泉隱寺 (求禮郡)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泉隱寺
(泉隱寺)
대한민국 全羅南道 文化財資料
種目 文化財資料 第35號
( 1984年 2月 29日 指定)
面積 泉隱寺 一圓
管理 泉隱寺
住所 全南 求禮郡 광의면 老姑壇로 209 (방광리)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泉隱寺 (泉隱寺)는 智異山 西南쪽에 있는 査察 이다. 大韓佛敎曹溪宗 所屬이며, 全羅南道 求禮郡 광의면 방광리에 있다. 節 一員이 全羅南道 文化財資料 第35號로 指定되어 있다.

査察 沿革 [ 編輯 ]

新羅 때 創建된 考察이다. 新羅 中期인 828年 ( 新羅 興德王 3年)에 印度 의 僧侶 덕운(德雲)李 中國 을 통해 新羅에 들어 왔다가 創建했다는 說이 傳해 왔으나, 875年 道詵 이 創建하고 後에 덕운이 고쳐 지은 事實이 訛傳된 것으로 알려졌다. 當時 이름은 甘露寺 (甘露寺)였다.

高麗 時代에는 절이 蕃盛하여 충렬왕 때는 '南方第一船員(南方第一禪院)'으로 指定되었다. 以後 壬辰倭亂 等을 겪으며 消失되었고, 광해군 2年인 1610年 에 開創되었다. 朝鮮 肅宗 때인 1679年 에 壇壝(袒裕)가 2年에 걸쳐 절을 크게 重修하여 只今과 같은 모습이 갖춰졌고, 이름도 泉隱寺로 改稱되었다.

重要 文化財 [ 編輯 ]

寶物 [ 編輯 ]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畫 [ 編輯 ]

大韓民國의 寶物 第924戶이다. 英祖 52年(1776)에 신암(信菴)을 비롯한 僧侶畫家 14名이 그린 이 그림은 製作年代와 그림의 題目 뿐 아니라 各 登場 人物들의 名稱이 적혀있어 阿彌陀佛畫 硏究에 貴重한 資料가 되고 있다.

泉隱寺掛佛幀 [ 編輯 ]

泉隱寺掛佛幀은 大韓民國의 寶物 第1340戶이다.천은사 掛佛은 1673年 에 造成된 것으로 花園(畵員) 傾心(敬心)·旨甘(志鑑)·能聲(能聖)李 그렸는 데, 巨大한 畵面에 석가불 立像을 큼직하게 그린 單獨賞이다. 單獨上으로 괴체的인 形態, 黃土色이 强한 獨特한 彩色, 弼善, 文樣 等에서 17世紀 後半의 새로운 傾向을 보여주는 重要한 資料이다.

求禮 泉隱寺 金銅佛감 [ 編輯 ]

求禮 泉隱寺 金銅佛感은 大韓民國의 寶物 第1546戶이다. 前角形 佛龕으로 內部에는 두 具의 佛像을 모시고 後壁과 左右 壁에는 後佛幀畫의 役割을 하는 毘盧遮那佛·藥師如來·阿彌陀如來 三佛灰陶를 打出技法으로 表現하였고, 門 左右에는 기운이 넘치는 筋肉質의 인왕상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이 不感은 毘盧遮那를 本尊으로 하는 三佛을 奉安한 法堂을 完璧하게 再現하고 있고, 各 壁面마다 高浮彫로 새겨진 後拂度의 細部 表現 亦是 매우 精巧하고 華麗하다.

泉隱寺極樂寶殿 [ 編輯 ]

泉隱寺極樂寶殿은 大韓民國의 寶物 第2024戶이다. 阿彌陀佛을 모시고 있는 法堂으로, 앞面 3칸·옆面 3칸 規模로 지붕 옆面이 여덟 팔(八)字 模樣인 八作지붕集이다. 佛像 뒤로는 阿彌陀佛畫가 그려져 있다.

市道有形文化財 [ 編輯 ]

求禮 泉隱寺 三藏幀畫 [ 編輯 ]

求禮 泉隱寺 三藏幀畫는 全羅南道 市道有形文化財 第268戶이다. 朝鮮後期에 造成된 幀畫로 製作의 絶對年代(1776年)를 알 수 있으며, 構圖와 色彩感이 뛰어나다. 또한 登場하는 道上의 이름이 下段에 밝혀져 있어서 三藏幀畫의 道上硏究에 重要한 作品이며, 佛敎史나 民間佛敎의 硏究에도 重要한 資料이다. 그리고 같은 時期에 같은 作家들에 依하여 製作된 泉隱寺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畫가 寶物 924號로 指定되어 있는 等 泉隱寺 三藏幀畫는 여러 가지 史料的인 價値와 더불어 18世紀의 優秀한 不和 水準을 維持하고 있고 保存狀態도 良好하여, 歷史的, 藝術的 價値가 있다.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