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민중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민중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해색주 에서 넘어옴)

민중왕
閔中王
第4代 高句麗 國王
在位 44年 10月 ~ 48年 (陰曆)
前任 대무신왕
後任 모본왕
이름
해색주(解色朱) [1] · 海邑週(解邑朱) [2]
시호 民衆(閔中)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5年 ~ 18年)
死亡日 48年
父親 瑠璃明王
母親 未詳
配偶者 未詳
陵墓 민중원(閔中原)

민중왕 (閔中王, ?~ 48年 )은 高句麗 의 第4代 國王 으로 瑠璃明王 의 아들이다.

生涯 [ 編輯 ]

誕生과 家計 [ 編輯 ]

이름은 해색주 (解色朱) 또는 海邑週 (解邑朱)이다. 《 三國史記 》에는 해색주로, 《 東國通鑑 》에는 海邑主로 記錄되어 있다. 色(色)과 邑(邑)의 筆劃이 비슷하여 《東國通鑑》의 著者들이 《三國史記》를 參考하여 執筆하던 中 誤字를 쓴 것으로 보인다.

동명성왕 의 孫子이며 瑠璃明王 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누구인지 記錄되어 있지 않다. 대무신왕 의 아우이며 兄의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 《 三國遺事 》에는 大武神王의 아들이라고 記錄되어있다.

兄인 大武神王이 4年에 태어났고 아버지 瑠璃明王이 18年에 死亡하였으므로 出生年度는 5年에서 18年 사이로 比定된다. 48年에 死亡하였으므로 死亡 當時의 나이는 最小 30歲에서 43歲 사이로 推定된다.

卽位와 死亡 [ 編輯 ]

卽位 背景 [ 編輯 ]

44年 陰曆 10月, 대무신왕 의 뒤를 이어 卽位하였다. 《 三國史記 》에는 大武神王이 死亡할 當時 大武神王의 아들인 太子 해우 (모본왕)가 어렸기 때문에 나라 사람들이 해색주를 王으로 推戴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하지만 大武神王의 아들인 解憂는 12年前인 32年(대무신왕 15年)에 이미 太子로 冊封된 狀態였기 때문에 어떤 理由로 민중왕이 王位를 繼承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3]

44年 (민중왕 1年) 陰曆 11月에 對赦免令을 내렸으며, 45年 (민중왕 2年) 陰曆 3月에는 臣下들에게 큰 宴會를 베풀었다. 陰曆 5月에는 나라 東쪽에서 洪水가 나서 百姓들이 굶주리자 倉庫를 열어 賑恤했다. [4]

47年 (민중왕 4年)에 사냥을 나간 민중왕은 민중원(閔中原)에 이르러 石窟을 發見하고 이곳에 自身을 葬事지낼 것을 命하였다. 陰曆 10月에는 잠羽樂部(蠶友落部)의 代가(大家)인 大勝(戴升) 等 1萬餘 가(家)가 樂浪으로 가서 한나라 에 投降하였다. [4]

48年 (민중왕 5年), 王이 죽자 遺言에 따라 石窟에 葬事지내고 陵墓人 민중원의 地名을 따서 諡號를 민중왕 (閔中王)이라 하였다. [4]

三國史記 》에 '王后와 여러 臣下들이 임금의 遺言을 어기기 어려워 石窟에 葬事 지내고'라는 記錄으로 보아 민중왕에게 王后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王后를 비롯해 민중왕의 家族과 關聯한 仔細한 記錄은 남아있지 않다. [4]

家族 關係 [ 編輯 ]

  • 아버지  : 瑠璃明王 (瑠璃明王, 紀元前 38~紀元後 18)
  • 어머니  : 未詳
    • 王妃  : 未詳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三國史記
  2. 東國通鑑
  3. 三國史記 》 卷 第14, 高句麗本紀 第2, 대무신왕
    12月, 王子 해우(解憂, 모본왕 )를 太子로 삼았다.
  4. 三國史記 》 卷 第14, 高句麗本紀 第2, 민중왕
前 代
대무신왕
第4代 高句麗 國王
44年 - 48年
後 臺
모본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