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리도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紛爭 地域 털리도 스트립의 地圖

털리도 戰爭 ( 英語 : Toledo War , 1835~1836年)은 오하이오 미시간州 接境 領土 사이에 있었던 거의 無血에 가까운 領土 紛爭 을 말한다. 미시간 臺 오하이오 戰爭 (Michigan-Ohio War)이라고도 부른다.

元來는 1787年에서 1805年 사이에 可決된 州와 聯邦法의 矛盾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解釋으로 비칠 수 있게 되어 나타난 이 紛爭은 當時 五大湖 의 地質學的 機能을 잘 理解하지 못했던 데에서 비롯한다. 이는 오늘날 털리도 스트립 (Toledo Strip)으로 알려져 있는 境界 近處의 468 제곱 마일 (1,210 제곱 킬로미터)의 地域을 아우르는 主權 을 오하이오 州와 미시간 州가 同時에 主張하게 되었다. 1830年代 初에 미시간 州가, 한 主로서의 地位를 찾으려고 하던 時期에 該當 境界에서 紛爭이 되던 領土가 包含되어 있던 것으로 看做되었으나, 도리어 오하이오 州의 議會 代表團은 미시간 州가 聯邦에 加入하는 것을 中止시킬 수 있었다.

1835年 秒에 兩側은 다른 側의 降伏을 强制하는 法案을 可決하였다. 오하이오 州의 州知事 로버트 루카스 와 미시간州의 24歲 스티븐스 T. 메이슨 銀 둘 다 이 스트립의 割讓 을 願치 않았으므로 民兵 組織을 始作하여 州 當局에 따른 市民의 刑事 處罰을 마련하는 일을 도왔다. 兩側 모두 민병은 털리도 周邊의 머미 江 兩側 位置에 動員되어 對峙하였으나 서로를 깎아내리는 일 外에는 서로 間의 별다른 影響은 없었다. 이 戰爭의 唯一한 軍事的 對立은 한 名의 犧牲者도 없이 恐怖(空砲)만 했다는 報告로 끝이 났다.

美國 議會에서는 仲裁案으로 미시간州로 加入 申請한 地域이 아니었던 어퍼半島 의 3/4을 州로 昇格할 미시간州에 주는 代身 털리도 스트립을 抛棄하라고 提案하였다. 앤드루 잭슨 大統領도 理法을 通過시켰다. 미시간州는 該當 地域이 털리도 스트립보다 훨씬 넓지만 人口가 稀薄한 野生의 땅이라는 理由로 처음에는 이를 拒否하였다.

1836年 12月 極度의 財政 危機에 直面하던 미시간州 政府는 主가 되어 美國 財務部 의 支援을 받기 위해 土地를 抛棄하고 議會에서 採擇된 決議案을 받아들였고 이러한 讓步의 結果로 털리도 戰爭은 끝을 맺게 되었다.

털리도 스트립의 誕生 [ 編輯 ]

이 境界의 位置는 19世紀 初에 紛爭거리가 되었다. 나중에 털리도로 이름이 바뀐 포트 오브 마이애미 (Port of Miami)의 居住者들은 오하이오州 政府가 이 警戒 問題를 解決할 것을 促求하였다. 오하이오 州의 立法府도 이 또한 問題와 關聯하여 議會에 陳情하는 決意와 要求를 자주 可決하였다. 1812年 이 境界線의 公式的인 測量 要求의 要請을 承認하였다. [1] 美國과 英國 간 戰爭 으로 인하여 遲延되면서 1816年 인디애나 州의 聯邦 加入 以後 겨우 測量 實務가 始作되었다. 測量을 맡은 美國 測量長官의 에드워드 티핀 은 前 오하이오 州知事였다.

그 結果 티핀은 北西部 條例選(Northwest Ordinance Line)뿐 아니라 1802年 오하이오州 憲法으로 記述된 境界線도 測量하기 위해 測量士 윌리엄 해리스를 雇用하였다. 이를 마치고, 해리스 선(Harris Line)은 머미 江의 河口를 完全하게 오하이오州 안에 두었다. [2] 調査 結果가 公開되었을 때 미시간州의 州知事 루이스 캐스 는 그것이 議會의 同意를 얻은 北西部 條例線에 根據하지 않은 것이었으므로 滿足하지 못했다. 티핀의 便紙에서 캐스는 오하이오 州에 치우친 測量은 "强者에게 힘을 준다면 團地 弱者를 弱하게 될 뿐이다"라고 썼다. [3]

이에 對한 應答으로 미시간州는 존 A. 풀톤에 두 番째 調査를 맡겼다. 풀톤의 測量은 元來 1787年 北西部 條例線에 根據하여 미시간 號로부터 에리 號까지 東쪽으로 이 線을 測量한 뒤 오하이오 州의 境界가 머미 江의 河口 南쪽에 있다는 事實을 알아냈다. [4] 해리스와 풀톤의 測量船 사이에 있는 地域이 現在의 털리도 스트립이 되었다. 이 오하이오州 北部와 미시간州 南部 사이의 리본 形態의 土地는 너비 5~8마일에 다다랐기에 兩側 모두 自身의 主權을 主張하였다. 오하이오 주는 이 主張을 讓步하는 것을 拒否하다가 몇 年이 지나 미시간州는 조용히 이 地域을 占領하여 여러 해에 걸쳐 該當 地域에 道路를 建設하고 稅金을 徵收하는 일을 하였다. [3]

各州 [ 編輯 ]

  1. Ibid at 206.
  2. Geography of Michigan and the Great Lakes Region The Toledo War Archived 2006年 8月 20日 - 웨이백 머신 . 미시간 州立 大學校 (accessed May 12, 2006).
  3. Mendenhall & Graham, op. cit. Archived 2007年 12月 24日 - 웨이백 머신 at 162.
  4. The Toledo War . Michigan Department of Military and Veteran Affairs (accessed May 12, 2006).

參考 文獻 [ 編輯 ]

  • Dunbar, Willis F. & May, George S. (1995). MICHIGAN: A History of the Wolverine State . Third Revised Edition.
  • Emmanuel, Greg (1960). 〈Hate: The Early Years〉. 《The 100 yard War : Inside the 100-Year-Old Michigan-Ohio State Football Rivalry》. New York: John Wiley & Sons. 9?10쪽. ISBN   0-471-67552-0 .  
  • Galloway, Tod B. (1895). The Ohio-Michigan Boundary Line Dispute. 4 Ohio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Quarterly 213.
  • Meinig, D.W. (1993). The Shaping of America: A Geographical Perspective on 500 Years of History. Volume 2, Continental America, 1800?1867 ,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ISBN   0-300-05658-3
  • Mendenhall, T.C. & Graham, A.A. (1895). Boundary Line Between Ohio and Indiana, and Between Ohio and Michigan. 4 Ohio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Quarterly 127.
  • Michigan Geological and Biological Survey, Publication 22, Geological Series 18 (1916). Biennial Report of the Directory and Report on Retracement and Permanent Monumenting of the Michigan-Ohio Boundary. Lansing, Michigan: Wynkoop Hallenbeck Crawford Co., State Printers. OCLC 11743219.
  • Mitchell, Gordon (July, 2004). History Corner: Ohio-Michigan Boundary War, Part 2 . 24 Professional Surveyor Magazine 7.
  • Way, Willard V. (1869). Facts and Historical Events of the Toledo War of 1835. (Making of America Books)
  • Wittke, Karl. (1895). The Ohio-Michigan Boundary Dispute Re-examined. 45 Ohio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Quarterly 299.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