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쿤拘泥野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치쿤拘泥野熱
오른발의 치쿤舊니야熱로 인한 發進
診療科 感染內科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치쿤拘泥野熱 (“구부리는 것”, “비꼬이다”, “구부려서 걷다”를 의미하는 마콘데 語에서 由來) [1] 은 치쿤舊니야 바이러스로 인한 感染 이다. 이 疾病은 露出 뒤 이틀째에서 나흘째에 갑작스러운 發熱 의 發病이 뚜렷한 特徵이다. 이 發熱은 普通 2日에서 7日 동안 持續되는데 關節痛 首班이 때로는 몇 年이지만 典型的으로는 몇 주나 몇 달 동안 持續된다. [2] [3] [4] 根本的 慢性 醫療 問題가 있는 老人 或은 사람들이 大部分 甚한 副作用을 지니는 傾向이 있으면서도 死亡率은 1/1000에 조금 못 미친다. [5]

이 바이러스는 숲모기속 (Aedea)의 모기 2種 卽,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와 이집트숲모기 (Aedes aegypti)가 사람에게 傳達한다. [6] [7] 이 바이러스의 動物 自然 宿主 (Natural reservoir)는 원숭이, 새, 소, 齧齒類를 包含한다. [8] 이는 靈長類가 唯一한 宿主인 뎅기熱 과 對照된다. [9] 2014年 以後로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에서 觀察되었으며, 2013~2014年 치쿤舊니야 流行 을 일으켰다.

豫防의 가장 좋은 方法은 모기 防除 (Mosquito control)와 이 疾病이 흔한 地域의 모기에게 물리는 것을 避하는 일이다. [10] 이 일은 防蟲網의 使用으로 一部 達成될 수 있다. 특별한 治療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休息과 水分 供給 및 發熱과 關節痛을 감소시키기 위한 投藥을 包含한 補助 療法(supportive care)李 勸奬된다. [11]

徵候와 症狀 [ 編輯 ]

치쿤舊니야 바이러스의 潛伏期 는 하루에서 열흘까지이고 典型的으로는 大部分 3日에서 7日까지이다. [12] 이 疾病은 症狀이 없을 수 있지만 一般的으로는 그렇지 않고 感染된 사람의 72~97%가 症狀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12] 特有한 症狀은 高熱과 關節痛 및 發疹의 갑작스러운 發病을 包含한다. 頭痛 , 疲勞 , 消化 問題, 結膜炎 을 包含해 다른 症狀이 일어날 수 있다. [13]

最近의 流行病 期間에 얻은 情報에 따르면 치쿤舊니야熱은 慢性 機뿐만 아니라 急性 氣를 惹起할 수 있다. [14] 急性期에는 2段階가 識別되는데, 다시 말해서 바이러스 血症 (Viremia)이 일어나는, 처음 5日에서 7日 동안의 바이러스性 段階 [15] 다음에 그 症狀이 改善돼 바이러스가 血中에 感知될 수 없고 約 10日 동안 持續되는 回復期이다. [12] 典型的으로 이 疾病은 며칠에서 한 週間(때로는 10日까지) 持續되는 갑작스러운 高熱로 始作된다. 그 發熱은 普通 39 °C를 넘고 때로는 40 °C에 到達하면서 여러 날동안 持續되다가 꺾였다가 그 다음에 돌아오는 이상성 일 수 있다. 發熱은 바이러스 血症과 함께 일어나며 血中 바이러스 水準은 急性期 症狀의 强度와 上官돼 있다. [15] 抗原 (Antigen)에 처음 露出되는 것에 對한 反應인 抗體 면역글로불린 M 이 血中에 나타날 때 바이러스血症은 減少하기 始作한다. 그러나 頭痛과 不眠症 , 極甚한 水準의 脫盡 이 5日에서 7日 程度 殘存한다. [16]

發熱에 잇달아 强한 關節痛이나 硬直이 일어나는데, 이는 數 年 동안 持續될 수 있지만 普通은 몇 週에서 몇 달 동안 持續된다. 이 關節痛은 種種 影響받은 關節의 거의 不動을 惹起하면서 衰弱하게 할 수 있다. [17] 關節痛은 87~98%의 證例에서 報告되고 거의 언제나 한 關節 以上에서 일어나지만 關節 腫脹은 드물다. [12] 典型的으로 影響 받은 關節은 팔과 다리 兩쪽에 자리잡고 있고 對稱的으로 影響을 받는다. 關節은 前에 骨關節炎 과 같은 疾患에 損傷된 적이 있으면 더 影響을 받는 傾向이 있다. [14] 痛症은 大部分 손목, 발목, 손과 발의 關節들 및 典型的으로 어깨 팔꿈치 무릎의 더 큰 몇몇 關節과 같은 末梢 關節에서 일어난다. [12] [14] 痛症은 筋肉 靭帶 에 일어날 수도 있다.

