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트로프 (映畫)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트로프 (映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흔한 映畫 트로프 中 하나인 " 멕시칸 스탠드오프 "

映畫 用語로 트로프 (trope)는 《映畫를 위한 아트 디렉션 핸드북》에서 "새로운 視覺的 隱喩를 만들어내는 여러 겹의 脈絡的 意味로 가득 찬 普遍的으로 識別되는 이미지"로 定義한다. [1] 韓國語로는 全義 (轉意)로 飜譯될 수 있다.

흔한 主題의 트로프는 古典 갱스터 映畫 속 暴力輩들의 興亡盛衰가 있다. 또한 이 映畫 장르에서는 種種 떠오르는 갱스터가 새 옷을 사입는 衣服 트로프를 特徵으로 한다. [2]

어원 [ 編輯 ]

이 用語는 文學的 意味의 "前의" 의 英語 表現(trope)에서 派生된 것으로, 어원 또한 同一하다. 結果的으로는 "돌다, 向하다, 바꾸다, 變하다"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語 凍死 트레페인(τρ?πειν)에서 派生한 "突起, 方向, 길"을 뜻하는 그리스어 名士 트로포스(τρ?πο?)에서 온 말이다. [3] 戰意와 그 分類는 古典 修辭學 의 重要한 分野였다. 戰意에 對한 硏究는 現代 批評, 特히 頉構築 에서 다시금 다루어졌다. [4] 全義論的 批評(聖經 主席 의 한 形態인 敎訓的 읽기와 다른 槪念)은 戰意에 對한 歷史的 硏究로써 "한 時代의 支配的인 戰意를 正義"하고 "文學 및 非文學 文獻에서 그러한 戰意를 찾는 것"을 目標로 하며, 미셸 푸코 의 學際間 硏究가 "重要한 銓衡"이었다. [4]

英語圈에서 映畫와 關聯하여 트로프라는 用語를 使用하는 것은 다른 方言보다 美國 英語 에서 더 一般的일 수 있다. [5]

映畫學 [ 編輯 ]

트로프는 映畫 記號學의 한 要素로써 外延 內包 를 連結한다. 映畫는 다른 藝術의 트로프를 再生産하고 自身만의 트로프를 만들기도 한다. [6] 조지 블루스톤은 《小說의 映畫化》(Novels Into Film)에서 脚色本을 製作할 때 映畫的 戰意가 文學的 全義 에 비해 "極히 制限的"이라고 썼다. 블루스톤은 "[文學的 全義]는... 視覺的 活動보다는 想像力 特有의 象徵的인 思考를 壓縮하는 하나의 方式이며... 文字 그대로의 이미지로 變換하면 그 隱喩가 터무니없게 보일 수 있다."라고 말하였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1. Rizzo, Michael (2014). 《The Art Direction Handbook for Film》 2板. Focal Press. 513쪽. ISBN   978-0-415-84279-2 .  
  2. McDonald, Tamar Jeffers (2010). 《Hollywood Catwalk: Exploring Costume and Transformation in American Film》 . I.B. Tauris . 41 쪽. ISBN   978-1-84885-040-8 .  
  3. 〈trope〉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Springfield, Massachusetts : Merriam-Webster , 2009 , 2009年 10月 16日에 確認함  
  4. Childers, Joseph; Hentzi, Gary (1995). 〈Trope〉. 《The Columbia Dictionary of Modern Literary and Cultural Criticism》. New York: Columbia UP. 309 쪽. Bibcode : registration . ISBN   9780231072434 .  
  5. “Trope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llins Dictionary》 (英語) . 2019年 12月 18日에 確認함 .  
  6. Monaco, James (1981). 《How to Read a Film: The Art, Technology, Language, History, and Theory of Film and Media》 . Oxford University Press. 140 쪽. ISBN   978-0-19-502802-7 .  
  7. Bluestone, George (1957). 《Novels Into Film》.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쪽. ISBN   978-0-8018-7386-7 .  

더 읽어보기 [ 編輯 ]

  • Ehrat, Johannes (2005). 《Cinema and Semiotic: Pierce and Film Aesthetics, Narration, and Representation》. Toronto Studies in Semiotics and Communication 2板.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SBN   978-0-8020-39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