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極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勳一等 太極臺數長
훈이等 太極章 兼 勳一等 部長(上)
勳三等 太極重首長 兼 훈이等 部長(下右)
訓辭等 太極小首長(下左)
勳오등 太極小首長(上右)
訓育等 太極小首長(上左)
勳七等 太極小首長(下右)
勳팔등 太極小首長(下左)
勳一等 太極臺數長을 佩用한 민영환

太極章 (太極章)은 大韓帝國의 勳章 가운데 하나이며 大勳位 李花大首長 다음가는 勳章 이다.

歷史 [ 編輯 ]

太極章은 1897年 ( 光武 1年) 4月 17日 大韓帝國 勅令 第13號로 〈訓長 條例〉(勳章條例)가 頒布되면서 制定되었다. 勳等은 勳(勳)에 該當하고 一等에서 팔等까지로 區分되어 文武官 中에서 功이 뛰어난 사람에게 勳等에 따라 授與하였다. [1] 勳章의 名稱은 나라의 表式에서 取한 것이다. [2]

運用 [ 編輯 ]

勳一等 太極臺數長은 各 部(府), 部(部)의 代身, 1品 管理 및 陸·海軍 長官 中에서 훈이等 太極章을 이미 授與받고 5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훈이等 太極章은 文武官 中에서 勳三等 太極中搜腸을 이미 授與받고 5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勳三等 太極中搜腸은 文武官 中에서 訓辭等 태極少數腸을 이미 授與받고 4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訓辭等 태極少數腸은 文武官 中에서 訓辭等 태極少數腸을 이미 授與받고 4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勳오등 태極少數腸은 文武官 中에서 訓育等 태極少數腸을 이미 授與받고 4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訓育等 태極少數腸은 文武官 中에서 勳七等 태極少數腸을 이미 授與받고 3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勳七等 태極少數腸은 文武官 中에서 勳팔등 태極少數腸을 이미 授與받고 3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授與하였다. 勳팔등 태極少數腸은 文武官 中에서 3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 처음 授與하였다. [1]

勅任(勅任) 一等官으로 5年 以上 在職한 者와 勅任 이등관으로 6年 以上 在職한 者, 勅任 三等官으로 7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는 勳三等 太極中搜腸을 처음 授與하였다. 勅任 社等官으로 8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는 訓辭等 태極少數腸을 처음 授與하였다. 奏任官(奏任官) 三等 李箱과 陸·海軍 領官 中에서 9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는 勳오등 태極少數腸을 처음 授與하였다. 奏任官 六等 李箱과 陸·海軍 尉官 中에서 9年 以上 在職한 者에게는 訓育等 태極少數腸을 처음 授與하였다. 判任官(判任官)으로 萬 12年 在職한 者에게는 勳七等 태極少數腸을 처음 授與하였다. 判任 대우자와 陸·海軍 下士 中에서 뛰어난 功勞가 있는 者에게 勳팔등 태極少數腸을 처음 授與하였고, 巡檢과 兵卒 中에서도 특별한 功績이 있을 때에는 이를 授與할 수도 있었다. 칙主管(勅奏官), 判任官을 莫論하고 飛上한 勳勞가 있을 때에는 在職 年限의 制限에 不拘하고 勳章을 授與하거나 곧바로 進級을 行할 수 있었다. 外國人에 對한 敍勳은 內規로 定하였다. [1]

形態 [ 編輯 ]

勳一等 太極臺數長은 正裝(正章)과 部長(副章)으로 構成된다. 正裝의 場(章), 卽 文彩의 材質은 金(金)이고, 지름은 2치(寸) 5푼(分)이며, 金色 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을 中心으로 外邊에는 白色 光線이 이어졌다. 꼭지와 고리의 材質은 金이며, 白色의 오얏꽃을 세 張의 綠色 잎이 받치고 있는 形象으로 그 뒷面에는 篆書體 의 ‘勳功一等’(勳功一等)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勳一等 太極臺數長을 佩用할 때는 紅色 바탕에 雙청選(雙靑線) 間島職(間道織)으로 이루어진 臺數(大綬)를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에 두른 다음에 끝部位에서 交叉하여 오얏꽃을 천으로 접어달고 그 밑에 正裝을 달았으며, 部長은 왼쪽 가슴에 단다. 藥水(略綬)는 代數와 材質이 같고, 그 模樣은 圓形으로 靑紅色의 外邊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紋이며, [3] 通商 禮服 着用時에 왼쪽 옷깃 단추 구멍에 걸어서 佩用한다. [1]

