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채수영의 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채수영의 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채수영의 난 (蔡壽永-亂)은 1817年 (純祖 17) 3月 全羅道 長壽 出身인 채수영 안유겸 (安有謙) 等이 사람을 모아 順調 를 廢位하고 은언군 의 아들 이철得 을 推戴하려다가 事前에 發覺된 事件이다. 擧事 參與者의 한 사람인 박충준(朴忠俊)李 3月 義禁府 에 密告하면서, 擧事 場所와 加擔者들이 모두 逮捕되고 一網打盡되었다. 이 中 채수영 洪景來의 亂 에도 關與했던 人物이다.

채수영 1811年 (純祖 11年) 12月 洪景來의 亂 當時 홍경래 等과 關聯된 人物로 그와 奇脈이 통했던 人物이다. 그는 順調 를 廢位시키고 은언군 의 庶子 이철得 을 王으로 推戴할 計劃을 세웠다.

事件 [ 編輯 ]

1817年 (純祖 17) 3月 그는 同調者를 糾合, 忠州 에 사는 안유겸, 김계호(金啓浩). 박충준. 신성문(申盛文) 等과 함께 組織을 만들고 사람을 모아 擧兵을 準備하였다. 이들은 김조순 , 박종경 等의 當時 高官들의 政策을 批判하였다. 擧事 直前 이들은 流言蜚語를 퍼뜨리는 한便 채수영 , 안유겸, 김계호, 신성문, 박충준 等은 前主婦 김맹億(金孟億, 當時 37歲)의 집에 모여 擧事 날짜를 잡았다. 그밖에도 新여헌(申汝獻), 이인하(李寅夏) 等이 加擔했다가 逮捕되어 義禁府 로 押送되었다.

채수영 等은 外國軍의 배가 들어오고 있다, 홍경래 가 아직 살아 있다, 이희선 等이 아직 살아 있다는 等의 流言蜚語를 市中에 流布하여 民心을 煽動한 뒤, 軍士를 모아서 祕密裏에 擧事를 計劃하였다.

이들은 忠淸道 의 火賊人 장응인(張應人, 當時 39), 권훈(權塤, 當時 35), 신재규(申在奎) 等과 그들이 이끄는 火賊 무리와도 連帶, 全羅 監營 忠淸 監營 을 襲擊할 計劃을 세웠다. 全羅監營과 충청감영은 緊張했다. 이들은 全羅監營과 충청감영을 占領한 뒤 漢城 으로 들어가 영돈녕 府院君 김조순 , 判書 박종경 , 判書 심상규 等과 勢道家門을 죽이고 順調 를 廢位시킨 뒤, 江華島 에 流配돼 있던 은언군 仁義 庶子들 中 이철得 을 推戴하기로 했다. 全羅監營과 충청감영을 擧兵의 失敗나 敗戰했을 때를 對備해, 고군산 에서 濟州道 로 避難한 뒤 對馬島 에 軍士를 支援받아 再攻掠할 計劃을 세웠다. 그러나 加擔者의 한 名인 박충준이 義禁府 에 密告함으로서, 3月 16日 警 全員이 前週 김맹億의 집에서 逮捕되었다.

逮捕 以後 關聯者 處罰 [ 編輯 ]

3月 16日 박충준의 請으로 對質審問이 始作되고, 領府事 이시수(李時秀), 判府事 김재찬(金載瓚)·한용귀(韓用龜), 尉官(委官) 右議政 김사목(金思穆), 判義禁 박종경(朴宗慶), 知義禁 이희갑(李羲甲), 同義禁 이유명(李惟命)·眷食(權?) 等이 審問을 始作하였다. 純祖는 희정당에서 이를 報告받았다.

3月 18日 義禁府 의 建議로 채수영은 處刑되고 家産은 籍沒되었으며, 그의 家族은 平安道와 咸鏡道의 奴婢로 보내졌다. 推鞠은 繼續되었고 4月 25日 에는 關聯者로 指目된 김맹億 等이 推鞠되었다. 그밖에 人物들도 秋菊 後 4月 28日 안유겸, 城門, 김맹億 等은 處刑되고 이들이 살던 地域은 降等되었다. 4月 28日 채수영 等이 살던 地域은 江邑處分이 내려져, 軍에서 縣으로 降等되었다. 채수영이 살던 장수현, 安諭兼이 살던 忠注目, 城門이 살던 軟風縣(延豊縣), 김맹億이 살던 前主婦 等은 江邑處分이 建議되었는데 前主婦 를 除外하고는 忠州목은 縣으로, 軟風과 장수는 機關長이 縣監級에서 縣令級으로 降等되었다.

事件 終結 以後 [ 編輯 ]

高邊子 박충준은 賞을 받는 代身 한等級 減刑되어 流配刑을 받았다.

한便 이들이 推戴하려던 이철得 에 對한 共初, 新聞 記錄은 朝鮮王朝實錄 , 承政院日記 , 日省錄 , 備邊司謄錄 記錄을 哲宗 卽位 後 大量으로 洗草, 湮滅해버림으로써 사라졌다. 이철得 外에도 異腹同生인 이黨 , 親同生 或은 異腹同生인 이쾌득 에 對한 共初, 新聞記錄度 나타나지 않는다. 이철得 1817年 以後에도 生存해있던 것으로 推定된다.

그해 8月 22日 洪孃(洪陽)의 令狀(營將) 이유겸(李儒謙)은 안유겸의 이름 유겸(有謙)과 發音이 같다 하여 李朝 에 申請하여 이름을 유겸에서 項兼(恒謙)으로 改名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