發進은 一般的으로 症狀 發病 後 이틀에서 닷새째에 일어나는 半球眞 發進 (Maculopapular rash)으로서 40~50%의 證例에서 나타난다. [12] 腹痛 , 誤審 , 嘔吐 或은 泄瀉 를 包含한 消化器 系統 症狀이 일어날 수도 있다. [2] [12] [18] 折半의 證例 以上에서 有意味한 疲勞와 痛症으로 頂上 活動이 制限 받을 수 있다. [12] 드물게 눈의 炎症이 虹彩纖毛體廉 (iridocyclitis), 葡萄膜炎 , 網膜 病變(retinal lesion)의 形式으로 일어날 수 있다. [19]

드물게 길랭-바레 症候群 , 痲痹 , 髓膜腦炎 (Meningoencephalitis), 弛緩性 痲痹 (Flaccid paralysis), 末梢神經病症 을 包含한 神經系 障礙가 치쿤舊니야 바이러스와 聯關이 있는 것으로 報告되었다. [2] 뎅기熱 과 對照되게 치쿤舊니야熱은 바이러스性 出血熱 (Viral hemorrhagic fever) 合倂症은 거의 誘發하지 않는다. 出血의 症狀은 代案的 診斷, 뎅기熱의 同時感染(coinfection with dengue fever) 或은 共存性 鬱血性 間病症(coexistent congestive hepatopathy)을 考慮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15]

慢性 疾患 [ 編輯 ]

最近의 流行病 期間의 觀察에 따르면 치쿤舊니야熱이 急性 感染에 잇달아 長期間의 症狀을 誘發할 수 있다는 것이 提起된다. [20] [21] [22] 이 병태는 慢性的 치쿤舊니야 바이러스誘發 關節痛(chronic chikungunya virus-induced arthralgia)이라고 일컬어진다. [10] 長期間의 症狀은 새로운 觀察이 아닌데, 長期間의 關節痛은 1979年 發病 뒤에 觀察되었다. [23] 持續的 症狀에 對한 一般的 豫測 變數는 老齡과 以前의 류마티스學的 疾病이다. [4] [24] [25] [26]

2006年 로트에가論의 레위니옹의 發病 동안에 45歲를 넘은 被驗者의 60%까지는 最初 感染 뒤 3年 동안 持續的 關節痛 [4] 을 報告했고 그 被驗者의 50% 以上은 長期間 筋骨激痛 [24] 을 報告했다. 프랑스의 輸入 證例(imported case)는 被驗者의 59%는 如前히 急性 感染 뒤 2年 동안 關節痛을 앓았다는 것이 報告되었다. [27] 이탈리아의 치쿤舊니야 地域 傳染病에 잇달아 66%의 사람이 急性 感染 뒤 1年 동안 筋肉痛, 關節痛 或은 無力症을 報告했다. [25]

現在 이런 慢性 症狀의 原因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4] [28] 自家免疫 및 류마티스 疾患의 表紙者는 慢性 疾患을 報告하는 사람들에게서 發見되지 않았다. 그러나 人間 및 動物 模型의 몇몇 證據는 치쿤舊니야熱이 宿主 내 慢性 感染을 確立할 수 있다. [29] 最初 發病 後 3個月 동안 疾病의 再發性 症狀을 겪는 사람의 근생검에서 바이러스의 抗原이 感知되었다. 게다가 最初 感染 後 18個月 동안 筋肉骨格系統의 再發을 經驗하는 사람의 潤滑 關節 (Synovial joint)의 大食 細胞에서 바이러스 抗體와 바이러스 RNA가 發見되었다. [30] 여러 動物 模型은 치쿤舊니야 바이러스가 持續感染을 確立할 수 있다는 것을 提起해 오기도 했다. 쥐 模型에서는 바이러스 RNA가 接種 後 적어도 16週 동안 關節關聯 組織에 特히 感知되었고 慢性 尹滑膜炎 (Synovitis)과 聯關되었다. [31] 類似하게 다른 硏究도 接種 後 몇 週 동안 쥐의 關節 組織 內의 바이러스 情報提供 遺傳子 (viral reporter gene)의 感知를 報告했다. [32] 人間 以外의 靈長類 模型에서는 치쿤舊니야 바이러스가 적어도 6週 동안 脾臟內에 存續하는 것으로 發見되었다. [33]

