說 ", "寓話 小說fabulation" 等 聯關된 用語에 對한 定義들 亦是 그것들이 科學小說의 要素들을 定義하거나 關聯된 定義를 照明할 境遇 包含되어 있다.(예시로 아래에서 로버트 스콜즈의 "寓話 小說"과 "構造的 寓話 小說"에 對한 定義를 보라.) SF의 下位 類型에 關한 몇몇 定義들 또한 包含됐다.(예시로 데이비드 케터러의 "哲學 志向的 科學 小說philosophically oriented science fiction"에 對한 定義를 보라.) 아울러 SF 그 自體보다는 SF 이야기를 定義하는 몇몇 正義들도 包含됐는데, 그것이 SF의 가장 基本的인 正義를 照明하기 때문이다.

존 클루트 피터 니컬스 가 編纂한 《SF 百科事典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은 "SF의 正義"라는 標題下에 正義의 問題에 關한 廣範圍한 論議를 담고 있다. 著者들은 비록 SF가 均質的이지 않다는 點에서 發生하는 不可避한 意見 差異를 考慮하긴 했지만, 學術的 討論을 促進시키는 데 가장 有用하게 쓰인 多코 수빈 의 正義를 熟考했다. 辭典에서 引用한 수빈의 定義는 1972年 만들어진 것으로 內容은 다음과 같다. " SF 는 疏隔과 認知가 대면하고 相互 作用하며, 作家의 經驗的 環境을 代替하는 想像的 틀이 主要한 形式的 裝置일 것이 必要充分 條件인 文學 장르." [2] 《百科事典》 該當 文書의 著者들- 브라이언 스테이블포드 , 클루트, 니컬스-은 說明하길, 수빈이 말하는 "認知"는 合理的인 理解의 追求를 의미하며, 그의 疏隔 槪念은 베르톨트 브레히트 가 開發한 疏外 槪念과 비슷한데, 卽 素材의 製造 方法은 낯설어 보이면서도 認識 可能하다.

引用文은 年代順으로 羅列됐다. 連帶 不明의 引用文은 마지막에 配置했다. 아래 目錄은 "science fiction" 用語에 關한 建白(Gernback)의 再定義는 除外했다. 장르系의 名門集 編輯者이자 포퓰리스트, 歷史家인 샘 모스코위츠 (1920-1997)에 따르면, 이 問題에 關한 建白의 마지막 말은 다음과 같았다. "SF는 知識, 知識의 外揷法, 或은 論理的 理論 科學의 要素를 包含한 人氣있는 엔터테인먼트 形式이다." 目錄은 또한 존 W. 캠벨의 惡名 높은 正義 "내가 SF라고 부르는 것이 SF다"도 除外했다.

正義 [ 編輯 ]

年代順 [ 編輯 ]

  • 휴고 건즈백 . 1926. "내가 '사이언티픽션'이란 말로 가리키는 것은 쥘 베른 , H. G. 웰즈 , 에드가 앨런 抛 타입의 이야기-科學的 事實과 豫言的 비전이 混合된 魅力的인 로망스이다…이러한 놀라운 이야기들은 但只 대단히 興味로운 讀書 經驗을 提供할 뿐만 아니라 언제나 敎育的이기도 하다. 이런 이야기는 입맛에 맞는 樣式으로…지식을 傳達하고…오늘날 사이언티픽션에서 描寫된 새로운 冒險들은 後날 充分히 實現 可能하며…역사적 關心을 받도록 豫定된 많은 훌륭한 科學 이야기들이 如前히 쓰여지고 있다…후대에 사이언티픽션은 但只 文學, 픽션 領域에서 뿐만 아니라, 進步의 領域에서도 새로운 評價를 받을 것이다." [3] [4]
  • J. O. 베일리 . 1947. "科學的 픽션의 한 部分은 想像의 發明品 이야기나 自然 科學의 發見, 그리고 必然的인 挑戰과 經驗이다…이것은 반드시 科學的 發見-적어도 作家가 可能한 限 科學에 合理化시킨 發見이어야 한다." [5] [6] [7]
