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트레스마리아스섬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트레스마리아스섬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트레스마리아스섬쥐
트레스마리아스섬쥐
트레스마리아스섬쥐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쥐目
과: 緋緞털쥐과
亞科: 숲쥐亞科
속: 사슴쥐속
種: 트레스마리아스섬쥐
( P. madrensis )
學名
Peromyscus madrensis
Merriam, 1898
保全狀態


危機(EN): 絶滅可能性 매우 높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1]

트레스마리아스섬쥐 ( Peromyscus madrensis )는 緋緞털쥐과 에 屬하는 齧齒類 의 一種이다. [2] 멕시코 西部 海岸의 마리아스 섬( 나야리트주 의 一部)에서만 發見된다. 마지막으로 評價했을 때, 마리아 클레오파스 섬에서는 흔하게 發見되었지만 다른 더 散在된 섬들에서는 稀貴하거나 發見되지 않았다. [1]

特徵 [ 編輯 ]

트레스마리아스섬쥐는 작은 크기의 쥐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21~25cm, 꼬리 길이가 10~13cm이다. 軟한 黃褐色 털을 갖고 있으며, 下體와 입술, 발은 희다. 등 뒤쪽으로 稀微한 검은色 털이 있으며, 발목에 어두운 色 斑點이 나 있다. 꼬리는 比較的 털이 없고 윗面은 눈에 뜨게 어둡다. 암컷은 6個의 젖쪽紙를 갖고 있다. [3] 사슴쥐속의 다른 近緣種들과 比較하여 더 크고, 꼬리가 길며 귀와 陰莖이 작다. [4]

生態 [ 編輯 ]

트레스마리아스섬쥐가 섬의 모든 棲息地에서 發見되지만 攪亂되지 않은 熱帶 脫落性 숲에서 가장 흔하게 發見되며 特히 高地帶 안쪽에서 더 많이 棲息한다. [4] 나무나 바위 아래와 같은 隱蔽된 場所에서 산다. [5] 1898年 처음 記載될 當時에는 섬에 널리 分布했지만, [3] 1991年 調査에서는 곰쥐 와 사슴, 鹽素 같은 土着종이 아닌 導入種들 때문에 分布 地域이 눈에 띄게 顯著히 減少했다. [5]

近緣種은 近處 陸地에 棲息하는 나野리트쥐 플라이스토세 동안에 두 種이 分岐되었다. 트레스마리아스섬쥐가 언제 처음 陸地에서 넘어가 섬에 到着했는지, 섬들이 언제 陸地와 連結되었었는지는 아직 明確하지 않다. [3]

各州 [ 編輯 ]

  1. Alvarez-Castaneda, S.T.; Castro-Arellano, I.; Lacher, T. & Vazquez, E. (2008). Peromyscus madrensis . 《 IUCN 赤色 目錄 》 ( IUCN ) 2008 : e.T16671A6266642. doi : 10.2305/IUCN.UK.2008.RLTS.T16671A6266642.en . 2017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2.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相과] .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1071쪽.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3. Alvarez-Castaneda, S.T. & Mendez, L. (2005). “ Peromyscus madrensis ”. 《Mammalian Species》: Number 774: pp. 1?3. doi : 10.1644/1545-1410(2005)774[0001:PM]2.0.CO;2 .  
  4. Carleton, M.D.; 外. (1982). “Distribution and systematics of Peromyscus (Mammalia: Rodentia) of Nayarit, Mexico” .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Zoology》 352 : 1?46. doi : 10.5479/si.00810282.352 .  
  5. Wilson, D.E. (1991). “Mammals of the Tres Marias Islands” .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6 : 214?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