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조르주 피카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조르주 피카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리 조르주 피카르
出生日 1854年 9月 6日
出生地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死亡日 1914年 2月 19日 (60歲)
死亡地 프랑스 아미앵
服務 프랑스
服務期間 1872?1902年, 1906?1914年
勤務 프랑스軍
最終階級 師團長 (General de division)
指揮 第2軍團
기타 履歷 國防部長官
墓所 페르 라셰즈 墓地

마리 조르주 피카르 (Marie-Georges Picquart, 1854年 9月 6日 ~ 1914年 1月 19日)는 프랑스 步兵將校 出身으로 第 3共和國 時節 國防部 長官을 歷任하기도 했으며, 1896年 參謀本部 情報局長으로 勤務하던 時節에 [1] 드레퓌스 事件 (affaire Dreyfus)의 當事者인 드레퓌스 大尉가 間諜 陋名을 쓰고 抑鬱하게 獄살이를 하고 있다는 事實을 認知하고, 事件의 眞相을 밝히기 위해 가장 많이 努力했던 中心人物로 알려져 있다. 그는 明白한 證據와 함께 에스테라地 少領이 眞犯이라는 事實을 上部에 報告했으나 事件을 隱蔽하려는 軍首腦部에 依해 一方的으로 默殺當했으며 [2] , 眞相調査를 繼續 進行하다가 北아프리카 튀니지로 좌천당했다. [3] [4]

1898年 間諜行爲의 眞犯이었던 에스테라地 少領이 告發되어 軍事裁判이 進行되었으나 眞犯인 에스테라地 少領은 無罪로 釋放되었다. [5] 그後 造作된 證據들을 土臺로 오히려 피카르 中領이 逮捕되었다. 이러한 裁判結果에 憤怒한 에밀 졸라가 1898年 1月 13日 '나는 告發한다'라는 글을 發表하여 드레퓌스 事件이 政治爭點化되었다. 1899年 드레퓌스 大尉에 對한 再審이 進行되었으나, 有罪가 宣告되며 [6] 피카르 中領의 名譽回復 機會가 사라져버렸다. 그러나 1906年 7月 12日에 열린 드레퓌스 事件의 2次 再審에서 드레퓌스 大尉의 犯罪嫌疑 自體가 軍首腦部에 依해 造作된 間諜事件임이 밝혀지면서 피카르 中領의 名譽 回復 節次가 進行되었다. [7] 그는 准將으로 進級하며 軍에 復職하였고 같은해 國防長官으로 立脚하였다.

어린 時節 [ 編輯 ]

피카르는 1854年 9月 6日 프랑스 東北部 알자스 에 있는 스트라스부르 에서 稅務公務員 마리 샤를 프랑수아 위베르 피카르(Marie Charles Francois Hubert Picquart)와 루이즈 앙리에트 델라니 드브네스(Lelanie Debenesse) 사이에서 5番째 子女로 태어났다. [8] 그의 할아버지는 스트라스부르의 軍事 責任者였다. [9] 1856年, 아버지가 게데르트하임으로 發令받자 家族이 모두 그곳으로 移徙하여 6年동안 지내다가 스트라스부르로 돌아왔으며 아버지는 그의 나이 11살(1865年)때 死亡하였다. [10]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帝國高等學校의 奬學生이 되어 優秀한 成績으로 卒業했다. 17살 되던해인 1871年에 프랑스가 보불戰爭에서 敗北하여 알자스-로렌이 獨逸로 合倂되자 이듬해 家族들은 프랑스로 移住하였다.

初期 經歷 [ 編輯 ]

18살이 되던 해인 1872年에 생시르 士官學校 에 入學하였다. 入學 成跡은 320名 中에 184等이었으나 卒業生 304名 中에 5等으로 卒業했다. [10] 1874年 少尉로 任官하였으며 인도차이나 에서 服務하기 前에 프랑스에서 步兵으로 服務했다. 1880年에 大尉로 進級한후 1883年부터 파리에 있는 參謀本部(Ecole d'Etat-major)에서 勤務하였다. 參謀本部 高等敎育課程을 2等으로 修了한 後 高等軍事學校(Ecole Superieure de Guerre)에서 敎官으로 服務했다. 이 時節에 그에게 敎育을 받은 訓鍊生徒 中 한 名이 알프레드 드레퓌스 였다. [11] 1893年에 參謀本部에 復歸하여 1894年 그는 參謀 將校로서 드레퓌스 事件에 對한 軍事裁判을 參觀하며 當時 論爭에 對해 國防長官 오귀스트 메르시에 와 陸軍 參謀總長 라울 르 무통 드 부아드프레 에게 올릴 報告書 作成 任務를 擔當했었다. [11] 1895年 前任 상테르 大領이 물러나자 參謀本部 情報局長이 되었으며 [12] 1896年 中領으로 進級했다.

