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프로젝트 A119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프로젝트 A119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흑백의 문서 표지 상단에 큰 글자로 〈공군 특수 무기 센터〉라고 써 있다. 그 밑으로 버섯 구름, 원자, 발사체가 묘사된 문양 혹은 문장이 있다. 그 아래에 《달 탐사 비행의 연구 - 1권》이라는 제목이 써 있다.
《달 探査 非行의 硏究 - 1卷》 表紙

프로젝트 A119 ( 英語 : Project A119 ), 또는 달 探査 非行의 硏究 ( 英語 : A Study of Lunar Research Flights )는 1958年 美國 空軍 이 樹立한 1級 祕密 計劃이다. 目標는 에서 核爆彈 을 터트리는 것이었다. 달의 크레이터 를 除外한 表面에서 核爆發 을 일으키면 地球에서도 裸眼 으로 稀微하게 閃光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소비에트 聯邦 宇宙 競爭 初期에 優位를 차지하자 美國에서 武力 誇示를 통한 國民 士氣 振作을 위해 計劃했다.

이 프로젝트는 硏究 段階에서 取消됐다. "美 空軍이 得보다 리스크가 크다고 判斷"했고, 달 着陸 이 美國과 全世界에서 더 人氣있는 業績이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計劃이 實行됐다면 宇宙의 軍事化 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蘇聯의 같은 프로젝트(프로젝트 E-4)도 彈頭가 領土에 떨어지거나 國際的 事故로 飛火될 可能性 때문에 實行되지 않았다.

1958年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美國 航空宇宙局 (NASA) 前 局長 레너드 레이펠 이 2000年에 存在를 밝히면서 大衆에 알려졌다. 젊은 時節 칼 세이건 이 眞空 저重力 狀態에서 核爆發의 影響을 豫測하는 팀과 프로젝트의 科學的 價値를 評價는 팀에 參與했다. 關聯 文書는 45年 가까이 祕密로 維持됐고, 레이펠의 暴露에도 不拘하고 美國 政府가 硏究 關與를 公式的으로 認定한 적은 없다.

背景 [ 編輯 ]

冷戰이 한창이던 1957年 10月 4日 蘇聯 스푸트니크 1號 를 發射하며 宇宙 競爭 에서 優位를 차지했다. 最初의 人工衛星 스푸트니크의 成功的 發射가 준 衝擊은 美國의 人工衛星 計劃인 프로젝트 뱅가드 가 두 番 연달아 失敗하면서 倍加됐다. 媒體들이 ' 스푸트니크 衝擊 '이라고 이름 붙인 이 事件으로 宇宙 競爭이 始作됐다. 美國은 雪辱을 위해 一連의 硏究와 프로젝트에 着手했고 美國 最初의 人工衛星 익스플로러 1號 發射, 防衛高等硏究計劃局 (DARPA)과 航空宇宙局 (NASA) 設立 等의 成果를 얻었다. [1] [2]

프로젝트 [ 編輯 ]

1949年 일리노이 工科大學 아머 硏究財團 이 核爆發의 環境 影響에 對한 硏究를 始作했고 1962年까지 繼續됐다. [3] 1958年 5月 財團은 祕密裏에 달에서 核爆發을 일으켰을 때 豫想되는 結果에 對한 硏究를 始作했다. 美 空軍 의 援助 아래 進行된 프로그램의 主 目標는 地球에서 볼 수 있는 核爆發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目標는 美國民의 士氣 振作이었다. [4]

1957年 프로젝트 構想 當時, 新聞들은 蘇聯이 달에서 水素爆彈 을 터트릴 計劃이라는 所聞을 報道했다. 報道에 따르면 한 匿名 情報源이 美國 祕密警護局 要員에게 蘇聯이 1957年 11月 7日 月蝕 에 맞춰 달에서 核爆發을 일으켜 10月 革命일 을 記念할 計劃을 세웠다고 알렸다는 것이다. 記事에는 이 發射가 明暗 境界線 의 어두운 쪽을 目標로 할 것이라는 內容도 包含됐다. 프로젝트 A119 亦是 이 領域을 爆發 目標로 考慮하게 된다. 발사체가 달과 衝突하는데 失敗하면 地球로 돌아올 可能性이 크다는 것도 報道됐다. [5]

'水素爆彈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 가 비슷한 아이디어를 提案한 적이 있다. 텔러는 1957年 2月 爆發의 影響을 分析하기 위해 달 表面과 달 表面에서 若干 떨어진 곳에서 核爆發을 일으킬 것을 提案했다. [6]

硏究 [ 編輯 ]

흑백 달 사진이다. 왼쪽 아래가 지구 그림자로 덮여 있어서 명암 경계선이 두드러진다.
硏究팀은 달의 明暗 境界線 에 核爆發을 일으킬 計劃이었다. 地球에서의 가시城을 最大限 確保하기 위함이다.

