彈性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彈性 係數 에서 넘어옴)

彈性率 [1] [2] ( 英語 : elastic modulus 또는 英語 : modulus of elasticity ) 또는 彈性 係數 (彈性係數)는 固體 力學 에서 材料의 强性도 (stiffness)를 나타내는 값이다. 彈性 係數는 應力 變形도 의 比率로 定義된다. 材料의 試驗片에 對한 印章 또는 傳單 試驗으로 얻은 應力-變形도 先導 의 歎聲 區間 기울기로부터 彈性 係數를 決定할 수 있다. [3] 引張 彈性 係數는 “ 靈의 計數 ”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英國 의 學者인 토머스 영 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 [4]

彈性 係數는 荷重에 對한 材料의 反應을 計算할 수 있게 한다. 例를 들어, 印章이 作用하는 腔線이 얼마나 늘어날 것인지, 또는 壓縮을 받는 기둥이 어떤 荷重 아래에서 挫屈 될 것인지를 豫測할 수 있다.

線型과 非線型 [ 編輯 ]

많은 材料는 一定 區間의 變形度에 對해 常數의 彈性 係數를 갖는다. 이런 種類의 材料를 線型 材料라고 하며, 훅 法則 을 따른다고 한다. 이런 材料에는 , 炭素 纖維 有利 等이 있다. 고무 나 (아주 작은 變形度를 벗어나는) 非線型 材料이다.

非等方性 材料 [ 編輯 ]

非等方性 材料는 荷重이 作用하는 方向에 따라 彈性 係數의 값이 다르다. 이런 非等方性 材料에는 炭素 纖維 , 木材 鐵筋 콘크리트 等이 있다.

計算 [ 編輯 ]

引張 彈性 係數 [ 編輯 ]

彈性 係數(E)는 印章 應力 ( )을 印章 變形도 ( )로 나누어 求할 수 있다. [3] [4]

彈性 係數 E의 單位는 파스칼 이며, F 는 作用하는 荷重, A 0 은 斷面的, 는 材料의 길이 變化量, l 0 은 材料의 元來 길이이다.

傳單 彈性 係數 [ 編輯 ]

傳單 彈性 係數, 또는 層밀리기 彈性 係數(G)는 層밀리기 應力 ( )을 層밀리기 變形도 ( )로 나누어 求한다. [5]

부피 彈性 係數 [ 編輯 ]

物體의 부피變化에 抵抗하려는 强性(stiffness)을 特別히 그 物體의 부피 彈性 係數(K)라고 부른다.

彈性 係數의 關係式 [ 編輯 ]

等方性 材料에 對해, 印章 彈性 係數(E)와 層밀리기 彈性 係數(G)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關係가 成立한다. [5] [6]

여기서 는 材料의 푸아송 비 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物理學會 物理學用語집 https://www.kps.or.kr/content/voca/search.php?et=en&find_kw=elastic+modulus
  2. 韓國物理學會 物理學用語집 https://www.kps.or.kr/content/voca/search.php?et=en&find_kw=modulus+of+elasticity
  3. James M. Gere, Barry J. Goodno (2014). 《SI 材料力學》 8板. 센게이지 러닝 코리아. 36쪽. ISBN   978-89-6218-353-5 .  
  4. James M. Gere, Barry J. Goodno (2014). 《SI 材料力學》 8板. 센게이지 러닝 코리아. 47쪽. ISBN   978-89-6218-353-5 .  
  5. James M. Gere, Barry J. Goodno (2014). 《SI 材料力學》 8板. 센게이지 러닝 코리아. 56쪽. ISBN   978-89-6218-353-5 .  
  6. 韓國剛構造學會 (2017). 《江構造設計》. 구미서館. 19쪽. ISBN   978-89-8225-135-1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