  • 로버트 A. 下人라인 . 1947. "한 番 雜동사니를 그러모아 眞짜배기 SF 이야기를 正義해보자: 1. 條件은 어떤 點에선 반드시, 只今-여기와는 달라야 한다. 비록 差異點이 이야기의 展開 中에 만들어진 發明品 單 하나라고 해도. 2. 새로운 條件은 이야기에서 반드시 本質的 要素가 되어야한다. 3. 問題 그 自體-"플롯"-는 반드시 人間 의 問題與野 한다. 4. 人間의 問題는 반드시 새로운 條件을 통해 만들어졌거나, 아니면 必須不可缺하게 그로부터 影響받아야만 한다. 5. 마지막으로, 確立된 事實은 違反하지 말아야하며, 더 나아가 이야기가 現在 收容되는 理論과 反對되는 理論을 必要로 할 때 새로운 理論은 合理的으로 그럴듯하게 세워져야 하고 作家는 確立된 事實을 可能한 限 만족스럽게 包含하고 說明해야 한다. SF는 억지스러울지도 모르고, 幻想的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絶對로 觀察된 事實을 변화시켜선 안 된다 . 卽, 當身이 人類는 火星人의 後孫이라고 假定한다면, 當身은 반드시 우리와 地球의 類人猿들 間의 明白하게 가까운 關係에 對해서도 說明해야 한다." [8]
  • 존 W. 캠벨 2歲 . 1947. "판타지가 아닌 SF가 되기 위해서는, 知識을 通한 豫言的인 外揷法에 對한 正直한 努力이 必須的이다." [9]
    • ―. "科學的 方法論은 잘 構築된 理論은 모든 알려진 現象을 說明할 뿐만 아니라, 새롭고 아직 發見되지 않은 發見도 豫測한다는 命題를 包含한다. SF는 비슷한 試圖를 하고-그것을 機械만이 아니라 人間 社會에도 適用했을 때의 結果가 어떤 모습일지를 이야기 樣式으로 적어낸다." [notes 1]
  • 데이먼 나이트 . 1952. 一連의 冊 리뷰 칼럼을 始作하며, 나이트는 다음 글을 前提 中 하나로 明示했다. "'科學 小說'이라는 用語는 그릇된 名稱이며, 이와 같은 定義는 團地 피 묻은 주먹으로 歸結된다는 것에 두 名의 매니아는 同意했다. 보다 나은 라벨들이 考案되어 왔는데도(내 생각엔 下人라인의 提案인 '事變 小說'이 가장 좋은 것 같다), 우리는 여기에 매달리고 있다. 萬若 우리가 'The Saturday Evening Post'처럼, 科學 小說은 우리가 그 用語를 입에 담을 때 가리키는 것을 뜻한다는 事實을 記憶한다면, 이 用語는 특별한 害를 끼치진 않을 것이다." [11]
  • 시어도어 스터展 . 1952. "SF 이야기는 科學的 內容物이 아니었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人間의 問題와 解決法을 人類를 中心으로 다루는 이야기이다. [12]
  • 배질 대븐포트 . 1955. "SF는 科學을 통한 想像의 發明品이나 社會의 傾向에 對한 外揷法에 基盤한 小說이다." [13]
  • 에드먼드 크리스親 . 1955. SF 이야기는 "글을 쓰는 時點에서 아직 實際로 經驗되지 못한 技術이나 技術의 影響, 或은 人類와 같은 自然 秩序의 攪亂을 前提한다." [14] [15]
  • 로버트 A. 下人라인 . 1959. "過去와 現在의 現實 世界에 對한 適切한 知識과 科學的 方法論의 性質과 意味에 對한 徹底한 理解에 단단하게 基盤한, 可能性 있는 未來의 事件에 對한 現實的인 推測. 이 定義로 모든 SF('거의 모든' SF가 아닌)를 다루려면 '未來'라는 單語만 削除하면 된다." [16]
  • 킹즐리 에이미스 . 1960. "SF는 散文 이야기의 한 種類로, 우리가 알고 있는 世上에서는 생겨날 수 없는 狀況을 다루지만, 그 技術은 人間이나 外界 生命體에 起源을 두고 있는 科學이나 技術, 或은 類似-科學이나 類似-技術의 몇몇 革新에 基礎를 두고 假說化 된 것이다." [17]
