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戱化 (官職)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戱化 (官職)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戱化 (羲和)는 中國 傳한 末期 ~ 新나라 의 官職이다.

槪要 [ 編輯 ]

傳한 平帝 때인 遠視 2年( 2年 ) 2月에 처음으로 設置하였으며, 俸祿은 2千 席이었다. 敎化를 管掌하고, 亂雜한 祭祀 · 淫亂한 音樂을 團束하였다. 속管으로 外事(外史) · 女史(閭師)를 두었으며, 둘 다 俸祿은 6百 席이었다.

漢書 》 卷19에는 戱化는 前漢의 大司農 에 該當한다고 記錄되어 있는데, 戱化가 처음 設置된 遠視 年間에도 大司農의 存在가 確認되며 또 職務가 全혀 다른 것으로 보아, 처음에는 두 官職이 別個로 있었다가 大司農이 戱化로 吸收된 것으로 보인다.

戱化는 新나라 때에도 維持되었다가 名稱이 納言 (納言)으로 고쳐졌으며, 新나라 滅亡 後 後漢 때 大司農으로 되돌려졌다.

出戰 [ 編輯 ]

  • 班固 , 《 漢書 》 卷12 坪提起(平帝紀) · 卷19床 百官공경표(百官公卿表) 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