興天寺名 同種

興天寺地 同種
(興天寺銘 銅鍾)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種目 寶物 第1460號
( 2006年 1月 17日 指定)
數量 1期
時代 朝鮮時代
所有 國有
位置
德壽宮 (大韓民國)
住所 서울特別市 鍾路區 辭職로 161,
景福宮 (세종로)
座標 北緯 37° 33′ 57″ 東經 126° 58′ 31″  /  北緯 37.56583° 東京 126.97528°  / 37.56583; 126.97528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興天寺名 同種 (興天寺銘 銅鍾)은 서울特別市 鍾路區 景福宮 에 있는 朝鮮時代 梵鍾 이다. 2006年 1月 17日 大韓民國의 寶物 第1460號로 指定되었다. [1] 1938年에 日帝가 德壽宮 光明門으로 옮겨 展示하다가, 2019年에 光明門이 元 位置로 移轉함에 따라 景福宮 闕內各司地에서 復元 및 補修 作業을 거치고 있다. [2]

槪要 [ 編輯 ]

興天寺는 朝鮮 太祖의 后妃人 신덕王后의 陵寢人 정릉 옆에 세워졌던 能事로, 太宗 年間에 정릉이 漢陽都城 바깥으로 이건된 뒤에도 興天寺는 城內에 남아 있었다. 興天寺종의 終身에 새겨진 名門에 따르면 世祖 7年 神社(1461年) 여름 5月 임자에 洋酒 檜巖寺에서 事理分身이 일어났을 때 효령대군 이 그 舍利 가운데 25枚를 漢陽으로 가져왔고, 世祖 夫婦가 內戰에서 이를 禮拜하였을 때 含元殿에서도 事理分身이 일어나, 朝鮮 王室의 操縱 및 一切含靈을 爲해서 如來像 한 具를 造成하고 中宮과 世子를 爲해 한 具를 造成하고, 觀音과 支障 두 菩薩像을 만들어서 各各 그 안에 舍利를 安置하고 興天寺의 事理角에 奉安한 것을 記念하기 위해서 이 梵鍾을 製作하게 되었다고 [3] 한다.

現存하는 朝鮮 前期의 王室發源 梵鍾 가운데서 가장 이른 時期의 것으로 典型的인 朝鮮鐘 樣式을 띤다. 高麗 末期의 軟輻射種의 樣式과도 비슷하나 軟輻射鐘과 달리 終身에 方形區劃이 없고 口緣部가 水平에, 雙龍뉴에는 陰通이 없고 天板이 둥글고 天板 위쪽에 원공이 있다. 終身 가운데 굵은 橫隊로 上下 兩分되어 있으며, 위쪽에는 方形의 年罍와 戀廓이 四方에 配置되었고 年罍와 戀廓 사이에는 菩薩立像이 한 具씩 새겨져 있다(이러한 文樣配置方式은 傳統的인 考慮 梵鍾 樣式을 받아들인 것이다). 終身 아랫部分에는 긴 發願文이 陽刻으로 새겨져 있고, 名門 아래쪽으로 數波紋代가 있다. [4]

興天寺종의 名門에 새겨진 責任者들의 名單에서 가장 높은 責任者인 都提調는 世宗의 손윗兄이자 世祖의 큰할아버지로써 그 自身도 佛敎에 歸依한 人物이었던 효령대군을 비롯해 임영대군 , 영응대군 等 王室의 宗親이며, 製造는 조석문, 金鎧 等 世祖의 反正에 參與했던 다섯 名의 功臣이다. 副提調와 郎廳, 花園, 丈人의 이름도 記錄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都提調와 提調, 副提調는 大部分이 世祖의 卽位에 큰 役割을 했던 功臣으로, 興天寺종은 佛敎的인 發源을 담은 梵鍾이기는 하지만 同時에 功臣들의 이름을 記錄해 남기고자 한 공덕종의 性格을 띠고 있다. [5]

興天寺종은 高麗 末부터 收容된 中國縱的인 要素 가운데 韓國 傳統 梵鍾에서 보였던 形式과 要素가 加味되어 새로운 朝鮮 前期의 種으로 定着되는 過程을 잘 보여주는 梵鍾이다. 以後 만들어지는 朝鮮 前期 梵鍾의 하나의 基準이 되는 作品이라는 點에서 興天寺종은 다른 朝鮮 前期 梵鍾의 發展過程을 보여주는 紀念碑的인 作品이라 할 수 있다. [1] 크기나 文樣·主潮技術의 卓越함 外에도 王室에서 發源(發願)韓 種이어서 各 分野의 館長(官匠)들이 大擧 參與해 만들어졌으며 名文(銘文)은 造成 當時의 匠人 組織의 體系를 알려 주고 있다는 點 等에서 當時의 社會 諸般 事項을 理解할 수 있는 貴重한 資料이기도 하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文化財廳考試制2006-6號,《國家指定文化財〈寶物〉指定》, 文化財廳長, 官報 第16173號, 2006-01-17
  2. 여태경 (2019年 3月 1日). “高宗의 沈澱 지키던 德壽宮 光明門 80年 만에 제자리 찾았다” . 뉴스1 . 2020年 1月 12日에 確認함 .  
  3. '興天寺종名' 《朝鮮金石總覽》하, pp.739~742.
  4. 주경미(2007) <朝鮮 前期 王室發元宗의 硏究> 《東洋學》42卷 42號, 단국대학교 東洋學硏究원, 8쪽
  5. 주경미(2007) 같은 論文, 《東洋學》42卷 42號, 단국대학교 東洋學硏究원, 16쪽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