  • 제임스 블리視 . 1960 或은 1964. 사이언스 판타지는 "이야기 全般에서 蓋然性이 具體的으로 呼出되지만, 作家의 變德에 따라 버려지고 어떤 明白한 시스템이나 原則에 기초하고 있지 않은 一種의 混種이다." [18]
  • 로드 셜링 . 1962. "판타지는 蓋然性 있게 만들어진 不可能한 것. SF는 可能하게 만들어진 蓋然性 없는 것." [19]
  • 주디스 메릴 . 1966. "事變 小說: 宇宙, 人間, '리얼리티'에 對해서 投影, 外揷法, 아날로그, 假說과 종이 實驗을 통해 探究하고, 發見하고, 배우는 것이 目標인 이야기. (…) 나는 여기서 '事變 小說'이라는 用語를 特히 假定된 리얼리티의 近似値를 檢査할 때 使用하던 傳統的인 '科學的 方法論'(觀察, 假說, 實驗)의 樣態를 描寫하는 데 使用하고 있는데, 주어진 變化들-想像的이거나 發明된-을 '알려진 事實'의 一般的인 背景에 導入함으로써, 캐릭터의 反應과 認識이 發明品이나 캐릭터, 或은 둘 다에 關한 무언가를 밝히는 環境을 創造한다." [notes 2]
  • 데이먼 나이트 . 1967. "우리가 그걸 SF 라고 부르면 그건 SF다" [22]
  • 어슐러 K. 르 귄 . 1969. "모든 小說은 隱喩다. SF는 隱喩다. 그것이 旣存 小說 形態와 差別化되는 것은, 우리 同時代 삶에서 한 커다란 支配力을 가진 것들― 卽 科學, 모든 分野의 科學, 그리고 테크놀로지, 또 相對主義的이고 歷史的인 見解 等의 것들로부터 가져온 새로운 隱喩들을 使用하기 때문일 것이다. 宇宙 旅行은 그런 隱喩들 中에 하나다. 代案 社會論이나, 代案 生物學徒 그렇다. 未來 또한 그렇다. 小說에 있어 未來란, 隱喩다." [23]
  • 多코 수빈 . 1972. SF는 "疏隔과 認知가 대면하고 相互 作用하며, 作家의 經驗的 環境을 代替하는 想像的 틀이 主要한 形式的 裝置일 것이 必要充分條件인 文學 장르이다." [4] [24]
  • 스타니스와프 렘 . 1973. "어떤 것을 보여주든지 間에 그것이 原則上 經驗的이고 理性的으로 解明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科學小說의 前提이다. 科學小說에서는 解明할 수 없는 驚異로움이나 超越性, 惡魔 等이 決코 存在할 수 없으며, 일어나는 事件들의 類型도 實際로 일어날 法 해야 한다." "科學小說은 比喩가 아니다. 하지만 科學小說은 比喩가 自身의 課業이라고 보지 않는다. 卽 科學小說과 카프카는 創作의 아주 異質的인 두 갈래다. 科學小說은 事實的이지 않다. 그렇지만 科學小說은 事實的인 文學의 一部가 아니다. 未來? 科學小說 作家들이 未來 豫測의 可能性을 얼마나 자주 否認해왔던가! 마침내 科學小說은 21世紀의 神話라 불린다. 그러나 神話의 存在論的 特徵은 半(反)經驗的이며, 技術文明이 神話를 가진다 해도 그 自體가 神話를 具體化할 수는 없다. 神話는 一種의 解釋 乃至 說明이므로, 于先 說明할 對象을 가져야만 한다. 科學小說은 現代의 神話가 된다 하더라도 道德律이 廢棄된 狀態에서 登場하고자 애쓴다." [25]
  • 토머스 M. 디시 . 1973. "모든 s-f의 基本 前提-絶對的으로 모든 일이 일어날 수 있고 또 그래야 한다-는 《An Alien Heat》에서처럼 훌륭하고 愉快하게 實現된 적이 없다." ( 마이클 무어콕 의 1973年 小說 表紙 推薦 文句).