훈이等 太極章은 勳一等 太極臺數長의 部長을 겸한다. 지름은 3치이며, 材質은 金과 銀이다. 金色 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을 中心으로 外邊에는 二重으로 金色과 白色 光線이 이어졌다. 한便 뒷面의 牌침은 才質이 銀이며 中央과 左右에 各各 設置되어 있다. 牌침의 左右에는 篆書體의 ‘勳功이등’(勳功二等)李 陰刻되어 있다. 藥水는 代數와 材質이 같고, 그 模樣은 圓形으로 白色과 靑紅色의 二重의 外邊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紋이다. [3]

勳三等 太極中搜腸은 훈이等 太極章의 部長을 겸한다. 지름은 1치 8푼이고, 材質은 金이다. 꼭지의 뒷面에 篆書體의 ‘勳功三等’(勳功三等)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고, 고리가 楕圓形이다. [3] 佩用할 때는 文彩를 正中央에 끼운 中搜(中綬)를 목 밑에 건다. [1] 藥水는 代數와 材質이 같고, 그 模樣은 圓形으로 白色과 靑紅色의 이中 外邊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紋이다. [3]

訓辭等 태極少數腸은 지름은 1치 5푼이고, 材質은 모두 金이다. 꼭지의 뒷面에 篆書體의 ‘勳工事等’(勳功四等)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고, 고리가 정원형이다. 藥水는 代數와 材質이 같고, 그 模樣은 圓形으로 靑紅色의 外邊線을 두른 靑紅白色의 삼태극文이다. [3]

勳오등 태極少數腸은 規格이 訓辭等과 同一하고, 文彩의 材質은 金과 은, 꼭지의 材質은 金, 고리의 材質은 銀이다. 꼭지의 뒷面에 篆書體의 ‘勳功오등’(勳功五等)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藥水는 代數와 材質이 같고, 그 模樣은 圓形으로 白色과 靑紅色의 이中 外邊線을 두른 靑紅白色의 삼태극文이다. [3]

訓育等·勳七等·勳팔등 태極少數腸은 지름이 1齒이고, 材質은 모두 銀이며, 꼭지의 뒷面에는 各其 篆書體의 ‘勳功六等’(勳功六等), ‘勳功七等’(勳功七等), ‘勳功팔등’(勳功八等)이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訓育等의 藥水는 白色과 靑紅色의 이中 外邊線을 두른 靑紅色의 太極紋이다. 勳七等의 藥水는 나비型으로 中央에 靑紅色의 太極紋이 添附되어 있다. 勳팔등의 藥水는 나비型으로 中央에 靑紅白色의 삼태극文이 添附되어 있다. [3] 佩用할 때 訓辭等에서 훈팔등까지는 位는 直線을 이루고 아래는 양귀를 접어 文彩와 連結한 少數(小綬)로서 왼쪽 가슴에 단다. [1] 다만 訓辭等의 少數 表面에는 천으로 꽃을 접어 다는 差異가 있다. [3]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고종실록 (1900年 4月 17日). “勳章 條例를 頒布하다” . 國史編纂委員會 . 2012年 4月 27日에 確認함 .  
  2. 고종실록 (1900年 4月 17日). “調書를 내려 各 勳章의 이름과 뜻을 밝히도록 하다” . 國史編纂委員會 . 2012年 4月 27日에 確認함 .  
  3. 이강칠 (1999). 《大韓帝國時代 勳章制度》. 白山出版社. 95 ~ 98쪽.  

參考 文獻 [ 編輯 ]

  • 《고종실록》
  • 《順從實錄》
  • 이강칠 (1999), 《大韓帝國時代 勳章制度》, 白山出版社. ISBN   9788977392595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