冊 디자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冊 디자인 ( Book design , 北 디자인)은 單行本을 만드는 그래픽 디자인 分野를 말한다.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意圖를 正確하게 表現하고 傳達하는데 目的이 있다.

冊 디자인의 要素 [ 編輯 ]

冊 디자인은 單行本을 만드는 作業이므로 表紙 디자인과 本文 디자인을 모두 包含하고 있다.

  • 表紙 디자인 은 文字, 그림, 寫眞을 앞表紙, 뒷表紙, 冊等 [1] , 앞뒤 날개 [2] 冊의 겉表紙를 만드는 作業으로, 讀者에게 視覺的인 아름다움을 提供하는 裝飾 機能과 冊의 性格 및 內容을 表現하는 情報를 提供한다. [3] 普通 글쓴이와 冊, 出版社에서 出版한 單行本의 紹介에 쓰인다.
  • 內地 디자인 에는 속表紙 [4] , 目次, 本文, 干支, 肝氣面 [5] 等의 表紙를 除外한 모든 部分의 디자인을 말한다. [6]
    • 本文 페이지 디자인 文章, 그림, 寫眞, 票, 主席(脚註나 美洲), 쪽番號 [7] 等을 아름답고 읽기 쉽게 디자인한다. 페이지의 上下 左右 餘白 (타이포그래피) , 쪽番號 位置 本文 單 (印刷) 의 크기와 位置 等을 調節해 安定感 있는 版面을 構成하고 細部的으로 各 要素에 使用되는 活字의 글꼴 , 글字크기 , 者間 [8] , 行間 [9] 을 適切하게 決定하여 讀者들이 읽기 便하도록 해야 한다.

펼침면 [ 編輯 ]

黃金比率 (Golden Section)에 맞춘 펼침면. [10]

冊 디자인의 基本 要素로는 펼침면(Page-Spread)이 있는데, 이는 같은 크기와 같은 比率을 이루며 두 페이지 사이에 餘白이 있는 座/于 페이지를 말한다. 이를 바탕으로 電子 出版의 레이아웃 소프트웨어의 境遇, 펼침면으로 編輯 印刷 를 할 수 있는 機能을 提供한다.

레이아웃 [ 編輯 ]

레이아웃은 , 그림, 寫眞 等을 配置하는 作業을 말하는데, 出版社에서는 자주 쓰는 레이아웃을 貯藏해두었다가 必要할때에 불러서 使用한다. 레이아웃 作業 方向은 冊의 性格에 따라 달라진다.

  • 어린이 單行本  : 그림 과 글字 크기가 큰 글을 配置하는 레이아웃을 한다.
  • 成人用 單行本  : 大部分 글을 읽기 좋도록 하는 것이 目的인 레이아웃 作業을 하지만, 實用書의 境遇 讀者들이 쉽게 應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글과 寫眞 을 보기 좋게 排置하는 레이아웃 作業을 한다.

電子出版 소프트웨어를 利用한 冊 디자인 [ 編輯 ]

大韓民國 出版界의 電子出版 소프트웨어 使用 [ 編輯 ]

大韓民國 출판업계에서는 活판 印刷 時節에는 活字 組版 을 使用하고 오프셋 印刷 와 寫眞 技術이 大衆化된 後에는 寫眞 植字 로 레이아웃 作業을 했다. 1980年代 後半부터 電子出版이 紹介되기 始作했고 1990年代 초에는 매킨토시 컴퓨터 와 電子出版 소프트웨어가 大韓民國 出版界에 普及되면서 이를 活用한 電子出版 作業이 大衆化되었다. 冊 디자인에 使用되는 電子出版 소프트웨어로는 레이아웃소프트웨어, 드로잉 소프트웨어, 리터치소프트웨어(그림과 寫眞編輯프로그램)가 있는데, 2000年代 初盤까지 大韓民國 出版界에서는 매킨토시 쿼크익스프레스 3.3K, 포토샵 ,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가 널리 使用되었다. [11] 이 밖에도 소프트 매직에서 開發된 韓國産 레이아웃 소프트웨어( OS X 龍)인 M-Layout, 어도비 시스템즈 에서 出市한 인디자인 도 出版業界에서 使用되고 있다.

冊 디자이너 되기 [ 編輯 ]

  • 冊 디자이너는 作業하려는 冊의 內容을 適切하게 配置하는 레이아웃 能力뿐 아니라 原稿의 內容을 正確하게 理解할 수 있는 人文學 素養이 必要하다.
  • 포트폴리오(作品)는 디자이너의 디자인 方向과 實力을 判斷하는 客觀的인 根據이다. 따라서 冊 디자이너가 되려면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만들어 두는 것이 좋으며, 自身이 일하고자 하는 出版社의 性格에 맞는 레이아웃作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大韓民國 의 出版社들은 大部分 작은 出版社이므로 [12] 冊 디자이너 혼자서 本文 디자인과 表紙 디자인 모두 맡아서 할 수 있어야 하지만, 큰 出版社들은 表紙 디자이너나 本文 디자이너를 區分해서 採用하기도 한다. 企劃者 , 編輯者 等의 다른 出版 分野도 마찬가지이지만 實務敎育이 必要한 新入디자이너를 採用하는 일은 大韓民國 出版 界에서는 거의 없기 때문에, 出版社 에서 勤務하거나 外注를 받아서 일하는 方法으로 實務經驗을 쌓아야 한다. [13]
  • 冊 디자인 世界는 ( 出版社 에서 願하는 方向으로 冊 디자인할 수 있는) 實力만으로 評價받기 때문에 [14] ,願하는 分野의 出版社 에서 일하려면 求職者 自身의 디자인 水準을 높여야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出版 現場에서는 日本語로 “세나카(背中)”라고 한다.
  2. 冊의 表紙 一部를 안으로 접어 넣은 部分.
  3. 디자이너가 말하는 디자이너 》-디자인의 平均을 높여라. / 이승욱 外 19名 共著 / 部키 P.64
  4. 印刷業者들은 日本語로 “逃婢라(扉)”라고 한다.
  5. 版權面이라고 한다
  6. [열린책들 編輯 매뉴얼](2015), 열린책들
  7. 普通 쪽番號와 함께 冊 題目, 部 題目, 腸 題目이 함께 들어간다
  8. 글字間隔
  9. 줄間隔
  10. Van de Graaf, J. A.. Nieuwe berekening voor de vormgeving. (1946)
  11. 《冊, 잘 만드는 冊》/김진섭 지음/이미지박스 p.63-64
  12. 《디자이너가 말하는 디자이너》-디자인의 平均을 높여라. / 이승욱 外 19名 共著 / 部키 P.65
  13. 出版界의 新入忌避에 對해서는 出版人 커뮤니티 북에디터의 다음 論爭을 參照하라 왜 出版社에서는 經歷者만 뽑는거죠?
  14. 《디자이너가 말하는 디자이너》-第7張 디자인 情報 업그레이드/이승욱 外 共著/부키 p.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