  • 브라이언 올디스 . 1973. "SF는 우리의 發展되었지만 혼란스러운 知識의 狀態(科學)에서 成立될 수 있고 特徵的으로 고딕 또는 포스트-고딕 틀로 빚어진, 사람과 宇宙에서 그가 차지하는 자리의 正義에 對한 探究" [7] [26] Revised 1986. "人間의 正義…", "…포스트-고딕 雰圍氣". [4] [27] [28]
  • 레이 브래드버리 . 1974. SF는 "모든 部門의 人間의 想像力, 모든 努力, 모든 아이디어, 모든 技術的 發展, 모든 꿈을 내밀어 받는 單 하나의 領域이다." "나는 우리를 熱烈한 冒瀆자들의 國民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어떻게 모든 것이 그렇게 됐는지 가 아니라 그렇게 되어야만 했는지 를 測定한다. …우리 美國人들은 우리가 希望하는 것보다 낫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나쁘며, 말하자면, 우리는 歷史上 어떤 逆說的인 國民보다도 더 逆說的인 國民이다. SF가 그러하듯이. 來日의 아침食事에 對抗하는 그때에 對抗하는 只今을 測定하기 위한 줄자가 동난 SF를 위하여. SF는 幾何學的 스레드 사이에 人類를 三角 測量하고, 讚揚하고, 警告한다." "무엇보다도 SF에 對해서는, 저 멀리 完全한 社會를 알아 내려던 플라톤까지 거슬러 올라가, 언제나 道德의 寓話的 敎師였다고 할 수 있다. (…) 이 午後에, 世上에서 그 어떤 巨大한 問題도 SF的 問題가 아닌 것은 없다." "SF는 革命의 픽션이다. 時間, 空間, 醫學, 旅行, 思想의 革命…무엇보다, SF는 그들의 機械로 인해 때로는 高揚되고 때로는 짓눌리는 따뜻한 피를 지닌 人間 男子와 女子의 픽션이다." "그러므로 現在 우리가 보는 SF는, 科學이나 機械를 넘어서 더 많은 것에 關心을 갖고 있다. 더 많은 것 은 언제나 男子와 女子, 아이들 自身이고, 그들이 어떻게 行動하는지, 그들이 어떻게 行動하길 希望하는지에 關한 것이다. SF는 未來의 金屬 構造物만큼이나 未來의 行動 樣態에도 關心을 기울인다." "SF는 생각하는 사람의 눈썹에서 科學이 튀어나오기 前에 科學에 對해 推測한다. 또 該當 分野의 著者들은 이러한 科學의 過失인 機械에 對해 推測한다. 그리고 우리는 人類가 이러한 機械에 어떻게 反應하고, 어떻게 使用하고, 그들과 함께 어떻게 자라나 그들에 依해 破壞될지를 推測한다. 이 모든 것, 이 모든 것이 幻想的이다." [29]
  • 데이비드 케터러 . 1974. "哲學 志向的 SF는 우리가 알고 있는 廣大한 無知의 脈絡 안에서 外삽하여, 人類를 根本的으로 새로운 觀點으로 이끄는 놀라운 도네donnee 나 理論的 解釋이 된다. [4]
  • 노먼 스핀래드 . 1974. "SF로 出刊된 것은 무엇이든 SF다." [4] [7] [30]
  • 아이작 아시모프 . 1975. "SF는 科學과 技術의 變化에 對應하는 人類의 反應을 다루는 文學의 갈래로 定義될 수 있다." [31]
  • 로버트 스콜즈 . 1975. 寓話小說은 "우리에게 우리가 알던 世界와 明確하게 根本的으로 不連續的인 世界를 提供하지만, 結局 어떤 認識的인 方法을 통해 알고있는 世界를 直面하러 돌아오는 픽션이다." [4] [32]
    • ―. 1975. 構造的 寓話小說에서, "事變 小說의 傳統은 宇宙를 體系들의 體系로, 構造들의 構造로 認識함으로써, 그리고 지난 世紀 科學의 洞察力이 假想의 出發點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修正된다. 그러나 構造的 寓話小說은 方法論的으로 科學的이지도 않고, 眞짜 科學의 代用品度 아니다. 그것은 最新 科學의 影響으로 認識 可能해진 人間의 條件에 對한 假想의 探究이다. 構造的 寓話小說이 가장 選好하는 테마는 人間이나 物理 科學에서 誘發된 發展 或은 啓示, 사람들이 반드시 그와 함께 살아야 할 啓示 或은 發展이 주는 衝擊이다." [4] [32]