各州 [ 編輯 ]

  1. Morens DM and Fauci AS. “Chikungunya at the Door ? Deja Vu All Over Again?”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 Powers AM, Logue CH (2007). “Changing patterns of chikungunya virus: re-emergence of a zoonotic arbovirus” . 《J. Gen. Virol. 88 (Pt 9)》: 2363?77. doi : 10.1099/vir.0.82858-0 . PMID   17698645 . 2015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6日에 確認함 .  
  3. Sourisseau M, Schilte C, Casartelli N, Trouillet C, Guivel-Benhassine F, Rudnicka D, Sol-Foulon N, Le Roux K, Prevost MC, Fsihi H, Frenkiel MP, Blanchet F, Afonso PV, Ceccaldi PE, Ozden S, Gessain A, Schuffenecker I, Verhasselt B, Zamborlini A, Saib A, Rey FA, Arenzana-Seisdedos F, Despres P, Michault A, Albert ML, Schwartz O (2007). “Characterization of reemerging chikungunya virus” . 《J. Gen. Virol. 88 (Pt 9)》: e89. doi : 10.1371/journal.ppat.0030089 . PMC   1904475 . PMID   17604450 .  
  4. Schilte C, Staikowsky F, Staikovsky F, Couderc T, Madec Y, Carpentier F, Kassab S, Albert ML, Lecuit M, Michault A (2013). “Chikungunya virus-associated long-term arthralgia: a 36-month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7 (3)》: e2137. doi : 10.1371/journal.pntd.0002137 . PMID   23556021 .  
  5. Mavalankar D, Shastri P, Bandyopadhyay T, Parmar J, Ramani KV (2008). “Increased Mortality Rate Associated with Chikungunya Epidemic, Ahmedabad, India”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4 (3)》: 412?5. doi : 10.3201/eid1403.070720 . PMC   2570824 . PMID   18325255 .  
  6. Lahariya C, Pradhan SK (2006). “Emergence of chikungunya virus in Indian subcontinent after 32 years: A review” (PDF) . 《J Vector Borne Dis 43 (4)》: 151?60. PMID   17175699 . 2013年 10月 19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6日에 確認함 .  
  7. Staples JE, Fischer M (2014). “Chikungunya virus in the Americas--what a vectorborne pathogen can do”. 《N. Engl. J. Med. 371 (10)》: 887?9. doi : 10.1056/NEJMp1407698 . PMID   25184860 .  
  8. Schwarz NG, Girmann M, Randriamampionona N, Bialonski A, Maus D, Krefis AC, Njarasoa C, Rajanalison JF, Ramandrisoa HD, Randriarison ML, May J, Schmidt-Chanasit J, Rakotozandrindrainy R (2012). “Seroprevalence of antibodies against Chikungunya, Dengue, and Rift Valley fever viruses after febrile illness outbreak, Madagascar” . 《Emerging Infect. Dis. 18 (11)》: 1780?6. doi : 10.3201/eid1811.111036 . PMC   3559170 . PMID   23092548 . 2016年 5月 2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6日에 確認함 .  
  9. “Vector-borne viral infections” . World Health Organization . 2014年 11月 5日에 確認함 .  
  10. Caglioti C, Lalle E, Castilletti C, Carletti F, Capobianchi MR, Bordi L (2013). “Chikungunya virus infection: an overview.”. 《The new microbiologica 36 (3)》: 211?27. PMID   23912863 .  
  11. Fischer M, Staples JE (2014年 6月 6日). “Notes from the Field: Chikungunya Virus Spreads in the Americas - Caribbean and South America, 2013-2014.”.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63 (22)》: 500?501. PMID   24898168 .  
  12. Thiberville, Simon-Djamel; Moyen, Nanikaly; Dupuis-Maguiraga, Laurence; Nougairede, Antoine; Gould, Ernest A.; Roques, Pierre; de Lamballerie, Xavier (2013). “Chikungunya fever: Epidemiology, clinical syndrome, pathogenesis and therapy”. 《Antiviral Research 99 (3)》: 345?370. doi : 10.1016/j.antiviral.2013.06.009 . ISSN   0166-3542 .  
