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討論:房덕공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討論 : 房덕공

文書 內容이 다른 言語로는 支援되지 않습니다.
새 主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방덕共의 者? [ 編輯 ]

中國 · 日本 위키에서 하나같이 四庫全書와 宋書를 擧論하며, 방덕共의 者를 上場 (尙長)이라고 하였습니다(중국은 向長이라 하였는데, 誤記인 듯합니다). 四庫全書는 宋書의 記錄을 土臺로 한 것이고, 問題의 宋書 部分은 다음과 같습니다.

史臣曰:襄陽龐公謂劉表曰:「若使周公與管、蔡處茅屋之下,食藜藿之羹,豈有若斯之難。」夫天倫由子,共氣分形,寵愛之分雖同,富貴之情則異也。追味尙長之言,以爲太息。- 《宋書》 卷68

使臣이 말한다. 襄陽 사람 방공이 遊標에게 말하였다.

住公과 管叔·채숙이 草家집에 살며 거친 飮食을 먹었더라면, 어찌 이런 어려움이 있었겠습니까?

大抵 天倫을 타고나는 자는 기는 같으나 모습이 다르며, 寵愛하는 바가 같더라도 富貴함은 서로 다르다. 上場 (尙長)의 말을 곱씹어보니, 한숨이 나온다.

(解釋이 제대로 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보시다시피, 방덕共의 自家 上場 이라고 直接的으로 敍述한 部分은 없습니다. 그저 四庫全書에서는 저 上場 을 방덕共의 者라고 지레斟酌했을 뿐입니다. 一旦은 거기에 맞추어 項目을 編輯하긴 했습니다만, 只今 보니 오히려 問題의 上場 은 사람 이름이 아닐까 합니다. 後漢 때 恩師로 正말 尙長이란 人物이 있거든요.

여러분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威光 ( 討論 ) 2013年 2月 8日 (금) 19:04 (KST)

中國의 위키라는 것은 어떤 위키위키를 말하는 것입니까? 어쨌든, 그 後恨의 恩師 上場이 남긴 言行이 있습니까? 그러면 그 말을 곱씹었다고 하는 것이, 그리고 그 內容이 宋書 卷68과 副應하는 게 있다면,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Synparaorthodox ( 討論 ) 2013年 2月 16日 (土) 14:53 (KST)
後漢書 일민전에 上場(向長)의 列傳이 보이네요. 아무래도 尙長의 尙은 向을 잘못 쓴 것으로 보입니다(발음이 發音이다 보니). 上場을 尙子라고 일컬은 例도 보이고...
却說하고, 上場展에 喪葬의 말이 한 마디 보입니다.
吾已知富不如貧,貴不如賤,但未知死何如生耳。-《 後漢書 (後漢書)》 卷83 일민列傳(逸民列傳)
나는 이미 富裕한 것이 가난한 것보다 못하다는 것, 貴한 것이 賤한 것보다 못하다는 것을 안다. 다만 아직 죽음과 삶이 어떤지를 모르겠다.

아무래도 宋書의 '尙長之言'은 이걸 가리키는 것 같은데, 到底히 尙長을 방덕共의 者로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지우려고 하는데, 어떠신가요? -- 威光 ( 討論 ) 2013年 3月 9日 (土) 12:50 (KST)

이럴 때는 오히려 그런 論難(또는 誤解)이 있다는 事實을 보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行油 ( ) ☆3 2013年 3月 9日 (土) 13:10 (KST)

者를 지우고, 主席으로 이 內容을 적는 게 좋겠습니다. -- 威光 ( 討論 ) 2013年 3月 11日 (月) 16:3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