    • ― 그리고 에릭 랩킨 . 1977. "…SF는 人類에 依해 다른 未來가 想像될 수 있을 때만 文學 樣式으로 存在하기 始作할 수 있다-특히 現在와 過去에 親熟한 패턴으로부터 삶을 根本的으로 변화시킬 새로운 知識, 새로운 發見, 새로운 冒險, 새로운 變異가 있는 未來를." " 단테 밀턴 의 世界는 SF와는 別個의 것인데, 왜냐하면 그들은 科學的 思辨이나 (얼마나 느슨하든) 科學에 기초한 想像力 代身 宗敎的 傳統에서 비롯된 計劃下에 建築됐기 때문이다." [33]
  • 제임스 건 . 1977. "SF는 現實 世界에 사는 사람의 變化가 미치는 影響이 過去, 未來, 或은 먼 場所로 投影될 수 있는 것처럼 다루는 文學의 갈래다. SF는 스스로를 자주 科學的이거나 技術的인 變化와 함께 考慮하고, 一般的으로 個人이나 集團보다 더 巨大한 重要性을 가진 問題를 包含한다. 이를테면 文明이나 種族이 處한 危險이 그렇다." [34]
  • 多코 수빈 . 1979. "SF에서는 認知的 論理에 依해 檢證된 假想敵 " 노붐 "(參神, 革新)의 내러티브 支配 或은 헤게모니가 두드러진다." [35]
  • 패트릭 牌린더 . 1980. "'하드' SF는 '단단한 事實hard facts'과 함께 '하드'하거나 工學的인 科學에 聯關돼 있다. 하드 SF의 基本 性向이 現實的이긴 하지만, 未來 世界에 對한 現實的인 推測을 隨伴할 必要는 없다. 차라리 하드 SF는 科學者들에게 가장 어필하고 種種 그들 自身에 依해 쓰여지는 SF의 種類이다. 典型的인 '하드' SF 作家는 이야기에 對한 機會를 提供할 수 있는 새롭고 낯선 科學的 理論과 發見을 찾고, 그것의 가장 敎訓的인 劇團에서, 이야기는 但只 讀者에게 科學的 槪念을 紹介하기 위한 틀에 不過하다." [36]
    • ―. 1980. "('소프 오페라'보다는 '호스 오페라' 西部劇을 聯想시키는) '스페이스 오페라'는 이것[牌린더 自身의 "하드 SF" 正義를 뜻함]과는 正反對다. 멜로드라마틱한 冒險-판타지는 얄팍하기 짝이 없는 科學的 基礎 위에서 進化한 테마와 背景을 包含한다. [36]
  • 데이비드 프링글 . 1985. "SF는 幻想的 픽션의 樣式으로, 現代 科學의 想像的 觀點을 攻擊한다." [37]
  • 킴 스탠리 로빈슨 . 1987. Sf는 "歷史的 文學이다. …모든 sf 이야기에는, 明示的이거나 暗示的으로 우리의 現在의 瞬間이나 우리의 過去의 어떤 瞬間을 描寫하는 時代를 連結하는 假想 歷史가 있다. [4] [38]
  • 크리스토퍼 에반스 . 1988. "아마도 가장 明快한 定義는 SF가 '萬若 이랬다면? what if?'의 文學이라는 것이다. 萬若 우리가 時間 旅行을 할 수 있다면? 萬若 우리가 다른 行星에 살고 있다면? 萬若 우리가 外界 種族과 만난다면? 其他 等等. 出發點은 作家가 우리가 알던 것을 只今과는 다르게 假定하는 것이다." [39]
  • 아이작 아시모프 . 1990. "'(하드) SF'[는] 眞正한 科學的 知識과 함께 플롯 開發과 解決이 그 知識에 依存하는 것이 特徵인 이야기이다." [40]
  • 아서 C. 클라크 . 2000. "SF는 일어날 수 있는 -하지만 우리 大部分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판타지 小說이란 일어날 수 없는 것이지만, 우리는 種種 그것이 일어나길 바란다."(강조는 原著者) [41]