드레퓌스 事件 [ 編輯 ]

드레퓌스 軍籍 剝奪式(1895年 1月 5日)

內部 反逆者 [ 編輯 ]

1894年 9月 어느날, 파리 駐在 獨逸大使館에서 文書(편지) 하나를 프랑스 情報要員이 入手하여 프랑스 參謀本部 傳達하였다. [13] [14] 受信人은 獨逸大使館 슈바르츠코펜이었으나 [14] 作成者나 보낸사람은 알 수 없었고 機密事項에 對한 內容도 없었다. 다만 獨逸로 건네진 프랑스 砲兵에 對한 機密文書 目錄 5가지가 적혀 있었다. [14] 일찍이 情報部는 프랑스 軍의 情報를 獨逸로 流出하는 內部 間諜이 있음을 感知하고 [15] 골머리를 썩이고 있었다. [13] 이 文書는 後날 '明細書(Bordereau)'라 불리게 되었는데, [14] 肉筆文書의 內容으로 볼 때 參謀本部에 勤務하는 砲兵將校들이 容疑線上에 올랐다. [14] [16] 情報局長이던 상테르 中領은 筆跡鑑定과 함께 內部諜者 索出作業을 進行하던 中에 유대人 出身 砲兵大尉 드레퓌스에 對해 强力한 疑心을 품고 注目하게 되었다. [16]

드레퓌스 裁判 [ 編輯 ]

反유대主義者였던 상테르 中領은 個人的 確信 속에 10月 15日 드레퓌스 大尉를 逮捕한 後 [17] 上部에 報告하였다. 筆體가 비슷하다는 理由말고는 犯行動機, 接線方法과 時期 等에 對한 追加 搜査가 未盡한 狀態에서 逮捕된 지 3週 만에 서둘러서 無理하게 起訴가 進行되었다. 또한 言論發表를 통해 魔女사냥式 輿論몰이를 통해 裁判이 進行되기도 前에 이미 드레퓌스를 反逆者로 만들어 버렸다. [18] [17] 보불戰爭(1870~71)에서 悽慘하게 敗北했던 프랑스는 反獨逸注意, 愛國主義, 反유대主義가 澎湃하던 時期였기에 大衆은 軍部와 言論의 宣傳煽動에 쉽게 興奮하며 廢止되었던 死刑制를 反逆者에 對해서 만큼은 復活하자고 외치기도 하였다. 1894年 12月, 非公開 軍事裁判을 통해 드레퓌스는 終身刑을 宣告받고 [19] [20] 公開的인 軍的 剝奪食餌 進行된후 [21] 이듬해 南美 프랑스領 기아나_ 惡魔섬 이라 불리는 외딴섬에 流配되었다. [22] [23]

眞實 追跡 [ 編輯 ]

프랑스 防諜部隊가 入手한 文書(1894.10.13撮影)

賞테르 中領이 물러난 後 1895年 6月 22日, 參謀本部 情報局長으로 任命되어 勤務中이던 피카르 中領은 1896年 3月, 다른 間諜事件을 調査하던 中 드레퓌스 事件에 關聯된 書類와 證據들을 接하게 되었다. [24] 이때 그는 드레퓌스 大尉가 反逆罪를 犯했다는 證據가 全혀 없다는 事實과 裁判에서 決定的인 證據로 提示되었던 '明細書'의 筆體가 에스테라地 少領과 同一하다는 事實도 알게 되었다. [24] 追加 調査를 통해 프랑스 情報員들이 바렐에서 獨逸 情報院과 祕密接觸을 통하여 情報流出自家 에스테라地 少領이었음을 確認하기까지 하였다. [1]

物證과 함께 搜査內容을 上部에 報告하였으나 軍首腦部는 眞相이 드러날 境遇에 그 波長과 軍部에 對한 權威墜落, 對國民 信賴損傷 等의 理由로 그의 報告를 默殺하였고 [25] [26] 追加 搜査를 中斷하라고 壓力을 加해왔다. 搜査를 持續하자 代表的으로 위베르-조제프 앙리 少領 같은 部下 將校들을 통한 組織的으로 妨害가 있었고 1896年 12月에 프랑스領 튀니지로 左遷性 轉出命令이 떨어졌다. 피카르 中領은 튀니지의 수스 에 駐屯한 第4 튀니지 티라以外르 連帶 의 指揮任務를 맡게 되었으나 [27] 그곳에서도 生命의 威脅을 받았기에 對備策을 講究할 必要性이 있었다. [2] 그래서 自身의 親舊이자 辯護士인 레블르와에게 搜査內容을 털어놓았고 레블르와는 이 事實에 對해 알자스 出身 上院議員 케스트네르와 相議하기도 하였다. [2]

