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海里 (心理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海里 (心理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海里
다른 이름 Dissociation
診療科 精神醫學

海里 (解離, Dissociation)는 無意識的  防禦機制 의 하나이며, 한 個人에게 있어 某種의 一連의 心理的 또는 行動的 過程을, 個人의 精神活動에서 隔離시키는 것을 말한다. 추상적으로 表現한다면, 感覺, 知覺, 記憶, 事故, 意圖라고 하는 個個의 體驗의 要素가 「나의 體驗」「나의 人生」으로 一般的으로 統合되어 있는 것들의 흐트러짐이자, 統合性의 喪失을 이른다. [1]

그 中에는 누구에게나 있는 正常的인 範圍부터, 障礙로 다루어지는 段階까지를 包含한 폭넓은 解釋이 있지만, 一般的으로는  해리性 障礙 , 더불어 그 中에서도 代表的인  해리性 正體性 障礙 를, 或은 그 症狀을 가리키는데 쓰이는 일이 많다.

歷史 [ 編輯 ]

자네, 프린스, 설리반 [ 編輯 ]

'해리'라는 槪念을 만든 것은 프랑스 精神科醫師 피에르 자네 (P.Janet)라고 알려져 있다. 자네는 1889年 著書 『心理自動症』에서 '意識의 海里'를 論하고, '어떤 種類의 心理現象이 特殊한 一群을 이뤄서 잊어버리게 되는 狀態'를 '海里에 依한 下意識'이라고 부르고, 그 結果 생기는 모든 症狀이 히스테리라고 하였다. 그리고 現在 해리性同一性障礙와 一致하는 意味에서 '繼續的復讐存在'를 論하고, 그 心理規制를 '心理的해리(desagregation psychologique)'라고 불렀다. 자네는 'dissociation'이라는 用語를 使用하였지만 이를 '모든 機能의 海里(分散)'으로 一般用語로서 使用하고, 心理機制로서의 'desagregation'과는 區別하였다. 特히 '記憶 海里에 依한 治療'라는 表現으로서 '해리'는 '해리性障礙(Dissociative Disorder)'의 '해리'가 아니라 '記憶에서 分離된다' 卽 '그런 건 잊게 한다'는 意味인 것이다. 英語圈 精神醫學用語로서 dissociation은 1905年 美國 모턴 프린스(Morton Prince)가 『人格의 海里(The Dissociation of a Personality)』에서 처음 使用하였다. 이를 발전시킨 해리 스택 설리번 (Harry S. Sullivan)은 同性愛禁忌나 敎會權力 等 文化的 壓力에서 解離된 人格部分이 '解離된 시스템(Dissociated System)'으로서 幻聽이나 逃避 等의 行爲를 誘導한다고 보았다. [2] 설리번의 强力한 影響 下에서 第2次世界大戰 以後 海里 硏究는 社會心理學이나 性格障礙 硏究를 綜合하는 形態로 美國을 中心으로 發展되었다.

海里, 抑壓, 分列 [ 編輯 ]

같은 時期, 프로이트 (S. Freud)는 抑壓이라는 槪念을 使用하여 精神分析을 正立하고 있었다. 힐가드(Ernest R. Hilgard)는 1977年 論文에서 프로이트의 抑壓 槪念은 '水平의 壁 或은 뚜껑'이라고 表現하였다. 卽 無意識은 意識과 다르기에 그 水面 아래에 가라앉은 記憶은 想起할 수 없다. 이에 反하여 해리는 相互 連絡은 不可能하지만, 各各의 意識狀態에 있어 다른 意識·無意識이 있는 境遇이다. 여기서 해리는 水平의 壁(뚜껑)李 아니라 '垂直의 壁 或은 뚜껑'이라는 것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一定한 體驗 記憶과 이에 關한 事故는 通常의 儀式에서 分離된다는 點에서는 같다. 防禦機制에 關하여서 해리와 같은 垂直의 壁(뚜껑)에 該當하는 것으로 分列 (splitting)이 있다. 멜라니 클라인 (Melanie Klein)은 例를 들어 아기가 잘 나오는 젖가슴과 그렇지 않은 젖가슴을 같은 걸로 認識하지 못하지만 成長하면서 이 둘을 같은 것으로 認識할 수 있는데, 스플리팅은 그렇지 못한 狀況, 卽 成長과 認識이 疏外된 狀態라고 說明한다. 分裂은 對象을 나누지만, 해리는 自己가 나뉜다는 것이 다르다.