  • 홍인기 . 2001. "“驚異感”은 日常生活에서 接할 수 있는 事物이나 事件과는 다른 무엇인가를 經驗할 때 우리가 느끼는 一種의 精神的인 “衝擊(shock)”에서 始作된다. 그러나 “衝擊”만으로는 不足하다. (…) 科學小說이 주는 “衝擊”은 不文律처럼 우리가 無意識的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價値體系와 世界觀이 깨져나가면서 發生한다. (…)“槪念的 突破”가 일어나는 그 瞬間 讀者는 “疏外感”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두 가지 連續的인 現象을 우리는 한데 합쳐서 “認知的 疏外(cognitive estrangement)”라고도 부른다. 科學小說을 읽는다는 知的인 活動을 통해 패러다임의 變化를 感知하고 그에 따른 認識의 變化過程을 經驗하는 過程 全體가 그 한마디 用語에 들어가 있는 셈이다." [42]
  • 듀나 . 2005. "SF의 讀書는 重要합니다. 그건 現代社會가 科學과 技術의 發展에 依해 끊임없이 變化하는 力動的인 世界이고 이 世界에서 살아남으려면 아직 다가오지 않은 世界와 일어나지 않은 모든 可能性에 對한 깊은 思考와 豫測은 必須的이기 때문입니다. SF는 바로 그런 事故를 다루는 장르입니다." [43]
  • 제프 프루處 . 2006. SF는 "우리의 世界와는 다른 背景(이를테면 새로운 技術로 만들어진 發明品을 통해, 外界人과의 만남을 통해, 다른 歷史를 가져서, 其他 等等)을 지닌, 그리고 그 差異點이 하나나 그 以上의 變化나 推測을 通한 外揷法에 기초한 (文學, 映畫, 其他 等等의) 장르이며, 따라서 이런 장르에서는 差異點이 (明示的으로나 暗示的으로) 超自然的인 것과는 反對로 科學的이거나 合理的으로 說明된다." [44]
  • 테드 窓 . 2009. "SF는 變化의 文學이며, 世上이 急進的으로 變할 수 있음을 認定하며 現實에 反映합니다."
  • 스티븐 샤비로 . 2014. "그것이 未來胎―卽, 現在 實在的이지만 現實的이지는 않는 것―를 具體化하는 方式 때문에 科學小說은 恒常 文字 그대로 看做되기를 要求한다. 成功的인 科學小說 作品은 무엇이든 强力한 實在 效果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科學小說의 描寫를 그저 알레고리 또는 隱喩로 看做할 수 없다. 또한 우리는 그 描寫를 우리―또는 小說 世界 속의 登場人物들―에게 不可避하게 주어진 事實的 條件으로 受容할 必要가 있다." [45]

連帶 不明(著者 이름 알파벳 順序 羅列) [ 編輯 ]

  • 존 보이드 . "…普通 現實的인 픽션에 비해 想像的인, 個人[이나] 社會의 行動에 效果를 惹起하는 現在의 科學的 發見(들)이나 外삽된 科學的 發見(들)에 關한 스토리텔링" [46]
  • 배리 N. 말츠버그 . SF는 "想像된 未來, 代替된 現在, 代替된 過去에서 代替된 技術이나 社會 體系가 人類에 미칠 수 있는 影響을 다루는 픽션의 갈래이다." [7]
  • 톰 쉬피 . "SF는 變化의 文學이며 定義하는 동안 變化하기 때문에 定義하기 힘들다." [7]

各州 [ 編輯 ]

內容主 [ 編輯 ]

  1. 조지 O. 스미스의 《Venus Equilateral》 시리즈 序論에서, 원글은 1947年 出刊. [10]
  2. 원글은 《외삽 Extrapolation》 1966年 5月號에 실림. [20] [21]

參照週 [ 編輯 ]

  1. 例를 들어 패트릭 패린더는 말하길, "SF의 定義는 어려운 理想을 向한 一連의 論理的 近似値라기보다는 그들 自身에 寄生하는 下位 장르이다." 패트릭 牌린더 (1980). Science Fiction: Its Criticism and Teaching. London: New Accents.
