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奏本 卷13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奏本 卷13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三)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13)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國寶
種目 國寶 第265號
( 1991年 7月 12日 指定)
數量 1卷1軸
時代 高麗時代
管理 김종규
住所 서울特別市 鍾路區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奏本 卷13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三)은 唐나라 실차난타 (實叉難陀)가 飜譯한 《 大方廣佛華嚴經 》을 高麗 顯宗 때 板刻 製作한 《 初雕大藏經 》 가운데 하나이다.

1991年 7月 12日 大韓民國의 國寶 第265號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州本 <勸第13>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周本<卷第十三> )으로 指定되었다가, 2010年 8月 25日 現在의 名稱으로 變更되었다. [1]

槪要 [ 編輯 ]

大方廣佛華嚴經은 줄여서 '華嚴經'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華嚴經'은 부처와 衆生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基本思想으로 하고 있는 華嚴宗의 根本經典으로, 法華經과 함께 韓國 佛敎思想 確立에 크게 影響을 끼친 佛敎經典 가운데 하나이다.

이 冊은 唐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飜譯한 『華嚴經』 奏本 80卷 中 卷 第13에 該當하며, 高麗 顯宗 때(在位 1011∼1031) 부처님의 힘으로 거란의 侵入을 克服하고자 만든 初雕大藏經 가운데 하나이다. 닥종이에 찍은 木版本으로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保管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세로 28.5cm, 가로 46.3cm 크기가 24張 連結되어 있다.

初雕大藏經은 以後에 만들어진 海印寺大藏經(재조대장경 또는 高麗大藏經)과 比較해 볼 때 몇 가지 差異點이 있다. 海印寺大藏經보다 글字繡가 적고 새김이 精巧한 反面에 刊行年度를 적은 記錄은 없으며, 군데군데 피휘(避諱:文章에 先王의 이름字가 나타나는 境遇 恭敬과 三加의 뜻으로 글字의 한 劃을 省略하거나 뜻이 통하는 다른 글字로 代置하는 것)와 弱者(略字)가 나타난다. 또 初雕大藏經은 冊의 長壽를 標示하는데 있어서 大體로 '場(丈)'字나 '幅(幅)'字를 쓰는 데 비해 海印寺大藏經은 '場(張)'字로 統一되어 있다.

이 冊의 境遇에도 한 行의 글字繡가 14字로 海印寺大藏經의 17者와 區分되고 '卿(竟)'字의 마지막 한 劃을 省略하고 있다. 印刷狀態나 종이의 質 等 全體的인 品格으로 보아 『初雕本大方廣佛華嚴經』奏本 卷1(國寶 第256號) , 卷29(國寶 第257號) , 卷74(國寶 第279號) , 卷75(國寶 第266號) 와 같이 初雕大藏經이 만들어진 11世紀에서 12世紀 사이에 刊行된 것으로 보인다.

各州 [ 編輯 ]

  1. 文化財廳考試制2010-89號(國家指定文化財 寶物指定) , 第17328號 / 官報(程顥) / 發行日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