救命活動과 提報 [ 編輯 ]

드레퓌스의 夫人 루시와 그의 兄 마티외는 救命活動을 繼續 벌이고 있었다. 그러던중 1897年 11月, <르마텡>이라는 當代 프랑스 最大 日刊紙에 [28] 一名 '明細書'라 불리던 決定的 證據物 寫眞이 실렸는데, [28] 이를 보고 眞犯 에스테라紙와 去來關係에 있던 카스트로라는 사람으로부터 新聞에 실린 寫眞上의 筆體와 에스테라誌의 筆跡과 同一하다는 提報를 家族에게 해왔다. [28] 그는 追加的인 證據로 에스테라誌의 便紙를 提示했다. 家族들은 카스트로의 證言과 證據物을 土臺로 에스테라地 少領을 軍事法院에 正式으로 告發하였다. [28] [29]

無罪釋放된 眞犯 [ 編輯 ]

1897年 12月 4日 軍事法院에 에스테라地 少領에 對한 告發이 接受되자 軍部는 에스테라地 少領과 조세프 앙리 少領 等을 動員하여 證據를 造作한 後 이를 言論에 조금씩 흘렸고 [30] 言論들은 確認도 없이 이를 大書特筆 하였다. 造作된 證據는 드레퓌스 大尉와 피카르 中領 두 사람 모두 間諜 行爲에 連累되었다는 式이었다. 1898年 1月 10日, 軍事裁判이 進行되었으나 脅迫을 받은 筆跡 鑑定社들은 에스테라地에게 有利한 證言을 하였고 少領은 다음날 無罪 釋放되었다. [5] [29] 아울러 튀니지에 있던 피카르 中領은 軍機密 漏泄罪와 에스테라地 裁判에 提出된 證據를 造作한 嫌疑로 逮捕될 危險에 處하였다. [30]

에밀 졸라의 憤怒 [ 編輯 ]

拙速 裁判 끝에 眞犯이 釋放되자 이에 憤怒한 에밀 졸라 가 1898年 1月 13日, 自身의 全 生涯에 걸친 名譽를 걸고《 나는 告發한다 》라는 글을 新聞에 揭載하였다. [31] 이 글이 실린 '輅路르' 新聞은 平素보다 10倍 以上인 30萬部가 팔려 나가며 [32] 프랑스 社會에 可히 暴發的인 影響力을 發揮하였다. 프랑스는 드레퓌스의 有無罪를 基準으로 再審要求派(드레퓌스派)와 再審反對派(反드레퓌스派)로 分裂되어 示威, 暴動, 유대人에 對한 테러, 頻繁한 暴力事態와 流血衝突이 벌어졌고, 家族間에도 이 問題로 인하여 甚하게 다투는 일이 茶飯事로 벌어지며 큰 社會問題로 擡頭되었다. [33] 프랑스 社會의 葛藤 樣相이 준 內戰水準에 치달으며 政治 스캔들火 되면서 프랑스 第3共和國 의 存立마저 흔들렸다.

드레퓌스의 再審 [ 編輯 ]

렌에서 열린 드레퓌스 의 再審(1899年 9月 19日)

1898年 8月 30日, 證據 僞造에 앞장섰던 조세프 앙리 少領이 自殺을 하며 事件은 急反轉되었다. [34] 國防部의 새로운 搜査가 進行되며 그 동안 提示되었던 證據들이 僞造되었다는 事實이 들어나려 하자 極端的인 選擇을 한 것이다. 狀況이 不利하게 돌아가자 眞犯 에스테라地 少領은 英國으로 逃避했다. 9月이 되자 事件에 關聯되었던 國防長官과 여러 將星들이 무더기로 自進 或은 强制 退役당했고 [35] 再審要求派가 힘을 얻었다.