  2. Stableford, Bria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1993). "Definitions of SF". I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London: Orbit/Little, Brown and Company. pp. 311?314. ISBN   1-85723-124-4 .
  3. 원글은 《 어메이징 스토리즈 》 1926年 4月號에서 실림
  4. [1993]年 認容: Stableford, Bria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1993). "Definitions of SF". I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London: Orbit/Little, Brown and Company. pp. 311?314. ISBN   1-85723-124-4 .
  5. Quoted in [1993] in: Stableford, Bria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1993). "Definitions of SF". In Clute, John, and Nicholls, Peter.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London: Orbit/Little, Brown and Company. pp. 311?314. ISBN   1-85723-124-4 .
  6. Originally published in 《Pilgrims of Space and Time》 (1947)
  7. Quoted in Jakubowski, Maxim & Edwards, Malcolm , 編輯. (1983) [1983]. 《The Complete Book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Lists》. London: Granada . ISBN   0-586-05678-5 .  
  8. Originally in Eshbach, Lloyd Arthur , 編輯. (1947). 《Of Worlds Beyond》. New York: Fantasy Press . 91쪽.   ; cited from 1964 reprint.
  9. Originally in Eshbach, Lloyd Arthur, ed. (1947). Of Worlds Beyond. New York: Fantasy Press. p. 91.; cited from 1964 reprint.
  10. Smith, George O. (1975). 《Venus Equilateral》 . London: Futura Publications. 9 –10쪽.  
  11. Knight, Damon (1952). "Science Fiction Adventures". Science Fiction Adventures (1952 magazine) (1): 122. Punctuation was misprinted in the original magazine; the quote is punctuated as Knight had it in his collection of essays In Search of Wonder, Chicago: Advent, 1956.
  12. James Blish, writing as William Atheling, Jr., cited this definition of Sturgeon's from a talk he had given. Blish's article was published in the Autumn 1952 issue of Red Boggs' fanzine 《Skyhook》. Sturgeon subsequently complained to Blish that he had intended the definition to apply only to good science fiction. Atheling Jr., William (1967). 《The Issue At Hand》. Chicago: Advent. 14쪽.  
  13. Davenport, Basil (1955). 《Inquiry Into Science Fiction》 . New York: Longmans, Green and Co. 15 쪽.  
  14. Wyndham, John (1963). 《The Seeds of Time》. Harmondsworth: Penguin. 7쪽.   , quoted from the Penguin reprint; the original publication was 1956 by Michael Joseph.
  15. “Definitions of Science Fiction” . 2006年 10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12月 3日에 確認함 .  
  16. From Heinlein's essay "Science Fiction: Its Nature, Faults and Virtues", originally in Davenport, Basil , 編輯. (1959). 《The Science Fiction Novel: Imagination and Social Criticism》. Advent.   ; cited from Knight, Damon , 編輯. (1977). 《Turning Points:Essays on the Art of Science Fiction》 . New York: Harper and Row. 9 쪽.  
