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지계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지계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지계최 (池繼催, 兒名(兒名) 은 池繼說( 지界說 )·池繼崔( 지계최 ), 1593年 ~ 1637年 )는 朝鮮 무신 이다. 本貫은 忠州 (忠州), 字는 언숙(彦淑), 號는 票曲(豹谷)이다. 振武功臣 (振武功臣) 3等에 책록되고, 忠誠 府院君 에 追贈되었다. 著書로 《 票穀實機 (豹谷實紀)》를 著述하였다.

生涯 [ 編輯 ]

1623年( 人組 1) 軍事 6百餘 名을 거느리고 都元帥(都元帥) 張만(張晩)의 麾下로 들어가서 서로消耗別莊(西路召募別將)李 되었다. 1624年 副元帥 李适(李适)李 强敵(姜適)을 보내어 叛亂에 加擔할 것을 慫慂했으나 拒絶하고 强敵의 목을 베었다. 李适 이 亂을 일으키자 안현(鞍峴)에서 勝利를 거두었다.

1624年(仁祖 2年) 3月 8日 장만 (張晩), 정충신 (鄭忠信), 남이흥 (南以興) 等 26名과 함께 振武功臣(振武功臣)李 되고, [1] 충성군(忠城君)에 封해졌다.

1631年(仁祖 9年) 7月 10日 召募長(召募將) 지계최(池繼崔)가 思潮(辭朝)하니, 王에게 활과 화살을 下賜받았다. 지계최가 上疏하여 아뢰기를, “神은 逆賊 李适 (李适)의 變을 當하여 前日 募集한 軍事 6百餘 名을 거느리고 都元帥 장만 (張晩)에게 달려가서 안현(鞍峴)에서 勝利를 거두고 인하여 정훈(正勳)에 參與되었습니다. 이제 勞績(奴賊)李 猖獗하는 때를 當하여 消耗腸이 되어 年前에 거느렸던 軍士를 調發해 모으고 또 應募한 사람을 더하여 西쪽 變更에서 목숨을 바치기를 願합니다.” 하니, 備局이 會計하기를, “지계최가 처음부터 끝까지 敵軍에 달려가기를 自願하니 실로 至極히 嘉尙합니다. 召募長에 임명하여 軍事를 消耗하도록 함이 마땅합니다.” 하니, 王이 따랐다. [2]

1631年 熙川 郡守 (熙川郡守)로 赴任하였다. 1631年(仁祖 9年) 12月 24日 熙川 郡守 (熙川郡守) 지계최(池繼?)가 上訴하기를, “神이 募集한 軍士는 비록 적지만 모두 죽기를 覺悟한 軍事입니다. 熙川 고을은 山골에 치우쳐 있어 亂離를 避하고 있는 듯한 印象이 있으니, 本임(本任)을 替直시켜 按酒(安州)와 黃州(黃州) 量 陳(陣) 사이에 從事하여 國恩을 갚도록 하소서.” 하였는데, 李朝가 會計하기를, “지계최가 募集한 軍士를 거느리고 兵士(兵使)와 生死를 盟誓하여 몸을 잊고 國家에 목숨을 바치고자 하니, 그 精誠이 매우 嘉尙합니다. 조시준(趙時俊)의 禮에 따라 그의 本職을 替直하여 싸우다 죽겠다는 그 마음을 이루게 하소서.” 하니, 王이 따랐다. [3]

以後 서흥府使(瑞興府使)가 되어 選定을 하였다. 丙子胡亂 때 黃海道 서흥 檢收참(劍水站)에서 敵을 맞아 싸우다가 남한산성으로 撤收하는 途中 1637年(仁祖 15) 新溪(新溪)에서 殉節하여 漢城府判尹에 追贈되었다. 墓는 宜寧 南氏 參議 남규희가 妙文을 짓고, 餘興 閔氏 參判 민병승이 글을 쓰고, 해평 尹氏 板書 尹用求가 前面에 글을 썼다. 人組 는 賜牌(賜牌)와 함께 忠淸南道 扶餘郡 초촌면 초평리(草坪里)에 神道碑를 세우도록 하고 충성군에 封하였다. [4] 1803年(純祖 3)에 다시 正憲大夫 忠誠府院君을 追贈하면서 銘旌되었다.

家族 [ 編輯 ]

充員府院君 지용기 의 10世孫이다. 아버지는 璿源殿 參奉 增 戶曹判書 衝興群 지세륜이고, 어머니는 參奉 김귀형의 딸인 政府인 安東 金氏이다.

夫人은 송인경의 딸인 增 政府인 여산 宋氏 와 朝鮮 9代 王 成宗의 玄孫 狂遠征 이호의 딸인 政府인 全州 李氏 이다.

膝下에 여산 宋氏에게서 5男 3女, 全州 李氏에게서 2男을 두었다. 아들은 禦侮將軍 原從功臣 지수련, 副司正 指數的, 添丁 指數란, 宣敎輛 지수경, 宣敎輛 지수현, 忠佐衛 對事情 地境징, 宣略將軍 忠佐衛 副司果 指定名이 있다.

著書 [ 編輯 ]

關聯 文化財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