1899年 6月 드레퓌스의 再審을 要求하는 歎願書가 파리 高等法院에 接受되었고 再審進行이 決定되었다. [36] [34] 아울러 피카르 中領은 拘束된 지 324日 만에 釋放되었다. [37] 1899年 9月 9日에 進行된 1審 宣告 公判에서 드레퓌스는 10年型을 宣告받았는데 抗訴를 하지 않는 條件에 同意하여 兄이 確定된 後 같은달 19日에 大統領( 에밀 루베 ) 特別赦免을 받아 釋放되었다. [38] 그러나 이 일로 因해 피카르 中領은 名譽回復의 機會를 놓치고 말았다.

名譽回復과 末年 [ 編輯 ]

1904年 드레퓌스가 再審을 請求하였는데, 1906年 7月 12日 間諜嫌疑에 對해서 無罪를 宣告받았다. [7] 이에 따라 名譽回復이 이루어진 피카르는 准將으로 進級한 後 軍에 復職하였다. 萬若 그의 經歷이 드레퓌스 事件에 連累되어 妨害받지 않았다면, 年功序列과 慣例에 따라 通常的인 將校들이 豫想할 수 있는 水準의 進級이었다. [39] 또한 1906年 피카르는 조르주 클레망소 內閣의 國防長官으로 立脚하였다. [40] 그는 1906年 10月 25日부터 1909年 7月 24日까지 조르주 클레망소 內閣의 全 期間 동안에 國防長官職을 遂行하였다. 退任後에는 陸軍 軍團長으로 服務했다. 1914年 1月 19日 아미앵에서 落馬事故로 死亡했다. [40]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2
  2.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27
  3. Reid, Piers Paul (2013) [1st pub:Bloomsbury (2012)]. The Dreyfus affair. London: Bloomsbury. ISBN 978-1-4088-3057-4 . OCLC 816162441 p175
  4. 정찬일 <非理性의 世界史> 양철북
  5.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4
  6.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7
  7.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38
  8. Acte de naissance de Marie George Picquart.
  9. Le Colonel Georges Picquart ou la vertu cachee [archive], Christophe Prochasson, 1993.
  10. “Dreyfus Rehabilitated” . 2020年 1月 3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1年 3月 12日에 確認함 .  
  11. Reid, Piers Paul (2013) [1st pub:Bloomsbury (2012)]. The Dreyfus affair. London: Bloomsbury. ISBN 978-1-4088-3057-4 . OCLC 81616244 p162
  12.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26
  13. 柳時敏 <거꾸로 읽는 世界史> 푸른나무 2003.8.18, p 11
  14.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28
  15.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16
  16.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17
  17.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29
  18.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19
  19.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0
  20. 백재선 <世界史의 主役 猶太人> 모아드림 1999.8.5, p101
  21.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24
  22. 박영준 <섬의 世界史> 嘉藍企劃 1999.3.23, p308 - p311.....1852年에 프랑스 嶺으로 됨에 따라 1862年부터 1946年까지 流刑地로 利用되었다. 이 섬은 映畫 <빠삐용>의 背景으로도 有名한데....(중략)...1895년 2月 21日 드레퓌스는 性 나자렛 號에 태워져 프랑스 令 기아나_ 惡魔섬으로 流配되어.....(이하 省略)
  23. 김종빈 <葛藤의 核, 유대人> 孝行出版 2001.10.15, p74
  24. 柳時敏 <거꾸로 읽는 世界史> 푸른나무 2003.8.18 p15
  25.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3
  26. EM번즈外 <西洋 文明의 歷史 2> 소나무, 1996年 4月 5日, p1075
  27. Reid, Piers Paul (2013) [1st pub:Bloomsbury (2012)]. The Dreyfus affair. p175
  28.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28
  29. 앙드레 모로아 <프랑스史> 기린원 1998.11.10, p510
  30.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29
  31. 柳時敏 <거꾸로 읽는 世界史> 푸른나무 2003.8.18 p18
  32. 柳時敏 <거꾸로 읽는 世界史> 푸른나무 2003.8.18 p020
  33.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32
  34.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35
  35.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5
  36. 크리스티안 마이어 外 <누가 歷史의 眞實을 말했는가> 푸른역사 2000.5.15 p335
  37.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37
  38. 柳時敏 <거꾸로 읽는 世界史> 푸른나무 2003.8.18 p23
  39. Tuchman, Barbara W (1966). The Proud Tower; a Portrait of the World Before the War, 1890-1914. London: Hamish Hamilton. ISBN 978-0-02-620300-5 . OCLC 1128997006. p226
  40. 朴元淳 <內 목은 매우 짧으니 操心해서 자르게, 世紀의 裁判이야기> 한겨레新聞社 2000.3.28 p240