레너드 레이펠 이 이끄는 10名의 硏究員이 일리노이 工科大學 에서 爆發의 潛在的 可視性, 科學的 意義, 月面에 미치는 影響을 硏究했다. 그中에는 天文學者 제러드 카이퍼 와 카이퍼의 博士課程生人 칼 세이건 이 있었다. 세이건의 任務는 달 周圍 먼지 구름의 膨脹을 數學的으로 投影하는 것이었다. 地球에서 이 光景을 볼 수 있느냐를 가늠하는 必須的인 要素였다. [4] [6] [7]

科學者들은 처음에 水素爆彈 使用을 考慮했으나 使用될 미사일의 推進力에 비해 큰 重量 때문에 美 空軍이 反對했다. [8] 때문에 작고 가벼우며 相對的으로 낮은 1.7 킬로톤 威力 을 갖고 있는 W25 彈頭가 採擇됐다. [6] 1945年 日本 히로시마 에 投下된 리틀 보이 의 威力이 13~18 킬로톤이었다. [9] W25街 로켓에 실려 달의 어두운 面에서 爆發하면 먼지 구름이 일어 햇빛을 反射하고 따라서 地球에서 볼 수 있었을 것이다. [9] [7] 레이펠에 따르면 美 空軍의 大陸間 彈道 미사일 開發이 進展돼 1959年이면 發射가 可能했을 것이다. [10]

取消 [ 編輯 ]

1959年 1月 美 空軍은 프로젝트를 取消했다. 人命被害 리스크 때문인 것을 보인다. 레이펠은 落塵 이 以後의 달 探査와 달 居住 프로젝트에 妨害가 될 可能性도 考慮됐다고 말했다. [8] [10]

蘇聯의 同一 프로젝트 [ 編輯 ]

2010年代에 이르러 蘇聯 에도 同一한 計劃이 있었다는 事實이 報道됐다. 하지만 美國 프로젝트의 契機가 된 1957年 報道와는 달리 1958年에 計劃에 着手했다는 文書만 發見됐다. [11] 計劃의 內容 또한 報道된 시나리오와 差異가 있었다. 1958年 1月 始作된 計劃은 코드名 'E'로 命名된 一連의 提案 中 하나였다. 프로젝트 E-1은 달 探査 計劃이었고 E-2, E-3는 달의 뒷面 에 探査船을 보내 寫眞을 찍는 것이었다. 마지막 段階인 E-4는 달에 核爆發을 일으켜 武力을 誇示하는 것이었다. 美國과 마찬가지로 發射體의 安全性과 信賴性에 對한 憂慮 때문에 計劃 段階에서 取消됐다. [12] [13]

結果 [ 編輯 ]

1963年 部分的 核實驗 禁止 條約 , 1967年 宇宙 條約 으로 달에서 核爆彈을 터트리는 것이 禁止됐다. 當時 美蘇 兩側은 高高度 核爆發 實驗 을 여러番 進行했다. 美國의 하드擇 I 作戰 , 아거스 作戰 , 피쉬볼 作戰 과 蘇聯의 프로젝트 K 가 그것이다. [6]

1969年 美國은 아폴로 11號 를 成功的으로 달에 着陸시키며 歷史上 처음으로 달에 사람을 보낸다. [14] 그 해 12月, 아폴로 計劃에 參與했던 科學者 게리 레이텀이 地質學的 構成 硏究를 위해 달에서 '아주 작은' 核 裝置를 폭발시킬 것을 提案했다. [15] 提案은 달의 自然 背景 放射線 測定 計劃에 妨害가 된다는 理由로 棄却됐다. [16]

프로젝트 A119의 存在는 1990年代까지 大部分 祕密로 남아있다가 作家 키이 데이비슨이 칼 세이건 의 電氣 執筆을 위한 調査를 하던 中 發見됐다. 세이건이 프로젝트에 參與한 것은 1959年 캘리포니아 大學 버클리 밀러 硏究所 에 提出한 奬學金 申請書에서 確認할 수 있다. 申請書에서 세이건은 프로젝트에 對한 細部事項을 言及하는데 데이비슨은 이것이 國家 機密 流出이라고 생각했다. [17] 세이건은 A119와 關聯된 두 個의 祕密 文書를 流出했는데 하나는 1958年 作成한 〈行星天文學의 一部 疑問 解消에 달에서의 核武器 暴發의 可能한 寄與〉였고 다른 하나는 1959年 作成한 〈核武器 爆發로 인한 달의 放射線 汚染〉이었다. [3] 1958年 I. Filosofo 作成으로 表記된 〈宇宙 放射線과 달 放射能〉도 1961年 美國 國家硏究委員會 (NRC)에 提出된 文書에는 칼 세이건의 이름이 써 있다. [18] 이 文書들은 프로젝트 A119에서 만든 8個의 報告書 中 一部이며 1987年 모두 廢棄됐다. [4]