正常的인 範疇부터 障礙 段階까지 [ 編輯 ]

生物學的해리와 心理的해리 [ 編輯 ]

퍼트남(Putnam,F.W.)과 함께 北美에서 해리性障礙의 代價로 알려진 콜린 로스(Collin A. Ross)는 1997年 해리性同一性障礙에 있어 治療者를 위한 敎科書라고 불리는『해리성동일성장애 : 多重人格의 診斷, 臨床的 特徵 및 治療(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 diagnosi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multiple personality)』改訂版 [3] 에서 해리를 '病的/健康'과 '心理的/生物學的' 두 가지 軸에 따라 總 네 가지 範疇로 나뉜다.

- 健康한 心理的해리는, 講義가 지겨워지는 心理現象으로 인하여 白日夢을 꾸고 授業 內容을 떠올리지 못하는 것과 같다.
- 健康한 生物學的해리는, 睡眠이라는 生物學的 現象과 함께, 밤에 化粧室에 간 것을 記憶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 病的인 生物學的해리는, 腦震蕩이라는 腦에서의 生物學的 影響으로 인해 交通事故를 떠올리지 못하는 것과 같다.
- 病的인 心理的해리는 해리性障礙라고 한다.

後述할 힐가드(Ernest R. Hilgard) 實驗에서와 같이 催眠에 依하여서도 意圖的으로 해리를 誘發할 수 있으나, '健康한 心理的해리'이며, 藥물에 依해서도 해리를 誘發하는 境遇가 있지만, 이는 '病的인 生物學的해리' 範疇에 屬하지만, 해리性障礙는 아니다.

連續的인가 不連續的인가에 關한 論爭 [ 編輯 ]

콜린 로스의 두 軸 中 하나인 '病的/健康'이 있지만, 자네(Janet)도 몰턴 프린스(M.Prince)도 "現在 해리성동일上障礙 或은 해리性障礙 範疇에 對하여 '해리'라는 用語를 使用하고 있지만, '正常的 海里'와 같은 건 想像도 하고 있지 않다. 이를 頂上 或은 日常的 範疇로까지 擴大한 것이 힐가드의 '신해리론(Neodissociation theory)' [4] 으로, 催眠實驗이다. 여기에서 '해리'는, 普通사람에게도 나타나는 正常狀態에서 障礙로 다뤄지는 異常狀態까지가 무段階的으로 連續된다.

퍼트남度 當初에는 이 連續體모델 立場에 있었으나, 1986年 아직 이러한 段階에 關하여서 定立되어있지 않을 때, 해리體驗尺度(DES:Dissociative Experience Scale)를 作成한다. 그리고 그 해리體驗尺度가 큰 사람들 中에 해리性障礙가 있는 可能性이 있다고 본다. DES는 正常 範疇의 해리現象에서 精神病的인 해리現象까지에 關하여 質問하는 28個 項目 質問紙이며, 各 質問에 0%에서 100%까지 11段階로 對答하고, 全體 28個 項目의 平均體驗率을 DES 點數로 한다. DES 點數가 平均 30點 以上이면 해리性障礙를 疑心해볼 만하다. 어디까지나 選別檢査(screening test)에 該當하며 이걸로 障礙가 確定되는 것은 아니다.

해리는 正常範疇에서 障礙로서 다뤄지는 段階까지를 包含한다고 하였지만, 이는 '段階 없이 連續的인 것인가' 아니면 '不連續的으로 正常과 障礙 두 그룹으로 나뉘는가'가 問題가 된다. 퍼트남度 當初 이 連續體모델 立場이었지만 以後 離散的行動모델로 기울어졌으며 이를 不連續的인 두 個의 別個 그룹이라고 보게 되었다. 그것이 DES해리體驗尺度에도 나타나고 있기에, 아래 項目을 例로 하면서 세 段階로 나누어 보게 된다.

正常的인 範疇 [ 編輯 ]

講義가 지루하여 空想에 빠지다가 授業끝을 알리는 鐘이 울리면 다시 나로 돌아오는 것, 小說이나 게임에 沒入하여 親舊들이 이야기를 걸어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 過飮한 다음날 前날의 일이 全혀 떠올리지 않는 것 等은 廣義의 해리이지만 누구에게나 있는 것으로 病的인 해리는 아니다. DES?해리體驗尺度는 初期 버전에서 28個 項目에 해리의 '正常的인 範疇'를 많이 包含하고 있다. 아래는 DES 28個 項目에서 病的 해리指標 DES-T의 8個 航母글 除外한 正常해리指標(NDI) 20個 項目의 一部이다. 콜린 로스의 2個 軸 4分類로 말하면 '健康한 心理的해리'에 該當한다.