  13. Powers AM, Logue CH (2007). “Changing patterns of chikungunya virus: re-emergence of a zoonotic arbovirus” . 《J. Gen. Virol. 88 (Pt 9)》: 2363?77. doi : 10.1099/vir.0.82858-0 . PMID   17698645 . 2015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6日에 確認함 .  
  14. Burt, Felicity J; Rolph, Micheal S; Rulli, Nestor E; Mahalingam, Suresh; Heise, Mark T (2012). “Chikungunya: a re-emerging virus”. 《The Lancet 379 (9816)》: 662?671. doi : 10.1016/S0140-6736(11)60281-X . ISSN   0140-6736 . PMID   22100854 .  
  15. Weaver, Scott C.; Lecuit, Marc (2015). “Chikungunya Virus and the Global Spread of a Mosquito-Borne Disea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2 (13)》: 1231?1239. doi : 10.1056/NEJMra1406035 . ISSN   0028-4793 .  
  16. Chhabra M, Mittal V, Bhattacharya D, Rana U, Lal S (2008). “Chikungunya fever: a re-emerging viral infection”. 《Indian J Med Microbiol 26 (1)》: 5?12. doi : 10.4103/0255-0857.38850 . PMID   18227590 .  
  17. Capeding, MR; Chua, MN; Hadinegoro, SR; Hussain, II; Nallusamy, R; Pitisuttithum, P; Rusmil, K; Thisyakorn, U; Thomas, SJ; Huu Tran, N; Wirawan, DN; Yoon, IK; Bouckenooghe, A; Hutagalung, Y; Laot, T; Wartel, TA (2013). “Dengue and other common causes of acute febrile illness in Asia: an active surveillance study in children.”.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7 (7)》: e2331. doi : 10.1371/journal.pntd.0002331 . PMID   23936565 .  
  18. Powers, Ann. “Chikungunya” . CDC . 2014年 5月 12日에 確認함 .  
  19. Mahendradas P, Ranganna SK, Shetty R, Balu R, Narayana KM, Babu RB, Shetty BK (2008年). “Ocular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chikungunya”. 《Ophthalmology 115 (2)》: 287?91. doi : 10.1016/j.ophtha.2007.03.085 . PMID   17631967 .  
  20. MacFadden, D. R.; Bogoch, I. I. (2014). “Chikunguny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6 (10)》: 775?775. doi : 10.1503/cmaj.140031 . ISSN   0820-3946 .  
  21. Parashar, Deepti; Cherian, Sarah (2014). “Antiviral Perspectives for Chikungunya Virus”.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1?11. doi : 10.1155/2014/631642 . ISSN   2314-6133 .  
  22. Munoz-Zanzi, Claudia; Javelle, Emilie; Ribera, Anne; Degasne, Isabelle; Gauzere, Bernard-Alex; Marimoutou, Catherine; Simon, Fabrice (2015). “Specific Management of Post-Chikungunya Rheumatic Disorders: A Retrospective Study of 159 Cases in Reunion Island from 2006-2012”.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9 (3)》: e0003603. doi : 10.1371/journal.pntd.0003603 . ISSN   1935-2735 .  
  23. Fourie ED, Morrison JG (1979年 7月 28日). “Rheumatoid arthritic syndrome after chikungunya fever.”. 《South African medical》: 130?2. PMID   494034 .  
  24. Gerardin P, Fianu A, Michault A, Mussard C, Boussaid K, Rollot O, Grivard P, Kassab S, Bouquillard E, Borgherini G, Gauzere BA, Malvy D, Breart G, Favier F (2013年 1月 9日). “Predictors of Chikungunya rheumatism: a prognostic survey ancillary to the TELECHIK cohort study.”. 《 Arthritis Research & Therapy 15 (1)》: R9. doi : 10.1186/ar4137 . PMID   23302155 .  
  25. Moro ML, Grilli E, Corvetta A, Silvi G, Angelini R, Mascella F, Miserocchi F, Sambo P, Finarelli AC, Sambri V, Gagliotti C, Massimiliani E, Mattivi A, Pierro AM, Macini P (2012). “Long-term chikungunya infection clinical manifestations after an outbreak in Italy: a prognostic cohort study.”. 《The Journal of infection 65 (2)》: 165?72. doi : 10.1016/j.jinf.2012.04.005 . PMID   22522292 .  
