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PMAP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PMAP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파일:PMAP-logoV8-2blue.png
PMAP 로고

PMAP (Proteolysis MAP)는 蛋白質 分解 酵素 에 焦點을 맞춘 統合 웹 리소스 이다. [1]

理論的 解釋 [ 編輯 ]

PMAP은 蛋白質 分解 네트워크 大使經路 에 對한 推論에서 蛋白質 分解 酵素를 硏究하는 硏究員을 돕기 위한 것이다.

歷史와 資金 [ 編輯 ]

PMAP는 元來 캘리포니아 라호야에 있는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에서 開發되었다. 2004年 國立保健院 (NIH)은 Jeffrey W. Smith가 이끄는 팀을 選擇하여 CPP(蛋白質 分解 經路 센터)를 設立했다. 生醫學 硏究를 위한 NIH 로드맵의 一環으로 이 센터는 蛋白質의 移動을 硏究하고 그 知識을 科學界 全體에 配布하는 技術을 開發한다.

焦點 [ 編輯 ]

蛋白質 分解 酵素는 蛋白質 펩타이드 結合 을 切斷하여 細胞 內部와 外部 모두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을 調節하는 酵素 의 한 種類이다. 이 活動을 통해 4가지 必須 細胞 機能인 細胞 分化 , 運動性, 細胞 分裂 , 細胞死滅 을 制御하고 血液凝固 의 生化學的 캐스케이드 效果와 같은 重要한 細胞 外 이벤트를 活性化한다. 簡單히 말해서 蛋白質 分解 酵素가 없다면 生命이 存在할 수 없다. 이를 온라인 分類 시스템인 MEROPS 데이터베이스에 貯藏되어 있다.

目標 [ 編輯 ]

蛋白質 分解 經路 또는 蛋白質 分解는 特定 刺戟에 反應하여 發生하는 댄白質 分解 酵素에 依해 制御되는 一連의 事件이다. 血液 凝固 外에도 인슐린 生産은 蛋白質 分解 經路로 볼 수 있다. 그 蛋白質의 活性化, 調節 및 抑制는 蛋白質 分解 酵素가 變化하는 葡萄糖 水準에 反應하고 다른 蛋白質 分解 酵素의 다운스트림을 誘發하는 結果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베이스 콘텐츠 [ 編輯 ]

PMAP는 5個의 데이터베이스를 統合한다. ProteaseDB 및 SubstrateDB는 分子 情報가 豐富한 動的 '分子 페이지'를 生成하는 自動化된 主席 파이프라인에 依해 구동된다. CutDB에는 6,600個 以上의 蛋白質 分解 이벤트에 對한 情報가 있으며 ProfileDB는 蛋白質 分解 酵素의 氣質 認識 特異性에 對한 情報를 提供한다. [2] PathwayDB는 機能을 規則 基盤 方式으로 動的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大使經路 서비스를 提供한다.

使用 [ 編輯 ]

PMAP의 人氣 目的地는 Protease Molecule Pages 및 Substrate Molecule Pages이다. 蛋白質 分解 酵素 페이지는 펍메드 文獻의 蛋白質 分解 酵素, 알려진 蛋白質 分解 事件 , 蛋白質 도메인 位置 및 蛋白質 構造 보기의 最新 뉴스와 다른 生物情報 데이터베이스 섹션의 交叉 註釋을 보여준다. Substrate Molecule Pages는 주어진 關心 蛋白質 標的에 對한 蛋白質 도메인 및 實驗的으로 誘導된 蛋白質 分解 酵素 切斷 部位를 標示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 Cytoscape
  • 電算 誘電體學
  • 大使 네트워크 모델링
  • 蛋白質-蛋白質 相互作用 豫測

各州 [ 編輯 ]

  1. Igarashi, Y; Heureux, E; Doctor, KS; Talwar, P; Gramatikova, S; Gramatikoff, K; Zhang, Y; Blinov, M; Ibragimova, SS (2008). “PMAP: databases for analyzing proteolytic events and pathways” . 《 Nucleic Acids Research 37 (Database issue): D611?D618. doi : 10.1093/nar/gkn683 . PMC   2686432 . PMID   18842634 .  
  2. Igarashi Y, Eroshkin A, Gramatikova S, Gramatikoff K, Zhang Y, Smith JW, Osterman AL, Godzik A. CutDB: a proteolytic event database. Nucleic Acids Research . 2007 D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