1. 車를 運轉한 때나 電車나 버스에 타고 있는 中의 일을 一部 或은 全部 記憶하지 못할 때가 있다.
2. 他人의 말을 듣고 있을 때, 그 內容 一部 或은 全部를 듣고도 記憶하지 못할 때가 있다.
17. TV나 映畫를 볼 때, 말에 沒入하여 周圍의 일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18. 空想에 빠져 現實에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느낀다.
20.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으며 時間이 가고 있는 것도 느끼지 못하고 가만히 하늘만 바라보고 있다.
24. 어떤 것을 實行한건가, 아니면 하려고 생각한 것뿐인가를 떠올리지 못하는 境遇가 있다.

이는 누구라도 若干씩 가지고 있는 正常的인 範疇이지만 硏究者的으로는 海里라고 해도, 一般人의 日常的인 感覺에서 굳이 '해리'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例를 들어 위의 17番 項目에 該當하는 사람이 '沒頭하고 있었다'고 말해도 '해리하고 있었어'라고 말하지 않는 것과 같다.

不幸을 當한 狀況에서의 正常的인 範疇 [ 編輯 ]

급작스런 不幸을 當한 사람이 어지럼症을 일으키며 精神을 잃기도 하지만, 이것은 正常的인 範疇에서의 防禦機制로서의 '해리'이다. [5] 더욱이 큰 精神的 苦痛에서, 또한 어린이처럼 마음의 耐性이 낮을 때, 限界를 넘은 苦痛이나 感情을 遺體離脫體驗이나 記憶喪失의 形態로 分離시켜 自身의 마음을 지키려하지만, 이것도 一時的이라면 人間의 防禦本能으로서의 '해리'에 屬하며, 日常的이지 않은 障礙는 아니다.

障礙에 屬하는 範疇 [ 編輯 ]

障礙가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段階이다. 空想과 해리는 慢性的인 스트레스 狀況에 놓인 아이들에게는 唯一한 實行可能한 回避行動이지만, 狀況이 慢性的이지만 이로 인하여 그런 狀態가 恒常化되어 自己統制權을 喪失하여 다른 形態의 苦痛이 생기거나, 社會生活에 指章까지 가져오게 되는 境遇는 해리性障礙라고 한다. 해리性同一性障礙는 分離된 自己 感情이나 記憶이 속에서 成長하여, 그것이 마치 하나의 人格처럼 되어 一時的 或은 長期間에 걸쳐 겉으로 드러나는 狀態이다. 해리性障礙 可能性이 높다는 것은, DES-Taxon에서도 病的인 해리性障礙에 關한 아래의 8個 項目 中에서 最小 한 個 以上에 該當하는 境遇이다.

3. 알아차리면 다른 場所에 있어서 왜 여기까지 왔는지 스스로도 모른다.
5. 物件 中에서 스스로 샀다는 記憶이 없는 새로운 物件이 있다.
7. 他人들이 보고 있는 것처럼 自己自身을 밖에서 바라보고 있는 經驗을 한 境遇가 있다.
8. 親舊나 家族을 알아보지 못한다. 或은 그렇다고 認定하지 않으면 他人이 指摘하기도 한다.
12. 周圍 사람, 物件, 事件이 現實에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느낀다.
13. 自己 몸이 自己것이 아니라고 느낄 때가 있다.
22. 狀況이 變하면 全혀 다른 行動을 하기에, 自己가 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느낀다.
27. 가끔 머리 속에서 소리가 들려서 무언가를 命令하거나 自己 行爲에 코멘트하는 境遇가 있다.

이러한 質問에 높은 確率로 該當한다면 해리性障礙 可能性이 높지만, 이것만으로 判斷할 수는 없다. 이러한 定型의 質問이 아니라 보다 細細한 具體的인 이야기 속에서 醫師가 綜合的으로 診斷을 施行해야 한다. 해리症狀은 해리性障礙만으로 있는 것이 아니다. 急性스트레스障礙 (acute stress disorder, ASD), 外傷後스트레스障礙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境界線性格障礙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에도 해리症狀이 보인다.

같이 보기 [ 編輯 ]

出處 [ 編輯 ]

  1. 《「〈特集〉解離性障害」、『こころのりんしょう a?la?carte』第28?第2?》 [「〈特輯〉해리性 障礙」, 『마음의 臨床 a?la?carte』第28卷 第2號] (日本語). 세이와 쇼텐. 2009.  
  2. 1892-1949., Sullivan, Harry Stack, (1984, ⓒ1972). Personal psychopathology ; early formulations. ([1st ed.] ed.). New York: Norton.
  3. Ross, Colin (1997),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 diagnosi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multiple personality, New York: Wiley
  4. Hilgard,E.R. (1994). Neodissociation theory. In S. J. Lynn & J. Rhue (Eds.), Dissociation: Clin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pp. 32?51). New York: Guilford Press.
  5. ジェフリ??スミス「DID(解離性同一性障害)治療の理解」 『多重人格者の日記-克服の記?』 ?土社、2006年 [2005年]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