  26. Sissoko D, Malvy D, Ezzedine K, Renault P, Moscetti F, Ledrans M, Pierre V (2009). “Post-epidemic Chikungunya disease on Reunion Island: course of rheumatic manifestations and associated factors over a 15-month period.”.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3 (3)》: e389. doi : 10.1371/journal.pntd.0000389 . PMID   19274071 .  
  27. Larrieu S, Pouderoux N, Pistone T, Filleul L, Receveur MC, Sissoko D, Ezzedine K, Malvy D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persistence of arthralgia among Chikungunya virus-infected travellers: report of 42 French cases.”.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Pan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Virology 47 (1)》: 85?8. doi : 10.1016/j.jcv.2009.11.014 . PMID   20004145 .  
  28. Manimunda SP, Vijayachari P, Uppoor R, Sugunan AP, Singh SS, Rai SK, Sudeep AB, Muruganandam N, Chaitanya IK, Guruprasad DR (2010). “Clinical progression of chikungunya fever during acute and chronic arthritic stages and the changes in joint morphology as revealed by imaging.”.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104 (6)》: 392?9. doi : 10.1016/j.trstmh.2010.01.011 . PMID   20171708 .  
  29. Ozden S, Huerre M, Riviere JP, Coffey LL, Afonso PV, Mouly V, de Monredon J, Roger JC, El Amrani M, Yvin JL, Jaffar MC, Frenkiel MP, Sourisseau M, Schwartz O, Butler-Browne G, Despres P, Gessain A, Ceccaldi PE (2007年 6月 13日). “Human muscle satellite cells as targets of Chikungunya virus infection.”. 《PLoS ONE 2 (6)》: e527. doi : 10.1371/journal.pone.0000527 . PMID   17565380 .  
  30. Hoarau JJ, Jaffar Bandjee MC, Krejbich Trotot P, Das T, Li-Pat-Yuen G, Dassa B, Denizot M, Guichard E, Ribera A, Henni T, Tallet F, Moiton MP, Gauzere BA, Bruniquet S, Jaffar Bandjee Z, Morbidelli P, Martigny G, Jolivet M, Gay F, Grandadam M, Tolou H, Vieillard V, Debre P, Autran B, Gasque P (2010年 5月 15日). “Persistent chronic inflammation and infection by Chikungunya arthritogenic alphavirus in spite of a robust host immune response.”. 《Journal of immunology (Baltimore, Md. : 1950) 184 (10)》: 5914?27. doi : 10.4049/jimmunol.0900255 . PMID   20404278 .  
  31. Hawman DW, Stoermer KA, Montgomery SA, Pal P, Oko L, Diamond MS, Morrison TE (2013). “Chronic joint disease caused by persistent chikungunya virus infection is controlled by the adaptive immune response.”. 《Journal of Virology 87 (24)》: 13878?88. doi : 10.1128/JVI.02666-13 . PMID   24131709 .  
  32. Teo TH, Lum FM, Claser C, Lulla V, Lulla A, Merits A, Renia L, Ng LF (2013年 1月 1日). “A pathogenic role for CD4+ T cells during Chikungunya virus infection in mice.”. 《Journal of immunology (Baltimore, Md. : 1950) 190 (1)》: 259?69. doi : 10.4049/jimmunol.1202177 . PMID   23209328 .  
  33. Labadie K, Larcher T, Joubert C, Mannioui A, Delache B, Brochard P, Guigand L, Dubreil L, Lebon P, Verrier B, de Lamballerie X, Suhrbier A, Cherel Y, Le Grand R, Roques P (2010). “Chikungunya disease in nonhuman primates involves long-term viral persistence in macrophage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20 (3)》: 894?906. doi : 10.1172/JCI40104 . PMID   20179353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