  17. Amis, Kingsley (1960). 《New Maps of Hell》. New York: Ballantine . 14쪽.  
  18. In "Science-Fantasy and Translations:Two More Cans of Worms", by James Blish. Cited from a 1974 reprint of Blish, James (1970). 《More Issues At Hand》 . Chicago: Advent. 100 쪽.   . According to the front matter, this essay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wo parts, in 1960 and 1964. Blish lists a variety of sources, some fanzines and some professional magazines, from which the book was drawn, but does not specify which particular sources formed the basis of this essay.
  19. Rod Serling (1962年 3月 9日). 《The Twilight Zone, "The Fugitive"》.  
  20. Parrinder, Patrick (2000). 《Learning from Other Worlds》 . Liverpool: Liverpool University Press. 300 쪽.  
  21. Clareson, Thomas D. (1971). 《Sf: The Other Side of Realism》. Bowling Green, OH: Bowling Green University Popular Press. 60쪽.  
  22. Knight, Damon Francis (1967). In Search of Wonder: Essays on Modern Science Fiction. Advent Publishing, Inc. p. xiii. ISBN 978-0-911682-31-1 .
  23. 어슐러 K. 르 귄, 어둠의 왼손 序文., 時空社, 2009. 飜譯文 Archived 2015年 5月 18日 - 웨이백 머신
  24. Originally published in 1972
  25. 스타니스와프 렘 (1973).,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Science Fiction . 飜譯文 Archived 2016年 3月 5日 - 웨이백 머신
  26. Aldiss, Brian (1973). 《Billion Year Spree》 .  
  27. Aldiss, Brian ; Wingrove, David (1986). 《Trillion Year Spree: The History of Science Fiction》 . London: Gollancz . ISBN   0-575-03942-6 .  
  28. 복거일 飜譯(2014)., 복거일 "科學小說은 未來, 價値 모르는 韓國 안타깝다" Archived 2015年 5月 18日 - 웨이백 머신
  29. Farrell, Edmund J.; Gage, Thomas E.; Pfordresher, John; Rodrigues, Raymond J., 編輯. (1974). 《Science Fact/Fiction》 . Scott, Foresman and Company.   Introduction by Ray Bradbury .
  30. The quote is from the introduction to Spinrad, Norman , 編輯. (1974). 《Modern Science Fiction》 . Anchor Press.  
  31. Asimov, "How Easy to See the Future!", 《Natural History》, 1975
  32. Scholes, Robert (1975). 《Structural Fabulation》 .  
  33. Scholes, Robert ; Rabkin, Eric S. (1977). 《Science Fiction: History, Science, Vision》 .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34. 《Road to Science Fiction Vol 1》.  
  35. 《Metamorphoses of SF No 63》.  
  36. Parrinder, Patrick (1980). 《Science Fiction: Its Criticism and Teaching》. London: New Accents. 15쪽.  
  37. Pringle, David (1985). 《Science Fiction: The 100 Best Novels》 . London: Xanadu. 9 쪽.  
  38. Robinson, Kim Stanley (1987). “Notes for an Essay on Cecelia Holland” . 《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review of science fiction 》 (40). ISSN   0306-4964 . 2014年 12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2月 1日에 確認함 .  
  39. Evans, Christopher (1988). 《Writing Science Fiction》. London: A & C Black. 9쪽.  
  40. Greenberg, Martin & Asimov, Isaac , 編輯. (1990). 《Cosmic Critiques》. Cincinnati: Writer's Digest Books . 6쪽.  
  41. Clarke, Arthur C. (2000). Patrick Nielsen Hayden, 編輯. 《The Collected Stories of Arthur C. Clarke》. New York: Orb Books . ix쪽. ISBN   0-312-87860-5 .  
  42. 홍인기(2001)., 이매진 칼럼 : 科學小說을 읽는 사람들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現在 링크 流失, 2015年 確認.) 퍼온 글
  43. 듀나 (2005)., 우리는 왜 SF를 읽는가?
  44. Prucher, Jeff (2007). 《 Brave New Word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1 쪽.  
  45. 스티븐 샤비로 (2014)., Dark Eden , 飜譯文
  46. Pandey, Ashish (2005). “Academic Dictionary of Fiction” . Delhi, India: Isha Books. 137쪽 . 2011年 10月 3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