1999年 세이건의 電氣 《칼 세이건: 한 人生》이 出刊된 直後 《 네이처 》에 실린 리뷰는 流出 情報의 發見을 强調했다. [19] 리뷰를 본 레이펠은 《네이처》에 便紙를 보내 當時 세이건의 活動이 프로젝트 機密 維持 違反으로 看做됐음을 確認했다. 레이펠은 이 機會를 빌어 프로젝트의 細部事項을 公開했고 이는 媒體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7] [20] 레이펠은 "輿論을 흔들기 위해 이런 行動까지 考慮한다는 事實에 驚愕했다"고 말하며 事業을 非難했다. [4]

便紙가 大衆에 알려지자 프로젝트 A119에 對한 情報公開 要請이 接受됐고 《달 探査 非行의 硏究 - 1卷》李 40餘 年 만에 公開됐다. [21] 다른 文書들은 1980年代에 일리노이 工科大學 이 廢棄했다는 것도 드러났다. [6]

英國의 核 歷史가 데이비드 로리 는 프로젝트의 提案을 "低速"하다고 評하면서 "萬若 프로젝트가 進行됐다면 우리는 닐 암스트롱 이 "人類의 巨大한 跳躍"을 하는 浪漫的인 그림을 갖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4]

같이 보기 [ 編輯 ]

  • LCROSS ?물 存在를 確認하기 위해 달에 運動學的 衝擊을 發生시킨 美國 航空宇宙局 프로젝트

各州 [ 編輯 ]

  1. “50th Anniversary of the Space Age” . NASA . 2011年 9月 8日. 2011年 9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2. “Space Exploration” . National Archives . 2021年 3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3月 24日에 確認함 .  
  3. Dorries, Matthias (2011).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Osir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n behalf of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26 (1): 198?223. doi : 10.1086/661272 . JSTOR   661272 . PMID   21936194 .  
  4. Barnett, Antony (2000年 5月 14日). “US planned one big nuclear blast for mankind” . 《 The Guardian 》. 2021年 3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9月 8日에 確認함 .  
  5. Myler, Joseph L (1957年 11月 1日). “Latest Red Rumor: They'll Bomb Moon” . 《Pittsburgh Press》. 13面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6. Ulivi & Harland 2004 , 19?21쪽.
  7. Broad, William J (2000年 5月 16日). “U.S. Planned Nuclear Blast on the Moon, Physicist Says” . 《 The New York Times 》. 2008年 5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8. “U.S. Weighed A-Blast on Moon in 1950s” . 《 Los Angeles Times 》. Associated Press. 2000年 5月 18日. 2019年 4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9. Hoddeson 等. 1993 , 392?393쪽.
  10. “U.S. considered lunar a-bomb blast” . 《Pittsburgh Post-Gazette》. Associated Press. 2000年 5月 18日. 7面 . 2024年 4月 6日에 確認함 .  
  11. “Secret Documents Reveal the Soviet Union Planned a Nuclear Blast on the Moon” . 《Novinite》 . 2021年 1月 18日에 確認함 .  
  12. Zheleznyakov, Aleksandr. “The original E-3 project ? exploding a nuclear bomb on the Moon” . Sven Grahn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13. Tanner, Adam (1999年 7月 9日). “Russia wanted nuclear bomb on moon” . 《Independent Online》. 2012年 10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14. Angelo 2007 , 28쪽.
  15. “Moon madness” . 《 The Sydney Morning Herald 》. 1969年 12月 21日. 19面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16. “Scientist Withdraws Plans for Nuclear Blast on Moon” . 《 St. Petersburg Times 》. 1970年 1月 7日. 7面 . 2024年 4月 6日에 確認함 .  
  17. Davidson & Sagan 1999 , 95쪽.
  18. Sagan, Carl (1961). 《Organic Matter and the Moon》. United States National Research Council . 46쪽. OCLC   1335482 .  
  19. Chyba, Christopher (1999年 10月 28日). “An exobiologist's life search” . 《 Nature 401 (6756): 857?858. Bibcode : 1999Natur.401..857C . doi : 10.1038/44716 .  
  20. Reiffel, Leonard (2000年 5月 4日). “Sagan breached security by revealing US work on a lunar bomb project” . 《 Nature 405 (6782): 13. doi : 10.1038/35011148 . PMID   10811192 .  
  21. “A Study of Lunar Research Flights, Volume I” .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 2012年 4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9月 9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